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Bloomberg에 기고된 「You Don't Have to Be Smart to Get Rich」를 번역한 글입니다. "그렇게 똑똑한데, 왜 부자가 아닐까?" 학자들, 특히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던 질문이다. 훌륭한 질문이기도 하다. 이 질문은 사업가들에게도 적용된다. 지능의 한 척도일 뿐인 IQ와 근로 소득과의 연관성은 그리 강하지 않다는 게 점점 증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눈에 띄는 증거도 있다. 스웨덴 대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 [Read more...] about 부자가 되기 위해 아주 똑똑할 필요는 없다
바이런 윈, 80년을 살아오며 배운 20가지 교훈
※ The Big Picture에 기고된 「Byron Wien’s 20 Rules of Investing & Life」를 번역한 글입니다. 1. 영향을 미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훌륭한 아이디어'를 찾아라 저는 매년 <The Ten Surprises>를 내놓고 있습니다. 1986년에 시작한 예측 목록입니다. 전 세계 사람들이 이를을 읽으며 저와 공감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부분은 매년 연말쯤 내년에 일어날 수 … [Read more...] about 바이런 윈, 80년을 살아오며 배운 20가지 교훈
워런 버핏과 스티브 잡스가 말하는 “인생에서 성공하는 방법”
※ Inc.,의 「Warren Buffett and Steve Jobs Said Your Overall Success in Life Comes Down to 4 Words」를 번역한 글입니다. 워런 버핏은 오래전에 중요한 깨달음 한 가지를 얻었다. 한 MBA 학생이 버핏에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무엇을 하겠느냐'고 묻자, 버핏은 이렇게 답했다. 기업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좋아하는 일을 하라 이 … [Read more...] about 워런 버핏과 스티브 잡스가 말하는 “인생에서 성공하는 방법”
“명품은 필요성을 따지지 않고 사는 필수품이다”
※ Chartr의 「Enterprise De Luxe」를 번역한 글입니다. 필수품이 된 명품 명품은 필요성을 따지지 않고 사는 필수품이다. 코코 샤넬이 말한 바 있다. 사람들이 왜 30달러짜리 시계와 같은 시간을 알려주는 3만 달러짜리 시계를 사는지 이해할 수 없는 구식 경제학자들에게는, 확실히 황당한 표현일 수도 있다. 물론 그 답은 "할 수 있기 때문에"와 "기분이 좋기 때문에"다. 지극히 인간적인 두 가지 이유가 결합된 것이다. 이 두 가지 이유는 지난 10여 년 동안 … [Read more...] about “명품은 필요성을 따지지 않고 사는 필수품이다”
지금의 넷플릭스를 만든 10가지 전환점
※ Understandably의 「A brief history of Netflix」를 번역한 글입니다. 1. 판매에서 임대로 스트리밍이 아직 존재하지 않았던 시절, 넷플릭스는 DVD 판매 사업을 하고 있었다. 넷플릭스가 처음 사업을 시작했던 것은 1998년이다. 당시에 전 세계의 모든 DVD를 취급했다. 모두 합해서 925개였다. 그러나 월마트나 베스트바이 같은 소매 업체들이 넷플릭스를 무너뜨릴 것은 자명한 사실이었다. 그래서 회사는 DVD판매에서 DVD대여로 바꾸었다. 첫 … [Read more...] about 지금의 넷플릭스를 만든 10가지 전환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는 누구일까?
※ 이 글은 CFA Institute에 실린 「The 10 greatest US investors and the Virtues That Made Them」을 번역한 글입니다. 인간의 노력이 담긴 분야로서 금융 세계만큼 역사가 중요하지 않은 곳도 거의 없을 것이다. 과거의 경험은, 기억의 일부라는 범위 내에서, 현재의 놀라운 경이로움을 알아볼 통찰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원시적 피난처로 치부된다.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는 … [Read more...] about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는 누구일까?
극적인 파산으로 빈손이 된 억만장자들
억만장자라고 해서 모든 재산을 잃지 말라는 법은 없다. 상위 1%에 속하는 이들도 단 몇 가지 실수를 저지르거나, 때로는 불법을 저지르면 다시 바닥으로 곤두박질치곤 했다. 앨런 스탠퍼드 앨런 스탠퍼드(Allen Stanford)는 미국의 금융가이자 프로 스포츠 후원자였다. 전성기 시절에는 22억 달러의 재산을 자랑하며 전용기와 요트를 마음껏 즐겼다. 그러나 2009년, 그의 재산은 역사상 두 번째 규모의 폰지 사기를 통해 부당하게 얻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 [Read more...] about 극적인 파산으로 빈손이 된 억만장자들
오늘날의 어두운 몽상, “부자가 되고 싶지만 일하기는 싫어요”
※ DARIOUS FOROUX에 기고된 「Get Rich Without Working: The Dark Fantasy of Today」를 번역한 글입니다. 자는 동안 돈을 벌자! 1982년 8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장기간 이어졌던 미국 주식시장 강세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슬로건이다. 이 17년 동안 미국 주식시장은 인플레이션으로 조정하고도 1,128%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하지 않고도 부자가 될 수 있다고? 꿈 아닐까? 『In Bull: A History of the … [Read more...] about 오늘날의 어두운 몽상, “부자가 되고 싶지만 일하기는 싫어요”
성공의 보편적인 법칙 5가지
※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에 게재된 Peter Coy의 「The Five 'Universal Laws of Success' 」를 번역한 글입니다. 과학자 앨버트-라즐로 바라바시는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더글라스 프레셔는 오늘날 생명과학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형광 단백질을 해파리 촉수에서 처음 발견한 인물이다. 이 정도의 공로라면 당연히 노벨 화학상을 받아야 마땅했다. 하지만 노벨상은 다른 세 명의 … [Read more...] about 성공의 보편적인 법칙 5가지
부자들의 기이한 특성 3가지
※ The Motley Fool에 Morgan Housel이 기고한 「Peculiar traits of rich people」을 번역한 글입니다. 부자들에게 느낀 아주 재미있었던 점은 부와 소득 사이의 관계가 아주 적다는 것이다. 마이크 타이슨은 권투 경기를 하면서 3억 달러를 벌었지만 파산했다. 고아에다 미혼이었던 한 행정 보좌관은 은행에 수백만 달러를 넣어둔 채 죽었다. 많은 부자들이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들은 그저 돈에 대해 … [Read more...] about 부자들의 기이한 특성 3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