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xios의 「Audio takes off during the pandemic」을 번역한 글입니다. 무선 헤드폰과 스마트 기기가 대규모로 보급되고 사람들이 공공장소가 아닌 집에서 하루 종일을 보내게 되면서 오디오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모든 대형 미디어 및 기술 회사들은 시장에서 한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오디오 시장이 중요한 이유 오디오 시장의 붐은 접근성 개선에 힘입은 바 크다. 관련 콘텐츠 제작자들에게는 호재지만, 콘텐츠 … [Read more...] about 오디오 시장의 비상
IT
테크놀로지가 만든 디지털 범죄, 딥페이크
일출을 보기 위해 등산을 했다. 정상에 올라 이 세상을 환하게 밝혀줄 오늘의 태양을 기다렸다. 이윽고 기다리던 일출이 시작되며 어둡고 차가웠던 이 세상의 모든 공기를 붉게 물들인다. 구름에 가려져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는 태양이 조금은 원망스러웠지만, 구름 틈 사이로 빛을 뿜어내는 광경을 휴대폰으로 찍어 사진을 저장했다. 정상에서 내려와 휴대폰에 저장된 사진을 보니 역시 마음에 들지 않았다. 사진 편집 앱을 실행시켜 아주 멋스럽고 강렬한 빛으로 뜯어고친 후 SNS에 '#일출'이라는 … [Read more...] about 테크놀로지가 만든 디지털 범죄, 딥페이크
‘쓸쓸한 퇴장’ LG윙의 현재, 그리고 안드로이드폰의 미래
누구든 첫 경험은 오랫동안 어쩌면 영원히 잊지 못합니다. 첫 등교, 첫 이성친구, 첫 직장 등입니다. 그리고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우리는 첫 피처폰과 첫 스마트폰을 기억할 수 있는 세대입니다. 우리 뒷세대는 피처폰이라는 단어조차 생소해질 테죠. 여러분의 첫 스마트폰은 무엇이었나요? 저는 꽤 오래전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해왔습니다. 2004년 구입한 SC8000이라는 PDA폰이었습니다. 이후 형제 모델인 RW6100도 정말 잘 만든 기기여서 잘 사용했죠. 예전에는 스마트폰이라는 단어도 … [Read more...] about ‘쓸쓸한 퇴장’ LG윙의 현재, 그리고 안드로이드폰의 미래
이루다는 보건의료와 무관할까?: 보건의료에서 AI의 윤리
이루다가 불러일으킨 소란은 이제 좀 잠잠해졌지만, 그 여파는 여전히 남아있다. 제작사인 스캐터랩은 페이스북 메신저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인 이루다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 없이 사적인 카카오톡 대화를 사용하고, 걸러지지 않은 개인정보를 챗봇에 고스란히 노출하는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이후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만큼이나 우려가 확산되었다. 보건의료 영역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나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ML)은 … [Read more...] about 이루다는 보건의료와 무관할까?: 보건의료에서 AI의 윤리
쿠팡플레이? 가슴이 웅장해진다!
지난 12월 24일 크리스마스이브. 마치 산타클로스의 선물처럼 쿠팡의 OTT 서비스 - 쿠팡플레이가 론칭되었다. 파괴적 혁신의 대표주자 쿠팡답게, 신사업 출시 타이밍도 예술적이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5인 이상 모임 금지라는 강경책까지 더해져 그 어느 때보다 우울했던 크리스마스 연휴. 집콕 이외에는 별다른 계획을 세울 수 없던 수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즐길거리를 딱 제공해주었기 때문이다. 보통 1달 무료 이용을 보장하는 넷플릭스, 왓챠와 달리 특별한 프로모션은 없었지만, 기존 로켓와우 … [Read more...] about 쿠팡플레이? 가슴이 웅장해진다!
틴더 창업자가 투자한 하버드 중퇴생, 한국 시장을 택한 이유: 스픽 CEO 코너 인터뷰
Part 1. 한국인 100만 명이 다운로드한 영어 말하기 서비스 스픽 이승환(ㅍㅍㅅㅅ 대표, 이하 리):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코너(Connor): 영어 스피킹 앱 ‘스픽’의 대표 코너입니다. 한국 이름은 건호입니다. 승재: 한국 지사장이자, 운영 총괄 차승재입니다. 미국 이름도 Seungjae입니다. 리: 요즘 장사는 잘되나요? 코너: 네. 다운로드는 100만이 넘었고, 월 매출도 2020년 상반기 기준 평균 30% 증가했습니다. 승재: 누적 수업 횟수도 … [Read more...] about 틴더 창업자가 투자한 하버드 중퇴생, 한국 시장을 택한 이유: 스픽 CEO 코너 인터뷰
마이크로소프트 르네상스
1. 넷플릭스나 아마존의 문화는 새로운 게 아니다. 일찍이 마이크로소프트(MS)도 비슷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거슬러 올라가면 GE의 잭 웰치, 이른바 웰치즘(Welchism)이 '최고만 일하는 회사를 구축하는 류'의 원조라 할 수 있다. MS의 스티브 발머는 넷플릭스의 헤이스팅스와 유사한 면이 많았다. 둘 다 회사를 스포츠팀에 비유하기를 좋아했고, 성과 측정을 저성과자를 내보내는 도구로 사용했다. 발머는 스포츠 라이벌 느낌으로 경쟁자의 사진을 책상위에 놓고 항상 노려볼 것을 … [Read more...] about 마이크로소프트 르네상스
알파벳이 배당주가 될 수 있을까?
※ Sure Dividend의 「Will Alphabet Stock Ever Pay A Dividend?」를 번역한 글입니다. 배당 투자자들은 헬스케어, 유틸리티, 필수 소비재 등 다양한 시장 부문에서 우량 배당주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기술 부문에는 여전히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대형주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알파벳(GOOG; GOOGL)은 S&P 500 지수에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약 90개 종목 중 하나이다. 알파벳이 한 번도 배당금을 지급한 적이 없는 … [Read more...] about 알파벳이 배당주가 될 수 있을까?
자유경쟁 대신 정부가 강제한 주입식 경쟁,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은 대체 누굴 위한 법안인가
경쟁이 필요해? 정부가 강제로 붙여줄게! 최근 앱 개발사들 사이에서 한창 난리인 법안 하나가 있다. 앱 개발사가 앱을 출시하려면 반드시 ‘모든’ 앱 마켓에 출시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그것이다. 이 법안에 따르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게임을 내고 싶거든 무조건 애플 앱스토어에도 내야 하고, 심지어 갤럭시스토어에 원스토어에도 출시해야만 한다. 이 개정안의 의도는 간단하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의 시장 지배력이 너무 압도적이니, 다른 … [Read more...] about 자유경쟁 대신 정부가 강제한 주입식 경쟁,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은 대체 누굴 위한 법안인가
애플은 그동안 과분한 사랑을 받아왔다: 포트나이트의 소송이 알려주는 것
※ NBC News의 「Apple, Google or Facebook? The Fortnite lawsuit shows who's been getting too much love」를 번역한 글입니다. 애플의 부당한 관행이 알려지면서 혁신의 아이콘이라는 명성에 흠이 갔습니다. 어릴 때 슈퍼볼 경기에서 보았던 애플의 광고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이 광고에서 애플은 소설 “1984”를 패러디했습니다. 당시 경쟁자였던 IBM 컴퓨터를 독재 사회의 거대한 관료주의 “빅 브라더”로 … [Read more...] about 애플은 그동안 과분한 사랑을 받아왔다: 포트나이트의 소송이 알려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