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해초, 병원성 세균을 걸러 주는 ‘천연 필터’입니다

2025년 5월 27일 by 고든

출처: Cornell University

해초(seagrass)는 육지에서 살던 개화 식물이 백악기 후기에 다시 물로 들어간 식물입니다. 남극 대륙을 제외한 전 세계의 얕은 바다에 뿌리를 내리고 번성하고 있습니다. 해초가 만드는 목초지(seagrass meadows)는 많은 해양 생물이 살 수 있는 보금자리로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조리흐 램 교수와 코넬 대학의 드류 하벨 교수(Joleah Lamb, assistant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Charlie Dunlop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Drew Harvell, professor emerita of ec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at Cornell)가 이끄는 연구팀은 도시 인근 바다에 있는 해초가 항생제 내성을 지닌 병원균을 65%나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얕은 바다에 있는 해초들은 육지에서 온 입자들을 거르는 천연의 필터 역할을 합니다. 연구팀은 이 가운데 인간의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얼마나 제거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 주의 퍼젯 사운드 해변(Puget Sound beaches)의 20곳에서 홍합을 채취해 아가미 속에 있는 세균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주변에 해초가 있는 경우 병원성 세균의 빈도가 65%까지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시 앞 해초 목초지가 병원성 세균의 필터 역할을 해준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준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인도네시아에서도 해초가 병원성 세균의 숫자를 50% 정도 줄인다는 점을 밝혀냈습니다. 이를 종합하면 열대 바다이든 온대 바다이든 간에 해초가 세균을 걸러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밥 프릴과 SeaDoc Society가 제작한 영상. SeaDoc Society 디렉터 조 게이도스가 내레이션을 맡았습니다. / 출처:  SeaDoc Society

최근 항생제 내성균이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항생제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생활 하수를 통해 유입되는 항생제 내성균 역시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하수 처리 시스템으로는 이 세균을 모두 없앨 수 없기 때문에 환경에 자꾸만 내성균이 흔해지는 일을 막기 힘듭니다.

​문제는 이렇게 퍼진 항생제 내성균이 다시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 경우입니다. 물속에 있는 세균은 결국 해산물로 옮겨가 우리에게 다시 돌아옵니다. 아무리 열로 조리한다고 해도 요리 과정에서 죽지 않은 세균이 뭍어 우리 주변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해초가 이런 세균들을 걸러 주는 자연의 필터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해초가 세균에 감염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 있으나, 우리가 이 해초를 먹진 않기 때문에 적어도 식품 안전에서는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 김, 미역은 전혀 종류가 다른 해조류입니다)

​연구팀은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해 해초가 매년 감소하는 추세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해산물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해초를 보호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원문: APERTURE LABORATORIES


참고

  • 「Seagrasses filter human pathogens in marine waters」, PHYS.ORG
  • Phoebe D. Dawkins et al, Seagrass ecosystems as green urban infrastructure to mediate human pathogens in seafood, Nature Sustainability (2024). DOI: 10.1038/s41893-024-01408-5

이 필자의 다른 글 읽기

  • 기생충을 이용한 뇌 질병 치료가 가능할까?
  • 물을 많이 마시면 건강에 좋을까?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스쿠버 다이버: 물아놀도마뱀

Filed Under: 환경

필자 고든 twitter

http://blog.naver.com/jjy0501/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