•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전체글

근로장려금은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에 최상의 해결책이다

2018년 10월 4일 by econpd

근로장려금은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에 최상의 해결책이다

포용적성장-소득주도성장 논란 중에서 제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것은 최저임금 인상이다. 내 의견은 최저임금을 지금보단 좀 더 느린 속도로 인상했으면 하는 것으로, 급격한 인상에는 반대한다. 최저임금 역시 몇십 년간 학자들이 대립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여서 하나하나 말하려면 오래 걸린다. 이 글에서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리의 중요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근로장려금이 그런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아주 좋은 정책임을 말하려고 한다. 1. 최저임금 인상은 고소득자의 소득을 줄여 … [Read more...] about 근로장려금은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에 최상의 해결책이다

애플이 넷플릭스도 인수할까?

2018년 10월 4일 by 최종원

애플이 넷플릭스도 인수할까?

텍스쳐는 디지털 잡지 구독 플랫폼으로 GW, 타임, 내셔널지오그래픽, 뉴요커, 빌보드, 뉴스위크, 등 약 200개 이상의 잡지를 월 9.99불(약 1만 원)에 무제한 보여주는 서비스다. 현재 발행되는 호뿐 아니라 과월호도 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서비스의 성격과 콘텐츠를 모아놓은 형태가 마치 영상 서비스 업체 넷플릭스와 유사해 잡지계의 넷플릭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애플이 잡지계의 넷플릭스, 텍스쳐를 인수했다. 인수 가격은 애플이 항상 그랬듯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2014년 텍스쳐가 … [Read more...] about 애플이 넷플릭스도 인수할까?

[한국 수학이 왜 문제인가] ③ 대한민국 수학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2018년 10월 2일 by Amang Kim

[한국 수학이 왜 문제인가] ③ 대한민국 수학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 아래 글에서 이어집니다. [한국 수학이 왜 문제인가] ① 과연 수능의 범위는 타당할까? [한국 수학이 왜 문제인가] ② 수능 수학이 어려운 이유 원래는 '한국 수학교육이 가지는 근본적인 문제는?'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했는데, 갑자기 생각난 것이 있어서 이 이야기를 먼저 해야 할 것 같다. 이번 이야기는 구체적인 이야기라기보다는 예제라고 보는 것이 맞겠다. 모모나라 4년 동안의 대입 수학 문제와 그에 대한 반응에 대한 가상의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우선, … [Read more...] about [한국 수학이 왜 문제인가] ③ 대한민국 수학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글쓰기의 폭력적인 법칙에 관하여: ‘단문을 쓰라’는 편견

2018년 10월 2일 by 정지우

글쓰기의 폭력적인 법칙에 관하여: ‘단문을 쓰라’는 편견

글쓰기 주변을 떠도는 유령이 있다. 그 유령은 "부사어 쓰지 마라." "단문 써라." "접속어 쓰지 마라." 같은 팻말을 들고 다닌다. 이런 유령들은 주로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 같은 글쓰기 책에서 나와 떠받들어지며 전염병처럼 번져나갔는데, 특히 문예창작학과나 언론 주변을 떠돌며 온갖 색채를 가질 수 있는 글들을 복제된 돌하르방처럼 만들어버리고 있다. 온 세상이 헤밍웨이나 스티븐 킹으로 뒤덮이길 바라는 것만 같은 그들은 다양한 문체의 아름다움이라는 걸 전혀 느낄 줄 모르는 사이보그들처럼 … [Read more...] about 글쓰기의 폭력적인 법칙에 관하여: ‘단문을 쓰라’는 편견

대기업 먹잇감 된 자동차정비업,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2018년 10월 2일 by 산업정보포털 i-DB

대기업 먹잇감 된 자동차정비업,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지난 6월 27일 전국 카센터 사업주들이 여의도 광장으로 나왔다. 전문정비인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한국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연합회(이하 카포스)의 요구였다. 카포스는 흔히 카센터라 부르는 전문정비업소 1만 8,000여 곳이 소속된 단체다. 이날 집회에는 조합원 1만 5,00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10곳 중 8곳 이상이 영업을 접고 거리로 나올 만큼 절박했다는 뜻이다. 지난 3일 서울 카포스 사무실에서 만난 윤육현 연합회장은 짧은 스포츠머리였다. 결의대회에서 한 삭발 투쟁 … [Read more...] about 대기업 먹잇감 된 자동차정비업,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모두가 기분이 나쁘다

