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발자 일 못한다는 클라이언트, 돈 못 받는 개발자… 헬조선의 현실을 바꾸다 리승환: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 박우범: 위시켓(wishket)이라는 온라인 IT 아웃소싱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박우범입니다. 리: 어떤 아웃소싱을 받고 있습니까? 박: 주로 기업들의 IT 프로젝트 외주죠. 앱, 웹 개발, 디자인… 리: 개발과 디자인만 하는 건가요? 박: 처음에는 마케팅, 작문, 번역 등 다 했어요. 그런데 마케팅이나 번역은 누가 실력 있는지도 어느 정도 드러나 … [Read more...] about ‘외주 하면 망한다’를 ‘믿고 맡기는 외주’로 바꿔 연 100억까지: IT 아웃소싱 플랫폼 위시켓 박우범 대표 인터뷰
IT
소프트뱅크 100조 펀드, 그리고 4차산업혁명 스타트업
올해 소프트뱅크가 100조원(정확히는 지금 환율로 대략 110조 원)짜리 비전펀드를 만든 것이 세계적인 화제가 됐다. 몇 조짜리 벤처펀드만 되도 크다고 하는데 100조라니 전대미문의 규모이기 때문이다. 손정의 회장이 이 펀드를 만들고 어떤 회사에 투자하고 있는지 정확히 공개된 바가 없었다. 그런데 7월 21일 도쿄에서 가진 소프트뱅크월드 컨퍼런스 키노트발표에서 손 회장이 그의 투자 철학과 그가 투자한 10개 회사를 소개하는 자리가 있었다. 그 내용을 메모삼아 소개한다. 동영상은 여기에서 볼 … [Read more...] about 소프트뱅크 100조 펀드, 그리고 4차산업혁명 스타트업
당신의 상사는 어떤 유형입니까?
페이스북에서 개발자 A군이 "암 걸릴 것 같다…"며 한 동영상을 공유했습니다. ‘전문가(The Expert)’라는 제목의, 비유가 넘치는 짧은 코미디 필름이었죠. 내용은 프로그래머를 괴롭히는 제작 회의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개발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프로그래머 입장에서는 말도 안 되는 불가능한 것들을 요구합니다. 그것이 왜 기술적으로 불가능한지 설명하려 들면, ‘가능하다고 말하셔야죠. 당신은 전문가잖아요.’ 라고 반복합니다. 거칠게 요약했는데도 벌써부터 혈압이 … [Read more...] about 당신의 상사는 어떤 유형입니까?
58따오지아, 집안일 하지 마세요
주재원 가족 사이에 상해를 묘사하는 재미있는 표현이 있다고 한다. 올 때는 얼굴 찡그리고 왔다가, 돌아갈 때는 돌아가기 싫어서 우는 곳. 무슨 말이냐고 하니 처음에는 중국에 간다고 해서 걱정이었는데, 살다 보니 너무 편해서 돌아가기 싫어한다는 말이다. 대도시에 걸맞은 생활 수준과 그에 비해 현저히 낮은 인건비를 통해서 많은 양질의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으로 누릴 수 있는 곳이 상해다. 물론 특히 쇼핑 등 한국에 비해서 가격이 비싼 부분도 많아서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주로 사람이 직접 … [Read more...] about 58따오지아, 집안일 하지 마세요
가상현실 기대 콘텐츠 1위는 게임! 그럼 만화는?
가상현실 기대 콘텐츠는 무엇? 가상현실(VR)에서 될 만한 콘텐츠는 뭐가 있을까요? 넥슨컴퓨터 박물관 VR, AR, MR 관련 설문조사에서 “가장 기대하는 콘텐츠는 1위는 게임”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설문조사 항목에 만화(웹툰)이 없습니다. 물론 실제로 변변한 VR용 만화 콘텐츠가 없었던 이유도 있지만, VR에서 만화를 하는 스타트업으로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젊은이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매체로서 만화의 영향력을 볼까요? 연령대별 특성을 살펴보면 만 18세 이하는 … [Read more...] about 가상현실 기대 콘텐츠 1위는 게임! 그럼 만화는?
사이트 개선을 위한 실전 UX 분석 보고서 작성법
안녕하세요 뷰저블입니다. 오늘은 뷰저블의 실무 노하우가 담긴 글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최근 들어 웹분석과 UX 디자인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면서 데이터 분석가와 마케터, UX 디자이너가 한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는 일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협업 또한 '당연시'되게 되었죠. 하지만 많은 실무자들이 어떻게 웹 분석과 UX 디자인을 함께 사고하고 실행하는지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글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웹 분석을 UX 디자인과 함께 '어떻게 … [Read more...] about 사이트 개선을 위한 실전 UX 분석 보고서 작성법
1인 창작자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이용법
처음엔 “이미 몇몇 아는 친구들이 있으니 짤막하게 인터뷰를 하고 영상을 대강 편집해서 유튜브에 올려야지”라는, 단순한 개인 프로젝트였다. 디지털 노마드를 다루는 책이나 블로그는 많은데 제대로 된 영상물이 없었기에 재미있겠다 싶었다. 얼마 후, 어쩌다 보니 멀쩡하게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다큐멘터리 제작에 종일 매달리고 있었다. 까짓거 영상 하나 만드는 게 어려우면 얼마나 어려울까, 했던 게 완벽한 판단미스였던 셈이다. 콘텐츠 창작은 어렵다. 글도 영상도 그림도 그렇다. 1인 프로젝트면 … [Read more...] about 1인 창작자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 이용법
엑셀을 쓰세요
요즘 빅데이터라는 말이 하나의 유행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혹은 기존 것과 새로운 것의 경계가 모호해진 데이터를 다루는 것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기존에 해 오던 것들입니다. 하지만 '빅 데이터'라는 이름만 붙여서 주목받으려 하는 것에 가깝죠. 하지만 빅데이터를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빅데이터가 우리에게 해 줄 수 있는, 기존 비지니스에서는 할 수 없던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기존에 할 수 있었는데 안 한 것을 빅데이터라는 이름으로 포장할 필요는 없습니다. … [Read more...] about 엑셀을 쓰세요
인터넷이 당신의 고양이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
킥스타터에 “나는 당신 고양이가 어디 사는지 안다(I Know Where Your Cat Lives)”라는 흥미로운 프로젝트가 하나 올라왔다. 인터넷에 올라온 고양이 사진들의 메타 정보를 이용해 구글 지도에 사진이 찍힌 위치를 보여주는 프로젝트다. 이에 대해 NYT Upshot의 데릭 윌리스(Derek Willis)가 쓴 글이다. Mr. Mundy는 플리커, Twitpic,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사진공유 서비스들에 업로드된 고양이 사진들에서 위도와 경도를 추출했다. 이것들은 오늘날의 많은 … [Read more...] about 인터넷이 당신의 고양이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 것, 그것이 당신의 적성이다
※ Paul Graham의 「What Doesn't Seem Like Work?」를 번역한 글입니다. 나의 아버지는 수학자였다. 내가 어린 시절 내내 아버지는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사에서 핵융합 모델링을 했다. 그는 어릴 적부터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았던 운 좋은 사람 중 하나였다. 어린 시절을 이야기할 때마다 “12살 때쯤 수학에 관심이 생기던 시절”이 가장 중요한 터닝포인트였다고 한다. 아버지는 영국령 웨일스 지방의 풀헬리(Pwllheli)라는 작은 시골에서 … [Read more...] about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 것, 그것이 당신의 적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