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잘나가던 금융인, 전업투자자가 되다 리승환(이하 리):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 한상경(이하 한): 전업투자자… 라고 남들은 부르는데, 반백수라고 볼 수도 있네요. 리: 몇 시간이나 일하시죠? 한: 시장이 열리는 날은 특별한 일이 없으면 사무실에 있어요. 하루 8~9시간 앉아 있는 셈이죠. 공식적으로 회사에 매여 있지 않으니 백수라고 봐도 되겠지만, 사무실에 꼭 일하러만 나오는 건 아니에요. 사무실 사람들과 얘기도 하고 밥도 먹고. 말하자면 사랑방인 … [Read more...] about 채권을 알면 거시경제가 보인다: ‘매크로인컴’ 한상경 대표 인터뷰
투자
주식, 채권, 환을 활용한 리밸런싱: 『마법의 돈 굴리기』 저자 김성일 인터뷰
1. 자산배분 책을 낸 IT 엔지니어: 분산투자가 핵심 리승환(ㅍㅍㅅㅅ 대표, 이하 리): 어떤 일을 하고 계시나요? 김성일(『마법의 돈 굴리기』 저자): 은행에서 IT 관련 기획 쪽 업무를 맡고 있어요. 원래는 IT 엔지니어였는데, 회사에서 보내준 MBA에 다녀오고 나서 이쪽으로 업무가 바뀌었어요. 리: 그런데 어쩌다 자산배분 책까지… 김성일: 책을 쓴 이유는… 흔히들 경제, 주식 전문가라 하는 사람들이 언론에 많이 나와요. 그런데 이 사람들 하는 이야기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 [Read more...] about 주식, 채권, 환을 활용한 리밸런싱: 『마법의 돈 굴리기』 저자 김성일 인터뷰
퀀트로 저평가 우량주 고르기: 강환국 퀀트 투자자 인터뷰
1. '퀀트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 리승환(이하 리): 어떤 일 하십니까? 강환국(이하 강): 코트라에서 시장 조사를 하고 있어요. 그중에서 북미 시장을 담당하고 있고요. 이걸 물어보려고 부른 건 아닐 테고(…) 리: 네. 어쩌다 주식을 시작하게 되었나요…. 강: 취미로 시작했어요. 경영학 전공이었는데 금융과 회계에 관심을 가지게 됐죠. 자연스럽게 주식 관련 책을 접했어요. 학사 논문도 계량 가치투자 쪽으로 쓰고… 그리고 코트라에 취업한 뒤 계속해서 이쪽을 연구하다 보니 책도 … [Read more...] about 퀀트로 저평가 우량주 고르기: 강환국 퀀트 투자자 인터뷰
배워서 때우는 스타트업의 재무와 전략: 전 ‘띵동’ 김태원 CFO 인터뷰
1. 스타트업 능력자 the rising 리승환(이하 리): 자기소개를 해보세요. 김태원(이하 김): 원래 서울대 항공우주 전공으로 석사까지 한 뒤 삼성항공에서 조인트 프로젝트로 미국 가서 비행기 만들었어요. 근데 답답한 게 항공산업에서는 프로덕트 하나에 5년이 가요. 또 수주 사업이니까 경쟁 시장 관점도 없고요. 연구소 PM으로 있다 보니 좀 답답하더라고요. 그래서 엔지니어를 벗어나 컨설턴트가 되려고, 카이스트 MBA에서 전략과 재무를 배웠어요. 리: 그런데 왜 컨설턴트가 되지 … [Read more...] about 배워서 때우는 스타트업의 재무와 전략: 전 ‘띵동’ 김태원 CFO 인터뷰
대한민국 대표 이코노미스트가 보는 한국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홍춘욱 박사 인터뷰
역덕이 경제계로 뛰어든 이유 리: 전망은 잘 맞는 편인가요? 홍춘욱: 전망은 원래 늘 틀리는 게 정상이에요. 중요한 건 왜 그렇게 전망했는지 근거를 밝히는 거예요. 전제가 틀렸다면 방향을 돌려야 한다는 걸 투자자들이 알 수 있도록 노력하죠. 리: 어쩌다 금융업계에 뛰어들게 되셨나요? 홍춘욱: 원래 사학과 출신이었어요. 역사에 이어 경제사에 관심을 가지게 됐어요. 예로 옛날 경기가 어땠는지 알기 위해 무덤을 조사해요. 건설현장에서 나오는 뼈를 보고 키를 추산하죠. 이를 시계열로 … [Read more...] about 대한민국 대표 이코노미스트가 보는 한국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홍춘욱 박사 인터뷰
아파트 매매, 분해와 전망에 대하여: ‘하나금융투자’ 채상욱 부동산 애널리스트 인터뷰
