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책은 쓰는데 수십 년, 아니 평생이 걸린다. 유리 슐레비츠의 책 『우연 Chance』이 그렇다.
1.
지은이인 유리 슐레비츠는 그림책 좀 보는 사람이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 칼데콧 상 수상 작가이다. 그런 작가가 2020년에 낸 책이다. 한국에서는 2022년 올해 번역 출간되었다.
그가 살아온 이력은 무척 복잡하다. 그는 1935년에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유대인으로 태어났다. 전쟁이 발발한 후 유대인 박해를 피해 다른 나라로 도주했다. 러시아 비알리스톡과 투르키스탄에서 난민 생활을 했고, 라이프하임 난민수용소에서 생활했다. 이후 파리로 건너온 후, 이스라엘로 이주했다가 20대에 최종적으로 미국에 정착했다.
그의 새로운 책 『우연』은 무국적자, 난민으로 살았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정도의 경험이라면 평생 트라우마가 되는 법이다. 어린 자신은 너무도 무기력했으며, 부모님은 자신을 사랑함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상처를 줬다. 이런 기억에 대해 거리를 두고 쓰는 게 정말로 어려웠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는 이 책을 노년에 쓴 이유와 연결될 것이다. 이제는 정말로 고통스러운 경험을 털어낼 수 있다고 생각해서 그렇기도 하고, 세상이 이제야 난민이라는 소수자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2.
이 책은 유대인 수용소만큼 잔혹하지는 않더라도, 굶주리고 차별받고 내쫓기고 놀림당하고 이해받지 못했던 유년기를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예상되다시피 책에는 섬뜩한 장면들이 나온다. 투르키스탄에서 아버지는 식량을 구한다며 어디론가 떠나 버리고, 어머니와 다섯 살 유리 둘만 남는다. 둘이서 남아 굶고 또 굶는다. 그러다 어느 날 엄마는 유리에게 근처의 토마토밭에서 토마토 하나만 따다 달라며 부탁한다.
유리는 토마토를 따다 일꾼에게 적발된다. 커다란 남자 어른이 주먹을 휘두르자 대여섯 살의 굶주린 아이는 그대로 나가떨어진다. 하지만 유리가 더 뚜렷하게 기억하는 것은, 정신을 잃은 아이를 내려다보며 차라리 굶어 죽겠다고 말하는 엄마의 얼굴이다.
학교도 안식처가 되지 못한다. 어린 사내아이들은 쉬는 시간마다 맨주먹으로 권투 연습을 한다. 이들은 당연하게 유대인인 유리를 불러 샌드백처럼 주먹을 꽂는다. 굶주림에서 구원받아 문명의 세계에 안착하고 난 후에도, 유리는 약자라는 이유로 여전히 그 안에 도사리는 야만의 대상이 된다.
이 모든 고난 속에서, 유리는 그림을 그렸다. 끝없이 그렸다. 그림만이 배고픔을 잊을 수 있도록 도와줬고, 그림만이 샌드백으로 따돌림받는 시간을 견디게 해주었고, 그림만이 자신을 끌어 올려 상을 받게 해주었으니까. 그에게 그림은 더 나은 위치로 올려주는 동앗줄이었던 것이다.
3.
이런 경험을 담담하게 쓰려면 내면을 몇 번이나 갈아엎어야 하는 것일까. 어쩌면 마지막 작품이 될 수도 있는 이 책을, 그는 어떤 마음으로 쓰고 그렸을까.
유리 슐레비츠는 뛰어난 비주얼 테크닉을 구사하기로 유명한 작가다. 그런데도 이 작품에서는 거친 펜과 목탄만으로 단순한 그림을 그렸다. 고갱이만 남긴 고통은 더욱 생생하고 처절하다. 그의 내면 속에서 몇십 년을 접고 접고 또 접어서 단순화된 고통이 읽는 사람을 더욱 절절하게 만든다.
제목이 ‘고난’이나 ‘슬픔’이 아닌 ‘Chance’인 것 또한 의미심장하다. ‘Chance’는 완벽히 ‘우연’으로 대치할 수 없는 단어다. 유리 슐레비츠는 이 단어를 계획대로 되지 않는 인생의 풍파에 속절없이 휩쓸려 산다는 게 어떤 것인지 보여주는 데 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몇 개의 선과 몇 개의 그림으로 모든 고통을 뭉뚱그릴 수 있을 때까지 살아남았다. 그 생존의 과정이 어떤 것인지 말하고 싶어서 ‘Chance’를 제목으로 삼은 게 아닐까, 그렇게 생각해 본다.
이 작품을 통해 난민의 삶이 어떤 것인지 알리고 싶었을 유리 슐레비츠에게 존경을 표한다.
원문: Joyce Park의 페이스북
이 필자의 다른 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