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지구 탄생 직후 대기는 금성과 비슷했다?

2021년 2월 16일 by 고든

출처: Tobias Stierli / NCCR PlanetS

초기 지구 환경은 지금과는 크게 달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지구가 생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45억 년 전 환경은 지구가 거의 녹은 상태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지금과 모든 환경이 다 달랐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시기 지구 환경을 알아내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취리히 스위스연방공과대학의 파올라 소시(Paolo Sossi)와 그 동료들은 초기 지구 대기 상태를 밝혀내기 위해 가상 마그마를 만들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팀이 밝히고자 하는 것은 지금과 같은 지각이 형성되기 전 마그마의 바다로 덮였던 아주 초기 지구 대기 상태입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레이저로 암석을 섭씨 2000도 정도로 가열한 다음 나오는 기체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마그마 유래 기체에서 나오는 성분에서 중요한 요소가 바로 철이 산화된 수준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산화철이 많을수록 산소가 많아지면서 대기 성분이 달라졌던 것입니다.

출처: IPGP

산소가 충분하다는 전제하에서 초기 지구의 대기 성분에서 가장 흔한 분자는 이산화탄소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질소와 일부 수증기가 존재했는데, 이는 사실 토성의 위성 타이탄보다는 금성에 더 가까운 형태입니다. 한편 높은 고압 고온 환경에서 대기의 압력은 지금의 금성보다도 더 높았을 수 있으며 대기 역시 매우 높은 고도까지 펼쳐져 있었을 것입니다.

이 주장이 옳다면 과학자들에게 생기는 의문은 두 가지입니다. 지구와 금성의 대기가 그렇게 비슷했다면 결국은 크게 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연구팀은 물의 존재를 이유로 생각합니다. 지구에는 물이 더 풍부했기 때문에 결국 바다를 만들었고 이 바다가 이산화탄소의 상당 부분을 흡수해 온실 효과를 진정시켰습니다.

두 번째 의문은 이런 대기 조건에서 생명체가 생길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역사적인 밀러-유리 실험(Miller-Urey experiment)에서 가정한 대기 조건은 수증기, 메탄, 암모니아, 수소가 풍부한 환경입니다. 지구 극초기 환경은 이와는 달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이 주장이 옳다면 대기보다는 바다 밑의 열수 분출공이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이었을지도 모릅니다.

출처: P. Sossi / ETH Zurich

이 연구는 더 논쟁을 거쳐야 하겠지만, 확실한 것은 초기 지구 대기가 지금처럼 변하기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는 것입니다. 사실 지금처럼 대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아진 것은 지구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많은 다세포 동물은 모두 이 축복받은 시기에 등장한 신참들입니다.

원문: 고든의 블로그


참고

  • 「What was early Earth like? Almost like Venus, research shows」, phys.org
  • Paolo A. Sossi et al, Redox state of Earth’s magma ocean and its Venus-like early atmosphere, Science Advances (2020). DOI: 10.1126/sciadv.abd1387

함께 보면 좋은 글

  • 1994년에서 2017년 사이, 지구는 28조 톤의 얼음을 잃었다
  • 지구 기온 상승의 마지노선은 2027–2042년 사이에 뚫린다?
  • 며칠 전 지구를 스쳐 간 ‘도시 파괴자’

Filed Under: 테크

필자 고든 twitter

http://blog.naver.com/jjy0501/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