1. 명심하세요, 그래도 부동산은 오릅니다 리승환(이하 리): 무슨 일을 하고 있나요? 채상욱 (이하 채): 2011년부터 하나금융투자에서 건설, 부동산 섹터 애널리스트를 하고 있어요. 2004년부터 삼성물산에서 건설 기술직 공돌이였는데, 증권과 금융 쪽에 관심이 많아서 여기까지 왔네요. 리: 어쩌다 공돌이가 금융으로 흘러온 거죠? 채: 공돌이들이 돈에 큰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삼성물산 동기 중 한 놈이 재테크로 돈을 좀 많이 모았어요. 이때부터 일자무식에서 공부했죠. 지금은 … [Read more...] about 아파트 매매, 분해와 전망에 대하여: ‘하나금융투자’ 채상욱 부동산 애널리스트 인터뷰
컨설팅 용어 총정리
컨설팅 자체가 외래어인지라 이제 막 컨설팅 업계에 관심을 갖게 되었거나, 아니면 아예 외부인이라면 도대체가 알아들을 수가 없는 용어들이 오고 가는 것을 분명 경험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컨설팅 업계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를 좀 정리하고 목록화 해보기로 했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생각날 때마다 수정 및 보완을 할 계획입니다. *비즈니스 전문용어는 제외했습니다 (ex. USP, Diversification, SWOT, Value chain, etc. 이런 건 “컨설팅 용어”가 아니라 그냥 … [Read more...] about 컨설팅 용어 총정리
‘마법의 돈 굴리기’: 한국형 자산 배분에 대한 A to Z
많은 사람이, 그것도 정말 수많은 사람이 부자가 되길 꿈꾼다. 부자가 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태어날 때부터 금수저로 태어나든가 그 외에는 금수저 집안과 결혼하는 방법, 개인 사업을 해서 대박 나는 방법, 혹은 ‘인생 한방’을 외치며 도박이나 로또에 도전하는 방법 등이 있다. 모두 다 결코 쉽지는 않아 보인다.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나 평범한 직장을 다니는 대부분에겐 말이다. 그렇다고 지금 다니는 직장을 때려치우고 사업을 하자니 리스크도 크다. 내가 벌이는 사업이 대박이 날 것이라는 가능성도 … [Read more...] about ‘마법의 돈 굴리기’: 한국형 자산 배분에 대한 A to Z
‘인구와 투자의 미래’는 노동시간에 달렸다
그래요? 데이터 줘보세요! 재테크에 대한 책 중 많은 수가 위기팔이, 폭락 인디언 기우제를 지내고 있습니다. 그 책들을 관통하는 대표적인 키워드 중 하나가 '인구 통계'입니다. 분명 인구 통계학은 투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위대한 채권 시장의 구루 빌 그로스도 외딴섬에 들어가서 투자를 해야 한다면 인구 통계 정보를 갖고 투자하겠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하지만 빌 그로스는 외딴섬에 들어가지 않으며 실제로 그가 인구 통계만 보면서 투자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 경제는 한 가지 지표만으로 … [Read more...] about ‘인구와 투자의 미래’는 노동시간에 달렸다
‘인구와 투자의 미래’: 한국의 미래는 그렇게 어둡지 않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자연의 섭리를 피할 길은 없다. 하지만 죽음을 맞이하는 방식은 제각각이다. 건강한 노년을 즐기다 평온히 여생을 마무리하는 사람이 있고, 비교적 젊은 나이에 지병을 앓다가 가는 사람도 있다. 대부분의 선진국이 늙어간다.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여가와 개인의 가치가 소중해지면서 출산율이 꾸준히 떨어졌기 때문이다. 고령화는 전부터 예상되었고, 이미 당도했고, 피할 수도 없다. 하지만 고령화를 맞이하는 방식은 나라마다 다르다. 고령화와 불황이 함께 찾아온 일본도 있지만 대부분의 … [Read more...] about ‘인구와 투자의 미래’: 한국의 미래는 그렇게 어둡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