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이 글은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의 저자 김민섭 선생님께서 책을 내신 후 결국 대학을 떠나게 되었던 지난 12월에 쓰신 글입니다. 어벤져스쿨의 강연과 함께 다시 소개합니다.
며칠 전 오래 사용해 온 연구실 책상을 모두 비웠습니다. 뒤늦게 소식을 들은 동생이 뭐하는 거야, 학위가 아깝잖아, 그런 감정적인 행동은 그만둬, 하고 다급하게 연락해 왔지만, 저는 이제 교수 자리를 거저 준대도 싫어, 나는 지금 무척 행복하다, 하고는 계속해서 책을 박스에 담았습니다. 모든 짐을 밖으로 옮기고는, 연구실 의자에 앉아 텅 빈 책상과 마주했습니다. 눈물이 쏟아질 것이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감정이 차분하게 가라앉았습니다. 그렇게 잠시 눈을 감았다가 “안녕히 나의 모든 것”하고는, 일어났습니다.
그동안 대학은 저에게 세상의 전부였습니다. 진리, 지성, 학문, 이러한 단어의 총체였고, 강의실과 연구실은 그 자체로 가장 신성하고 숭고한 공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저 자신이 그 조직의 일원임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강의하고 연구할 수 있음에 그저 감사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문득, “나는 대학에서 노동자로 존재하고 있는가”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석사 과정에 입학해 박사 과정 수료 후 시간강사가 되기까지, 대학의 상상 가능한 여러 공간에서 노동해 왔습니다. 하지만 노동자로도, 학생으로도, 나아가 사회인으로도, 저의 과거와 현재를 쉽게 규정할 수 없었습니다. 그날 저는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이하 ‘지방시’)라는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간의 삶을 뒤돌아보고, 한 발 더 나아갈 힘을 얻기 위함이었습니다.
지방시를 쓰며 스스로의 삶을 쉽게 규정할 수 없음에 저는 낙담하고, 깊이 절망했습니다. 대학의 맨얼굴과 마주하며 그간 제가 상식과 합리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무참히 깨어져 나갔습니다. 대학이 구축한 시스템은 그 자체로 하나의 ‘괴물’이었습니다. 학부생, 대학원생, 시간강사로 이어지는 노동력 착취의 구조는 공고하며, 그 어떤 기업보다도 신자유주의적입니다. 사무실, 연구소, 기숙사, 대학의 어느 부처에 가든 재학생 근로 조교들이 있습니다.
4대보험조차 보장 받지 못 하는 연봉 천만 원 남짓한 시간강사들이 강의의 절반을 책임집니다. 얼마 전 함께 밥을 먹던 20대 교직원의 “이 학교에는 20대와 30대 중 아무도 정규직이 없어요, 저도 이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라는 말이, 그대로 대학의 현주소를 보여줍니다. 그뿐 아니라 학생들의 밥을 퍼주는 이도, 강의동의 환경미화와 경비를 책임지는 이도, 모두 비정규직 노동자입니다. 이처럼 여러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값싼 노동으로 대학 행정과 강의의 최전선이 지탱되고 있습니다.
오히려 대학보다는 거리의 패스트푸드점이 저를 ‘노동자’로, 그리고 ‘사회인’으로 대해 줍니다. 저는 지금 맥도날드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결혼하며 아내에게 처음 1년은 한 달에 80만원을 생활비로 가져다줄 것이고, 그 다음 1년은 100만원을, 그 다음은 기약할 수 없지만 어떻게든 조금은 더 가져다주겠다, 하고 약속했습니다. 그리고 작년 8월에, 아들이 태어났습니다. 아내와 갓 태어난 아들을 산후조리원에 두고는, 무작정 거리로 나왔습니다. 기쁘기보다는 그저 막막했습니다. 정처 없이 걷다가 문득 맥도날드의 구인광고를 보았고, “무엇이라도 해야겠다”하는 생각에 이력서를 냈습니다. 무엇보다도 건강보험을 보장한다는 문구가 저를 무엇엔가 홀린 듯 잡아끌었습니다.
다음 날 1시간 동안 물류하차 실습을 하고 저는 정식으로 맥도날드 노동자가 되었습니다. 돌아가는 길에 매니저가 커피를 한 잔 주었고, 그것을 가져다주니 아내는 생전 먹지도 않는 걸 웬일로 샀네, 혼잣말하고는 이내 달게 마셨습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일을 마치고 아내에게 커피를 한 잔 가져다주는 것이 삶의 작은 습관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많이 무디어졌지만, 물류하차를 마치고 나면 온 몸이 아픕니다. 그래도 억울해서라도 연구실로, 강의실로, 출근합니다. 바로 강의가 있는 날은 꾹 참고 강의실에 섭니다. 학생들에게 힘든 티를 내서는 안 됩니다. 고난함은 온전히 제가 감당해야 할 몫입니다. 힘들수록 심호흡을 한 번 크게 하고, 웃으면서 강의실의 문을 엽니다. 몸이 아파 일을 쉬고 싶은 날도 있지만, 월 60시간 이상 일해야 제 가족의 건강보험이 보장됩니다. 잠든 아들의 얼굴을 한 번 보고는, 주섬주섬 새벽녘에 옷을 갈아입고 출근합니다.
