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요즘 잘 지내? 최근, 서로 다른 사람들로부터 ‘곁을 잘 내주지 않는다’는 말을 들은 일이 있었다. 틀린 말은 아니어서 당시에는 웃어 넘겨버렸지만, 지나고 보니 괜시리 싱숭생숭한 기분이 들었다. 공공연히 구실을 만들어 나간 자리에서 맘에도 없는 호들갑을 떨고 속에 있는 말, 없는 말을 다 털어내고 돌아왔다. 그런데도 뭔가 허전했다. 정말 많이 웃었는데도 불구하고 어딘가 잘못된 것 같은 그런 애매한 느낌. 드문 얘기는 아닐 것 같다. 일상 속에서 자주 마주하는 이런 감정들. … [Read more...] about 당신에게 유해한 ‘공감’을 멀리하라
유전무죄: 있는 사람들이 법 없이도 잘 산다
현실의 사건을 모티브로 삼는다는 것은 소재 자체의 섬세함과 함께 그 행위 자체가 내포한 메시지 때문에 더욱 조심스러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더욱이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소설에서 독자들이 기대하는 바는 어느 정도 정해지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어떤 소설가가 현실에 존재하는 일을 모티브로 삼아 소설을 쓰려고 한다면, 거기에는 마땅히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소설은 허구에 의해 쓰여졌다.” 공지영의 신작 『해리』는 ‘이 소설로 인해 누군가를 떠올려도 … [Read more...] about 유전무죄: 있는 사람들이 법 없이도 잘 산다
‘작가’ 공지영은 신작 소설로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현실의 사건을 모티브로 삼는다는 것은 소재 자체의 섬세함과 함께 그 행위 자체가 내포한 메시지 때문에 더욱 조심스러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더욱이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소설에서 독자들이 기대하는 바는 어느 정도 정해지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어떤 소설가가 현실에 존재하는 일을 모티브로 삼아 소설을 쓰려고 한다면, 거기에는 마땅히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소설은 허구에 의해 쓰여졌다.” 공지영의 신작 『해리』는 ‘이 소설로 인해 누군가를 떠올려도 … [Read more...] about ‘작가’ 공지영은 신작 소설로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당신은 ‘벗은 몸’을 어떤 눈빛으로 바라보고 있으십니까?
추리소설에 나오는 탐정이나 수사물 드라마에 나오는 수사관들은 주어진 사건을 해결하고 범인을 특정하기 위해 다양한 증거들을 사용하고는 한다. 이를테면 범행 시각의 알리바이, 증언들, CCTV나 사진, 혹은 지문과 같은 물리적인 증거들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증거들보다 한 사람의 몸에 남겨진 흔적들이 더 많은 사실을 말해주기도 한다. 발걸음을 떼어 놓을 때 양쪽 발끝이 향하는 각도나 펜을 쥐고 있는 손가락의 파지법, 굳은살이 박힌 위치 같은 것들.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 [Read more...] about 당신은 ‘벗은 몸’을 어떤 눈빛으로 바라보고 있으십니까?
『미실』의 김별아 소설가와 함께하는 서울산책
무서운 속도로 변화하는 서울 서울이라는 도시를 생각할 때, 아무래도 요즘 사람들이 떠올리는 것은 서울이라는 도시가 지닌 역사와 시간의 무게보다는 경제적으로 크게 발달한, 메트로폴리스로서의 서울의 모습인 듯하다. 실제로 ‘한강의 기적’과 같은 전 세기의 수사를 굳이 동원하지 않더라도 서울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2014년에 이미 327조에 다다랐으며, 그 인구수는 1,000만에 육박한다. 늘어난 것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경제적 가치나 인구수만이 아니다. 한때 사대문 안을 이르는 … [Read more...] about 『미실』의 김별아 소설가와 함께하는 서울산책
성폭력 생존자와 가해자가 16년 만에 다시 만난 이유 ‘용서의 나라’
1. 모니터 앞에서 모니터에는 한 남자로부터 온 답장이 띄워져 있다. 그 메일은 한 여자의 용기와 강인함을 칭찬하는 한편 동시에 과거에 자신이 저지른 어떤 일을 청산하기 위해서라면 어떤 일이라도 하겠다는 다짐을 담고 있다. 놀랍게도 메일을 보낸 남자, 톰 스트레인저는 이 책 『용서의 나라』의 저자인 토르디스 엘바의 첫사랑이자 그녀를 강간한 남자다. 1996년 11월 16일 댄스파티에서 술에 취한 상태에서 연인으로부터 강간당하는 사건을 겪은 토르디스는 자신이 이러한 상황을 자초했다는 부당한 … [Read more...] about 성폭력 생존자와 가해자가 16년 만에 다시 만난 이유 ‘용서의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