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세대의 보편적인 비주얼 감각은 인스타그램 감성으로 대변된다. 인스타그램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아래와 같다. 빈티지한 색감의 필터 2차원 평면 구도 인물을 작게 하고 배경 여백 강조 1:1 비율의 정뱡형 구도 무심함 어느새 인스타그램 감성은 좋은 비주얼이라는 등식이 되었다. 인스타그램 감성의 이미지는 리얼리티보다 판타지를 자극한다. 빈티지 필터는 2020년의 풍경을 6, 70년대의 감성으로 변주시킨다. 리얼한 풍경에 필터를 씌우고 다소 작위적인 이미지로 … [Read more...] about 인스타그램 시대의 예술작품
SNS
코로나19를 “연대”로 이겨내는 특별한 방식: 동영상 어플 ‘틱톡’과 ‘인스타그램’의 챌린지 현상
‘코로나19’라는 단어가 우리 일상으로 등장한 지도 수개월이 지났다. 많은 국가가 국경을 걸어 잠갔고, 사람들은 모두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제대로 된 백신조차 없는 상황에서 가까움이 되려 민폐가 되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인류에 닥친 최초의 고난은 아니다.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의 DNA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했던 과거 선조들의 저력이 각인되어 있을 것이다. 이번 코로나19도 예외는 아니다. 각계각층에서 연대로 이겨내고자 다양한 움직임을 … [Read more...] about 코로나19를 “연대”로 이겨내는 특별한 방식: 동영상 어플 ‘틱톡’과 ‘인스타그램’의 챌린지 현상
야구 개막 기념 “KBO IS WILD” 트윗 모음
https://twitter.com/yonhaptweet/status/1257610994123063298 https://twitter.com/lshlj/status/1257636326419034113 https://twitter.com/lgtwins_whyrano/status/1257592279788736512 https://twitter.com/good2bears/status/1257606141669806081 https://twitter.com/SilverHairSuki/s … [Read more...] about 야구 개막 기념 “KBO IS WILD” 트윗 모음
챌린지 문화를 선도하는 틱톡, ‘밈’으로 MZ세대와 새로운 문화 열어
요즘 ‘MZ세대를 일컫는 트렌드 키워드로 ‘판플레이’가 있다. 참여할 수 있는 ‘판’을 열고 논다는 뜻으로 판(놀 거리의 집합)과 play(놀다)의 합성어이다. 이는 더 이상 콘텐츠를 단순한 소비가 아닌 직접 제작하고 재미있는 놀이 판을 여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놀이가 바로 밈(meme)이다. 밈은 인터넷에 재미난 말을 적어 넣어서 다시 포스팅한 그림이나 사진 혹은 영상을 의미한다. 다소 생소한 언어지만 막상 예시를 들면 누구나 다 아는, 혹은 나도 한 번은 해봤을 법한 행위다. 주로 … [Read more...] about 챌린지 문화를 선도하는 틱톡, ‘밈’으로 MZ세대와 새로운 문화 열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는 콩글리시다
안녕하세요, 소미영어입니다. 평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서비스를 우리는 SNS라고 빈번하게 얘기하죠. 먼저 SNS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약자입니다. 단어를 해석해보면 사회적 관계망 서비스라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친구, 가족 등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SNS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의미가 잘 부합하겠습니다. SNS가 영어 단어여서 해외에서도 SNS 단어를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는데 실제로 … [Read more...] abou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는 콩글리시다
우리가 인스타그램에 중독되는 방식
나는 왜 디지털 디톡스에 실패했나 반년 전쯤, 디지털 디톡스에 처참하게 실패한 전력이 있다. 디톡스(detox)는 인체 유해물질을 해독하는 것을 일컫는 말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란 디지털 중독에 빠진 현대인들에 대한 처방으로써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는 요법을 의미한다. 디지털 단식이나 디지털 금식이라고도 표현하기도 한다. 당시 태국 치앙마이에서 여행 중이었던 나는, 여행하면서도 온갖 디지털 기기와 화면에 중독된 나의 모습에 불현듯 경각심을 느끼고 … [Read more...] about 우리가 인스타그램에 중독되는 방식
페이스북 서버가 다운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사람들은 뉴스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 《니만 저널리즘 연구소(Nieman Journalism Lab)》에 웹 트래픽 추적 전문업체 차트비트(Chartbeat)의 제품 엔지니어링 및 데이터 책임자 조시 슈워츠(Josh Schwartz)가 기고한 「What happens when Facebook goes down? People read the news」를 번역한 글입니다. 우리는 차트비트 데이터를 분석해 2018년 8월 3일 페이스북 서버가 45분 동안 다운되었을 때 웹 트래픽 패턴이 즉각 변화한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 [Read more...] about 페이스북 서버가 다운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사람들은 뉴스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어떻게 행동경제학으로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났나] ③ 누구도 페이스북 ‘좋아요’에 감동하지 않는다
※ Financial Times의 「Tim Harford: how behavioural economics helped kick my phone addiction」을 번역한 글입니다. 「② 우리는 아무 생각 없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에서 이어집니다. 파급 효과 폴 로머는 기술 혁신은 다른 분야의 혁신뿐 아니라 경제성장 그 자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파급 효과’로 최근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는 실험을 시작한 지 4주 후, 나는 예상하지 못했던 긍정적 효과를 발견하게 … [Read more...] about [나는 어떻게 행동경제학으로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났나] ③ 누구도 페이스북 ‘좋아요’에 감동하지 않는다
6·30 남북미 급번개 정상회담 트윗 모음
https://twitter.com/cmspm6p/status/1145236684927143936?s=21 https://twitter.com/HANBINIZM/status/1145225120052477952?s=19 https://twitter.com/srcordis/status/1145229087922745345?s=19 https://twitter.com/cat_cargo/status/1145223918426263553?s=19 https://twitter.com/Ryuz … [Read more...] about 6·30 남북미 급번개 정상회담 트윗 모음
[나는 어떻게 행동경제학으로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났나] ② 우리는 아무 생각 없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 Financial Times의 「Tim Harford: how behavioural economics helped kick my phone addiction」을 번역한 글입니다. 「① 이 사람은 무려 트위터를 끊었다」에서 이어집니다. 남은 시간을 보낸 방법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그러면서도 사람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개념에는 기회비용이라는 것이 있다. 무언가를 하겠다는 우리의 모든 결정은 동시에 다른 무언가를 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포함한다. 저녁 시간의 강연에 … [Read more...] about [나는 어떻게 행동경제학으로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났나] ② 우리는 아무 생각 없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