대학은 역행해야 합니다
대학은 이 사회의 가속화를 더디게 하거나, 역행하게 하는 역할을 맡아야 합니다. 그것은 대학이 가져야 할 당연한 시대적 소명입니다. 하지만 정 그렇게 할 수 없다면, 기업을 흉내내며 자본의 논리에 영합하기 이전에, 모든 구성원들을 노동자로서 대우해야 합니다. 햄버거를 만드는 공간에도 모든 노동자를 위한 메뉴얼이 있는데, 대학에는 그러한 것이 없습니다. 특히 가장 하부구조에 놓인 이들에게 오히려 더욱 가혹합니다.
연구할수록 가난해지고, 강의할수록 힘겨워지는데, 대학은 “학문의 길은 원래 그런 것”이라는 환상과 검열을 강요합니다. 사실 인문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 그러한 각오를 하는 것입니다만, 그것은 연구자들의 자존감에 맡겨두어야 합니다. 노동에 따른 보수를 지급할 사용자 측에서 가져야 할 자세가 아닙니다. 특히 스스로 자본의 괴물이 되어버린 대학에게는 학문의 신성함을 무기 삼을 자격이 없습니다.
제가 몸담았던 대학원은 그다지 특별한 공간이 아닙니다. 다만 대학이 구축한 시스템에 순응해 온, 전형적인 공간일 뿐입니다. 강의와 연구로 자신의 삶을 증명하고자 애쓰는 평범한 연구자들이 있습니다. 만일 ‘인분 교수’와 같은 상식 이하의 문법이 통용되는 곳이었다면, 저는 글을 쓰는 대신 다른 극단적인 방법을 택했을 것입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지방시에서 담아낸 이야기는, 그대로 대한민국의 모든 대학과 대학원에 적용될 것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저는 오늘, 대학을 그만둡니다
아카데미의 삶을 정리하는 것이 단순히 동료연구자들에 대한 실망 때문이라면, 저 스스로가 먼저 납득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제야 비로소, 대학 바깥에 더욱 큰 대학이 있음을 알았습니다. 대학은 세상의 전부가 아니라 그저 일부일 뿐입니다. 이것은 당연한 명제이지만, 저에게는 그간 저를 포위해 온 어떤 세계를 깨뜨리는 일이었습니다.
강의실과 연구실이 대학의 전유물이 아닌 것 역시, 뒤늦게 알았습니다. 인문학은 내 주변의 가장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모든 이들은 존중할 만한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 있고, 누구라도 내 인생의 지도교수가 될 수 있다는 자각, 이러한 삶의 태도를 얻었기에 저는 지금 무척 행복합니다.
저는 계속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제가 남들보다 조금 잘하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고민해 보았는데, 역시 글쓰기 말고는 그 무엇도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가족과 상의해 1년 남짓의 시간을 얻었습니다. 글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질 수 있다고 판단되면 계속 쓸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그 무엇이든 하려 합니다.
그동안 강의실과 연구실에서 무척 행복했습니다. 새롭게 맞이할 거리의 강의실과 연구실에서 계속 지방시의 이야기를 써나가겠습니다.
원문: 나는지방대시간강사다
※ 글쓴이 김민섭 님과 함께하는 어벤져스쿨 특강!
헬조선 인문 대학원생의 현주소: 학문도, 희망도 없는 그곳
왜 이 강연을 만들었나요?
대학원은 연구자를 위한 공간이 아닙니다. 특히 인문계는 더욱 그렇습니다. 연구할수록 가난해지고, 강의할수록 힘겨워지는데, 대학은 “학문의 길이 원래 그런 것”이라는 환상과 자기검열을 강요합니다. 대학원생 조교는 ‘전천후 잡부’에 가깝지만, 어떤 보장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 사실들은 묻혀져 있었습니다.
이 강연을 들으면 뭘 알 수 있나요?
그 어떤 사회적 보장조차 받을 수 없는, 학부생 – 대학원생 – 시간강사로 이어지는 노동력 착취의 공고한 구조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의실과 연구실은 대학의 전유물이 아니고, 대학 바깥이라고 배움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이 강연은 대학원의 잘못된 현실과, 그 작은 대안을 이야기합니다.
왜 김민섭 선생님이지요?
김민섭 선생님은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를 통해 이름을 알리셨습니다. 또한 스토리펀딩을 통해서도 현실을 비판하고 대안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연구환경이 서는 데 도움이 될 이야기를 누구보다 잘 전달할 것입니다.
→ 강의 바로 가기
이 강연이 포함된 어벤져스쿨 헬조선 패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