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ulling the goalie’. 아이스하키에서 골키퍼를 빼고 대신 공격수를 넣는 전술이다. 만약 감독이 이런 짓을 하면 미쳤다고 한다. 그래도 하는 건 1~2분 남은 시점에 지고 있는 팀일 때. 이 전술을 쓰면 실점 확률은 4배로 뛰지만, 득점 가능성도 곱절이 된다.
2.
푸틴은 지금 미쳤다는 소릴 듣는다. 다들 ‘왜?’라고 묻는다. 넓게 보면 침공 이유는 뚜렷하다. 러시아는 시간이 없다. 극단적으로 말해 망해간다. 인구는 1993년, 경제는 2015년부터 역성장하고 있다. 골키퍼를 뺄 때다.
피터 자이한은 맞는 말도 재수없게 한다. 그래서 싫어했는데, 이번에 그의 책 『셰일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을 다시 꺼냈다.
러시아가 인구 감소에서 살아남으려면 우크라이나·벨로루시·몰도바·루마니아·폴란드·발트 3국·조지아·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등 11개국을 흡수하는 방법 외에는 도리가 없다.
이 책은 2017년에 나왔다. 이 관점에서 우크라이나 침공은 불확실성이 아니다. 일어날 일이다. 러시아의 이상적인 국경선은 소련 때 달성했다. 동쪽은 톈진 산맥과 카라쿰 사막, 중앙은 대초원이 방벽 역할을 했고, 남부는 코카서스 산맥이 지켰다. 유럽은 다뉴브강과 카르파티아 산맥까지 확보했기에 방어할 공간은 동서독이 접하는 300km가 전부였다.
소련이 무너지면서 모두 잃었다. 그런데도 국경선은 소련 때보다 더 길다. 모스크바까지는 더 가깝다. 소련 때보다 인구는 줄었고, 곤두박질친 출산율 때문에 상황은 더 악화한다. 산업 고도화도 실패했고, 외국인 유입도 어려운 상황. 유일한 선택지는 힘이 남아있을 때 국경을 ‘방어 가능한’ 수준으로 넓혀 놓는 것. 액션플랜도 있다.
- 우크라이나 침공: 2014년 이후 꾸준한 견제로 무력화한 우크라이나를 점령한다. 기껏해야 경제 제재로 맞설 유럽 국가를 분열시킨다.
- 발트 3국 확보와 스칸디나비아 견제: 발트 3국을 침공하는 건 러시아에겐 일도 아니다. 기갑부대로 반나절이면 수도까지 갈 수 있다. 문제는 단단히 결합한 북유럽 4국의 견제, 만만치 않지만 물량 공세로 지구전화한다.
- 폴란드 접수: 러시아의 대평원은 폴란드 동부로 가면 약 300킬로미터로 좁아진다. 결국 러시아의 생존 작전은 여기서 대미를 장식할 텐데, 저자는 독일의 재무장은 필연적이며 참전도 불가피하다고 본다. 바르샤바에서 독일까진 500킬로미터다.
- 코카서스 확보: 가장 쉬운 미션. 이미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는 영향권 안에 있고,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도 버거운 약체. 여기까지 확보하면 마지막 퍼즐까지 완성.
우크라이나 침공은 현실이 됐지만, 저자가 틀린 게 있다. 그는 키이우 점령은 일도 아니라고 봤다. 현실은 모두가 아는 대로다. 푸틴은 ①부터 난관에 부딪힌 것. 그래도 멈추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뒤가 없기 때문이다.
2.
키를 쥔 나라는 두 곳이다. 우선 독일. 재무장과 참전(!)은 피할 수 없다는 얘긴데, 일단 전자는 확실하다. 거의 언급되지 않는 변수는 독일이 가동 중단했던 원전이다. 후쿠시마 사고 전까지 독일 에너지의 4분의 1은 원전에서 왔다. 이후 해체에 들어간 원전은 1기뿐. 이 말은 되돌리면 독일은 25% 추가 발전 역량을 갖췄다는 얘기.
의외의 키맨은 터키다. 유럽에서 유일하게 튼튼한 인구 구조와 상비군을 갖췄다. 흑해 통제권과 코카서스에 개입할 능력이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그래서 러시아가 놓은 수가 시리아다. 러시아는 일부러 시리아 반군을 격퇴해 IS의 공간을 만들었다. 난장판이 된 시리아에서 난민은 터키로 쏟아졌고, 터키는 유럽으로 내보냈다. 그 결과 유럽과 터키는 등을 돌렸다.
러시아는 오래 전쟁을 준비했다. 엄청난 돈을 쌓았다. 몇 년 전 푸틴이 연금개혁을 하느라 지지율이 폭락했다. 연금 수령 연령을 65세로 높였는데, 러시아 남성 평균 수명이 64살(!)이다. 거기에 정부 기관의 자국 국채 투자를 허용했다. 미국과 유럽이 신뢰를 깨면서 러시아 중앙은행의 예치금을 동결한 이유다. 이건 군자금이다. 몇 가지 결론은,
- 러시아의 유럽 침공은 계속된다.
- 침공은 장기화하고 유럽은 전장이 된다.
- 결과에 상관없이 러시아는 몰락한다.
- 에너지 불안은 심화한다.
3.
변수는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도 쉽게 손에 넣지 못했다. 또 유럽과 미국이 단결했다. 독일이 아주 빠르게 재무장을 선언했다. 절박한 푸틴에겐 악몽이다. 그래도 선택지가 없으니 전쟁이 길어지고 커질 거라는 데 걸고 싶다.
한 걸음 더 가면 이 난리로 북해 원유는 중부 유럽으로 향하고, 이걸 뺏긴 서유럽은 아프리카에서 당겨 온다. 그럼 러시아산 수입이 막히고, 아프리카 원유가 유럽으로 가면 피해 보는 건 누구일까? 동북아시아다. 굶주린 동북아시아와 인도는 소용돌이에 휘말리는데…
저자는 미국이 나토에 대한 의무를 하는 건 바보 같은 짓으로 평가한다. ‘미국이 만든 세계’는 무너져도 미국이 피해볼 건 없다는 것. 이번 사태에 바이든은 푸틴의 예상보다 강경하게 나섰지만, 이 사태가 장기화하고 미국 내 휘발유 가격이 계속 치솟아도 같은 자세일까? 차라리 무기 지원하며 셰일을 팔면 된다. 역시 재수 없다.
Non US 투자 재고와 에너지 기업과 원자력, 농산물, 희귀 금속 비중 확대 그리고 유럽 비중 축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볼 시점이 온 듯하다.
원문: 남궁민의 페이스북
이 필자의 다른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