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 100년 동안, 인류의 IQ가 10년마다 평균적으로 3씩 늘어났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정의상 IQ의 평균은 100이 되어야 하니까, IQ 검사를 판매하는 회사들이 주기적으로 기준을 조정해서 그렇지, 점수 산정 기준을 동일하게 유지하면 인류의 IQ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올라갔다. 이를 플린 효과라고 한다.[1]
이 말은 요즘의 평균적인 십대가 1950년대로 가면 IQ 118이 된다는 얘기고, 반대로 1950년대의 평균적인 사람이 현재로 오면 IQ 82가 된다는 얘기다. IQ 82는 평균 범위(IQ 80~120)에 속하기는 하지만, 그보다 똑똑한 사람이 85%는 있다는 얘기로 높은 수치라고 하긴 힘들다.
물론 이 얘기를 1950년대의 사람들이 현재의 사람들보다 덜 똑똑하다는 뜻으로 받아들이는 건 곤란하다. 실제로 이 효과를 발견한 제임스 플린은 IQ의 상승이 일반 지능의 상승 때문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추상적 추론에 해당하는 하위 검사들의 점수를 잘 받는 데 필요한 능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일례를 들면 이런 식이다. 소련의 오지에 살던 러시아 농부에게 IQ 검사용 유사성 질문을 던지면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고 한다.[2]
Q: 늘 눈이 덮인 지역에서는 모든 곰이 흰색입니다. 노바야제믈랴에는 늘 눈이 덮여 있습니다. 그곳의 곰들은 무슨 색깔일까요?
A: 나는 검은 곰만 봤고, 내가 못 본 것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아요.
Q: 하지만 내 말이 무슨 뜻일까요?
A: 사람이 직접 그곳에 가 본 적이 없다면, 말만 갖고서는 아무것도 말할 수 없는 거라오. 만약에 나이가 60이나 80쯤 된 사람이 그곳에서 흰곰을 봤다고 나한테 말해 주면, 그 말은 믿을 테지요.
플린도 지적했듯이, 농부가 틀렸다고 할 수는 없다. 농부가 경험에서 얻은 이 통찰은 단지 IQ 검사에서 소용이 없을 뿐이다. 현재의 IQ 검사는 추상적, 형식적 추론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나는 최근의 젊은 층이 틀딱(틀니를 부딪치는 소리를 희화화한 것으로, 대화가 통하지 않는 노인층을 이르는 멸칭)이라고 부르는 일부 몰지각한(이라고 쓰기엔 틀딱은 노인의 대체어처럼 쓰이고 있다) 노인층이 흡사 이 러시아 농부와 같다고 생각한다.
2.
추상적, 형식적 추론은 개인의 경험을 제쳐 두고, 편협한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 젊은 세대들은 교육과 변화한 문화적인 요인 덕에 이런 방식의 추론에 노인 세대보다 더 익숙하다. 사회 진보를 위해서 이는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이 글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건, 그게 노인 세대를 혐오하는 이유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개인이 아니라 한 세대의 계몽은 개인의 노력보다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에 더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정치적으로 반대되는 상대가 있으면 그 상대를 악마화하고 배척하기보다는 상대편 또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행위자들이라고 간주하는 편이 낫다. 바꿔 말하면, 노인층(혹은 보수적 가치관을 가진 이들)은 공동체, 권위, 순수성에 할당하는 도덕적 자원이 공정성, 자율성, 합리성에 할당하는 도덕적 자원보다 더 많은 것이다. 그렇다면 노인층과 의견을 달리할 수는 있지만, 이를 틀렸다고 말하기는 다소 어려워진다.
물론 대학로에서 박근혜 석방을 외치는 애국보수들[3]에게 쉴드를 쳐주고자 이 얘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 있는 그대로 얘기하자면, 그들의 도덕관념은 많이 비뚤어져 있으며, 그들이 민주주의라 착각하고 있는 것은 사실 민주주의가 아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들을 혐오하는 젊은 층이 가지고 있는, 우월하다고 믿는 도덕의식은 시대가 변하면서 얻게 된 사회문화적 혜택일 뿐이다. 우리는 좀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 이 도덕의식을 새롭게 이용할 수는 있겠지만, 이게 노인 세대를 배척하고 혐오하는 근거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3.
민주주의는 의견이 다른 이를 하나의 적법한 상대로 인정할 때 강화된다. 그게 보수와 진보가 서로 견제하며 작동하는 방식이다. 상대방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졌다고 배척해서는 안 된다. 오바마가 지적했듯, 정치적 의견이 달라도 하나의 팀이라는 의식이 없으면 민주주의는 위험에 빠진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노인 인구를 ‘틀딱’이라는 멸칭으로 배척하는 것은 민주주의를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다. 대선에서 젊은 층을 외면하고 박근혜에게 표를 몰아줬던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는 한국 인구의 13%가 넘는다. 물론 13% 속에는 소위 말하는 ‘갓플란트’[4]도 있겠지만, ‘틀딱’이라는 멸칭은 너무나 쉽게 ‘한 팀’의 상당수를 수준 미달의 2등 시민으로 만들어버린다.
그래서 젊은이들을 만나기 위해 대학로를 찾고, 강남역 맛집을 찾아가 젊은이들에게 자신들의 생각을 들려주고자 하는 노인들의 계획이 비웃음거리가 되는 것은 다소 씁쓸했다. 젊은이들과 대화를 하고자 하는 그들의 방식이 젊은 세대의 시선에서 볼 때 우스꽝스러웠던 건 사실이지만, 적어도 그들은 대화를 하고자 했다.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은 지루하고 답답한 과정이지만, 꼭 필요한 과정이다. 설득은 변화를 느리게 만들지만, 그렇게 이루어진 변화여야만 그 성과가 현실에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다.
미셸 오바마는 “그들이 낮은 곳으로 향할 때, 우리는 높은 곳으로 향합시다.”라고 말했다. 젊은 층이 비난하는 노인들이 전근대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낮은 곳을 추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까지 그들을 ‘틀딱’이라고 멸시하며 함께 낮은 곳으로 떨어질 필요는 없다.
아니, 필요가 없는 수준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그래서는 안 된다.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지점은 지금보다 조금 더 높은 곳이고, 우리가 그들보다 더 낫다고 여기는 도덕의식은 더 높은 곳으로 향하는 디딤돌이 될 때 진정으로 더 나은 것이 되기 때문이다.
원문: Yoon Jiman
- 나는 이 개념을 스티븐 핑커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서 읽었다. 플린 효과에 대한 이 글에서의 서술은 그 책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은 사람은 그 책을 보면 된다. ↩
- 이 또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내용을 그대로 옮겼다. 베껴 적느라 힘들었다. ↩
- 사실 이 글은 방학동의 한 한의사가 쓴 글을 보고 쓴 것이다. ↩
- 갓(God)과 임플란트의 합성어. 젊은 세대와 가치관을 공유하는 노인들을 뜻한다. 사족이지만, 혐오스럽지 않은 노인이 경제적으로 유복한 노인과 병치된다는 건 꽤나 씁쓸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