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이 글은 5 Mobile Marketing Trends to Watch를 번역한 글입니다. 모바일은 점차 마케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채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블로그를 읽거나 이메일을 씁니다. 또한 구매활동도 이루어지지요. 이러한 모바일 활용은 우리의 일상에서 빙산의 일각일 뿐입니다. 점점 더 많은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모바일 트렌드는 계속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이러한 성장을 … [Read more...] about 놓쳐서는 안 될 5가지 모바일 마케팅 트렌드
전체글
글쓰기의 핵심: 사색과 천천히 읽기
바야흐로 글로 소통하는 시대다.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매체가 일상생활의 중심권역으로 들어온 뒤 글쓰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문자와 카톡, 메신지를 비롯한 개인 간의 소통수단은 물론이거니와 블로그와 페이스북, 트위터 등 보다 많은 사람과 소통하기 위한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 역시 글쓰기를 소통의 수단으로 삼는다. 디지털의 역설이라 할 만하다. 디지털문화가 발전할수록 아날로그적 글쓰기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글쓰기는 그리 만만한 것이 아니다. … [Read more...] about 글쓰기의 핵심: 사색과 천천히 읽기
왜 한글이 현지 발음을 존중해 줘야 하나?
* 이 글은 2006년에 쓴 글을 보완해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현지 발음에 맞게' 2000년 7월 7일 문화관광부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고시하면서 "현지 발음에 맞게"라는 원칙을 세웠습니다. 덩샤오핑이니 청룽이니 류더화니 하는 중국어 이름이 등장한 것도 이때부터입니다. 장국영을 장국영이라 부르지 못하고(장궈룽), 양조위를 양조위로 부르지 못하는(량차오웨이) 언어의 이중생활이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죠. 그런데 이 시기는 공교롭게도 유럽 축구가 한국에서 슬슬 … [Read more...] about 왜 한글이 현지 발음을 존중해 줘야 하나?
병사 계급 “용자” 일원화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병사 계급 "용사" 일원화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병사 계급 “용자” 일원화 개드립 모음
전태일, 불꽃이 되다
1970년 11월 13일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은 법치국가의 수도 한복판에서 법을 지키라고 외치며 분신했다. ‘인간의 존엄성’을 기본원리로 삼는다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폐병으로 쓰러져가는 열 서넛 시다들의 권리를 제발 살펴 달라고 호소하면서 자신의 몸을 불태웠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그의 육신을 스스로 불구덩이에 밀어 넣었다. 전태일이 죽은 며칠 뒤부터 김재준 목사나 기타 한국 기독교의 거인들 (조용기 따위와는 비교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되는)이 … [Read more...] about 전태일, 불꽃이 되다
왜 회사의 IT 시스템은 항상 골칫덩이가 되는가
먼저 예전에 썼던 data 관리에 관한 글을 전제로 하여 풀어 나갈 예정이므로, 먼저 링크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그리고 이 글은 다음 글의 2번, 좋은 회사의 두 가지 방향성 가운데 하나인 system/best practice 중심의 회사에 대한 글의 보충이다. 그러니, 이 글도 읽어주시는 게 도움이 된다. 원래 쓰려고 했던 업무 효율성에 관해 연재될 글의 2번. 좋은 회사의 두 가지 방향을 넣으려고 했고, 그 중에 System/Best Practice 중심의 회사에 대해 쓰려다 보니 … [Read more...] about 왜 회사의 IT 시스템은 항상 골칫덩이가 되는가
소녀, 희망을 말하다
<오마이뉴스> ‘엄지뉴스’에 예쁜 여고생 사진 하나가 떴다.[기사] 누군가가 찍은 ‘폰 사진’이다. 제목은 ‘고3 수험생, 보약 아닌 단식 택하다’. 칠판을 배경으로 여학생 하나가 서 있다. 춘추복인지 하얀 블라우스 위에 입은 조끼에 꽂힌 노란 리본이 눈에 들어오는데, 소녀는 노란 바탕에 검고 굵직한 글씨가 쓰인 종이 한 장을 들고 있다. 종이에는 굵직한 글씨로 ‘특별법을 제정하라’고 쓰여 있다. 칠판에는 이 여학생이 썼음직한 단정한 글씨로 다음과 같이 씌어 있다. 고3 수험생, … [Read more...] about 소녀, 희망을 말하다
한비자가 말하는 인간의 본성
상대를 설득하기 위한 열가지 방법 ● 인용 1. 상대방이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하여 해야 할 일을 하지 못하고 망설일 경우, 대의명분을 내세워 실행을 권고한다. 또한 비열한 짓인 줄 뻔히 알면서도 그 행동을 하고 싶어 안달을 부리는 상대방에게는 그의 마음에 들도록 명목(명분)을 내세워 실행을 권고한다. 2. 뜻은 좋지만 그것을 달성하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라고 생각하는 상대방에게는 ‘뜻을 이루는 데에는 항상 실수나 실패가 따르기 마련’이라는 것을 알려 주어 너무 완벽함에 얽메이지 … [Read more...] about 한비자가 말하는 인간의 본성
싱글세 비판 트윗 모음
[View the story "New Story" on Storify] … [Read more...] about 싱글세 비판 트윗 모음
자궁 이식 환자, 최초로 출산에 성공하다
전세계적으로 많은 부부들이 불임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불임 부부들을 돕기 위한 여러가지 의학 기술들이 크게 진보되었지만 한가지 성공하지 못했던 영역은 자궁이식을 통한 출산이었습니다. 자궁 (Uterus) 자체도 이식이 쉽지는 않지만 그보다 더 문제는 자궁을 이식한 후 여기서 10 개월 동안 임신을 유지시키고 성공적으로 출산을 이뤄내는 일이었습니다. 지금까지는 난소 기능은 정상인데 자궁에 문제가 있는 여성들은 대리모를 구하는 것 이외에 다른 방법이 없었습니다. 최근 … [Read more...] about 자궁 이식 환자, 최초로 출산에 성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