2018년 10월 2일 by 구피생이 (김민규)

모두가 기분이 나쁘다

좀 신경 안 쓰고 살려고 해도, 어디 가면 하는 소리가 다 부동산 이야기뿐이다. 어디가 얼마가 올랐네, 누가 얼마를 벌었네 하는데 이렇게 내 마음은 기분만 나쁘다. 그런데 사방을 둘러봐도 모두가 기분 나쁜 사람뿐이고 누구 하나 해피한 이가 없다.   각자의 이유로 기분이 나쁘다 무주택자. 전에는 조금만 손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곳에 있었던 그 평범하고 식상하며 비근한 집들이, 이제는 1-2억씩 오른 건 예사고 3-4억 뛴 곳도 있어서 닿을 수 없는 당신이 되어버렸다. … [Read more...] about 모두가 기분이 나쁘다

어두운 콘크리트 길에 깔린 백색 카펫

2018년 10월 2일 by 생각전구 서영진

어두운 콘크리트 길에 깔린 백색 카펫

회색 거리에 흰 카펫이 깔려있습니다. 도심 속 양탄자라는 낯선 장면에 고개가 갸우뚱해집니다. 누가 카펫을 깔아놓았을까요? 아서 루이 이뇨레(Arthur-Louis Ignoré)는 프랑스에 사는 젊은 아티스트입니다. 그는 미술 공부를 시작하자마자 공공 예술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패턴과 장식품에 관심을 기울였고, 결국 공공장소에 카펫을 그리는 예술로 완성했습니다. 그는 전 세계를 다니며 도시의 거리와 통로에 흰색 카펫을 그립니다. 이 작품들은 고대의 장식에서 발견된 … [Read more...] about 어두운 콘크리트 길에 깔린 백색 카펫

노인들에게 ‘손 씻기 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

2018년 10월 2일 by 박한슬

노인들에게 ‘손 씻기 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

우리가 당연한 상식으로 아는 사실 중에는 생각보다 발견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사실이 많습니다. 예컨대 A형, B형으로 나누는 혈액형 분류체계인 ABO형 혈액형은 1901년에 처음 밝혀졌습니다. 건전지가 발명된 지 15년가량 지난 시점이고, 무궁화호와 같은 디젤기관차가 발명된 지 10년이 지난 시점에서야 인간의 혈액에 형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아낸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다수 수혈은 같은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 간에만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A형은 A형에게, B형은 … [Read more...] about 노인들에게 ‘손 씻기 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

경제 침체기에 직장 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의 특징

2018년 10월 2일 by 피우스

경제 침체기에 직장 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의 특징

※ Harvard Business Review의 「People Who Graduate During Recessions Earn Less Money — but They’re Happier」을 번역한 글입니다. 2009-2011년 사회에 나온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 전망은 아주 우울했습니다. 실업률도 역사적 수준으로 높았고, 일자리도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대학 졸업 후 9개월이 넘도록 직장을 잡지 못한 이들이 거의 절반에 달했습니다. 그나마 잡은 일자리도 임시직이거나, 복지 혜택도 … [Read more...] about 경제 침체기에 직장 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의 특징

적극적 소득 vs. 소극적 소득

2018년 10월 2일 by Yoona Kim

적극적 소득 vs. 소극적 소득

요 몇 달 동안 새로운 브런치 매거진을 구상했다. 현대인의 다른 '일' 혹은 '미래적 노동'에 관한 글만을 위한 공간이었으면 했다. 그러다 박성미 작가의 「돈이 되지 않는 일을 할 권리」라는 글을 만났다. 그녀의 글을 줄이면 이렇다. 새로운 활동의 등장: 디지털 시대, 이제는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활동 자체가 달라졌다. 상금은 존재하지만 월급은 존재하지 않는, 조건 없이 해내는 자발적인 노동이 여러 사업의 근간이 된다. 자발적 노동의 가치: 돈을 버는 일에 얽매이지 않음으로 인해 … [Read more...] about 적극적 소득 vs. 소극적 소득

  • « Previous Page
  • Page 1
  • …
  • Page 594
  • Page 595
  • Page 596
  • Page 597
  • Page 598
  • …
  • Page 1585
  • Next Page »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