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설탕의 독성을 줄이는 효소 발견?

2016년 3월 2일 by 고든

20140515-sugar-guide-overhead-combo

설탕의 문제점?

설탕은 그 자체로는 해롭지 않은 물질입니다. 그러나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혈당을 높이는 것은 물론 비만의 원인이 되며 장기적으로는 당뇨,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여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인류 역사상 지금처럼 설탕처럼 정제된 당을 먹게 된 것은 최근의 일입니다. 이전까지 당류는 가끔 먹을 수 있는 과일 등에 포함된 과당이나 식품에 포함된 일부 당류 정도가 유일했습니다. 그러나 당을 정제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설탕이나 액상 과당 등이 보급되었고, 이제는 그 가격이 매우 저렴해져 각종 식품 첨가제로 대량으로 들어가면서 문제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정제당은 매우 빠르게 흡수되어 혈당을 높이는데, 그 자체로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 세포에 악영향을 줄 뿐 아니라 인슐린을 과도하게 분비하게 해서 부하를 많이 주게 합니다. 여기에 남는 에너지가 지방의 형태로 계속 축적되면 고지혈증, 대사증후근, 비만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켜 심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을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정제된 당이 듬뿍 들어 있는 과자류나 도넛 같은 인스턴트 식품도 문제지만, 더 빠르게 흡수되는 액상 과당을 포함한 당분이 있는 음료(대표적으로 콜라/사이다 같은 청량 음료) 역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가운데 몬트리올 대학 의학 연구 센터(University of Montreal Hospital Research Centre, CRCHUM)의 과학자들이 당의 세포 독성을 줄이는데 관련되는 효소를 찾아냈다는 소식입니다.

 

과도한 당분을 독성이 없는 물질로 바꾸는 효소를 발견하다

포유류의 세포는 기본 에너지 물질로 당과 지방산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당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긴 합니다. 문제는 너무 높을 경우이죠.

glycerol-3 phosphate라는 물질은 당 대사 및 지방 대사에 중간 산물로 과도하게 쌓을 경우 여러 장기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 물질은 과도한 당분을 섭취시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기전 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연구팀이 발견한 것은 이 물질을 독성이 없는 다시 글리세롤로 바꾸는 glycerol 3-phosphate phosphatase (G3PP) 이라는 효소입니다.

G3PP는 간의 당분 합성을 줄이고 지방 축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은 새로운 물질은 앞으로 당뇨 및 비만 치료제의 새로운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성화하는 물질을 사용하면 혈당을 줄이고 지방 축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당에 의한 세포 독성을 막아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가장 바람직한 것은 과도한 당분 섭취를 막는 일이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은 데다 이미 비만 및 당뇨가 있는 경우 더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런 기전을 가진 신약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이 연구는 PNAS에 실렸습니다.

원문: 고든의 블로그


참고

  • Identification of a mammalian glycerol-3-phosphate phosphatase: Role in metabolism and signaling in pancreatic β-cells and hepatocytes,
  • www.pnas.org/cgi/doi/10.1073/pnas.1514375113
  • http://medicalxpress.com/news/2016-01-sugar-enzyme.html

Filed Under: 건강, 생활

필자 고든 twitter

http://blog.naver.com/jjy0501/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