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드티
머리 부분을 덮는 쓰개가 달린 티
-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1. 저지 섬에서 만든 저지
스웨터는 니트나 뜨게질을 한 소재로 만들어진 의복으로 긴 소매를 가진 의복을 말하는데요. 양모로 손 뜨개질을 한 것은 2천 년 전부터이지만 15세기가 되어서야 영국의 저지 섬에서 니트 셔츠가 탄생하게 돼요. 따라서 저지라고도 부르죠. 이 스웨터는 축축해도 따뜻했기 때문에 주로 선원과 어부들에게 널리 사용되었어요.
2. 스웨트셔츠, 면으로 만든 땀복

1890년, 이 스웨터는 미국 운동선수들에게도 사용되었는데요. 땀을 빼기 좋은 옷이라는 뜻으로 스웨트셔츠가 되었다는 설이 있어요. 하지만 스웨트셔츠는 양모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무겁기도 했고, 양모는 세탁을 하면 옷이 줄어들고 말리는 시간도 오래 걸리는 등 문제점도 있었어요.
1926년 앨라바마 크림슨 타이드 풋볼팀의 쿼터백이었던 벤자민 러셀 주니어가 불편함을 해결할 아이디어를 생각해내죠. 바로 면으로 만든 스웨트셔츠였죠. 러셀은 이 아이디어를 아버지에게 말했고, 아버지는 이를 현실화했어요. 1930년에 러셀 애슬레틱 밀스를 설립하여 면으로 만든 스웨터셔츠를 생산했던 거죠. 이 러셀 애슬레틱은 아직도 스웨트셔츠를 판매하고 있어요.
3. 맨투맨, 국내 최초의 스웨트샤쓰

한국에서는 이상하게 스웨트셔츠를 ‘맨투맨’으로 부르는데요. 이것은 국내 최초의 스웨트셔츠와 관련이 있습니다. 1953년 창업한 성도섬유라는 회사가 있었는데요, 이곳은 1974년 국내기술로 스웨트셔츠 생산을 성공해 브랜드를 런칭하게 됩니다. 이 브랜드명이 바로 ‘맨투맨 스웨트 샤쓰’였죠. 이후로 한국에서는 맨투맨이 스웨트셔츠를 의미하는 고유명사가 되었어요.
4. 후드티, 워밍업용 운동복
경기 중이 아닌 상황인 쉬는 시간, 연습 시에는 활동성이 좋으면서도 더 따뜻한 옷이 필요했었는데요. 그렇게 워밍업용 의류로 후드티가 탄생하게 됩니다. 최초의 후드티를 제작한 회사는 챔피온인데요. 당시의 사명은 니키보커 니팅 컴패니(Knickerbocker Knitting Company)였어요.
챔피언은 이 외에도 옷에 글자를 새기는 법과 세탁 시 옷이 줄어들지 않게 하기 위한 가로로 방직하는 리버스 위브 방식을 발명했죠. 챔피언은 초기부터 운동복을 생산하던 회사였는데요. 웬트워스 군사 학교의 유니폼과 미시간 울버린 팀 유니폼 생산에서부터 시작해, 1990년대에는 NBA의 모든 팀과 NFL의 일부 팀 유니폼을 제작했어요.
원문: 사소한 것들의 역사
참고문헌
「스웨터」 Britinnica
Russell athletic 홈페이지
Champion 홈페이지
이 필자의 다른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