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서 오타쿠를 검색해 보았다. 사실 오타쿠가 무엇이 나쁜가. 그저 자기 좋아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고, 또 돈을 쓰는 것 뿐 아닌가. 하지만 오타쿠의 이미지는 끝을 모르고 내려가고 있다. 하지만 한 가지 예외가 있으니, 바로 성공한 덕후 – 속칭 능덕 – 이다. 이에 성공한 덕후 10인을 뽑아 보았다. 10위 코비 브라이언트 (NBA LA 레이커스 선수) 최근 NBA에서 조던을 넘어 역대득점 3위를 기록한 코비 브라이언트는 연습광이다. 그의 연습 일화는 … [Read more...] about 전세계의 성공한 덕후 Best 10
클라라 성적수치심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클라라 성적수치심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클라라 성적수치심 개드립 모음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개드립 모음
박근혜 “애국가 따라 나라사랑” 비판 트윗 모음
[View the story "박근혜 "애국가 따라 나라사랑" 비판 트윗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박근혜 “애국가 따라 나라사랑” 비판 트윗 모음
김무성 “열악한 알바, 좋은 경험” 비판 트윗 모음
[View the story "김무성 "열악한 알바" 좋은 경험이라 생각해야" on Storify] … [Read more...] about 김무성 “열악한 알바, 좋은 경험” 비판 트윗 모음
통진당 해체 비판 트윗 모음
[View the story "통진당 해체 비판 트윗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통진당 해체 비판 트윗 모음
[게임 좌담회] 중독 이슈 던지고 고용 늘려 선순환 만들어야
3편 [게임 좌담회] 모바일 게임으로의 전환, 위기를 넘어 멘붕의 게임업계에서 계속됩니다. (피처 이미지: 원사운드) 정부의 역할: 가만히 있… 지 말고 적재적소의 지원이 필요 지금까지 정부는 게임업계에 제대로 된 도움을 주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 급속도로 인력이 유출되고, 능력 있는 인재들이 실패를 겪고 있는 시기에야말로, 정부가 적재적소에 자금을 공급해줘서 시장을 안정적으로 굴려야 할 때이다. 리: 정부는 뭘 하면 될까요? 전원: 가만히만 있으면 … [Read more...] about [게임 좌담회] 중독 이슈 던지고 고용 늘려 선순환 만들어야
조현아-마카다미아 개드립 모음
[View the story "조현아-마카다미아 개드립 모음" on Storify] … [Read more...] about 조현아-마카다미아 개드립 모음
[게임 좌담회] 모바일 게임으로의 전환, 위기를 넘어 멘붕의 게임업계
[게임 좌담회] 전세계가 한국 인력에 눈독, 대책 없는 정부와 기업에서 이어집니다. 늘어나는 비용과 양적으로만 팽창하는 한국 게임업계의 위기 참석자들은 이미 모바일 게임도 웹 시대의 게임이 그랬듯 마케팅 비용 경쟁 시대에 들어선 것으로 평가했다. 또한 한국은 너무 게임이 양적으로 팽창한 상태라 질적 전환으로의 도약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김: 사실 모바일 회사들은 그리 많은 돈이 필요하지는 않아요. 캐주얼 게임의 경우 1억 정도면 제품 하나 보여줄 수 있고, … [Read more...] about [게임 좌담회] 모바일 게임으로의 전환, 위기를 넘어 멘붕의 게임업계
[게임 좌담회] 전세계가 한국 인력에 눈독, 대책 없는 정부와 기업
[게임업계 좌담회] 한국, 적극적 투자·M&A 통한 선순환이 필요에서 이어집니다. 중국 게임사, 이미 한국을 뛰어넘어 중국 게임 시장에 대해서는 상상을 넘은 높은 평가가 나왔다. 이미 한국 게임 수준을 따라잡은지 오래라는 것. 하지만 여전히 창조적인 면에서는 한국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좀 더 높은 단계로 가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맞고 있다고 평했다. 김: 요즘은 반대로 일본, 중국 회사가 한국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지요. 그쪽을 더 눈여겨 볼 … [Read more...] about [게임 좌담회] 전세계가 한국 인력에 눈독, 대책 없는 정부와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