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Ecclesia semper reformanda)
루터의 이 외침은 단순히 교회 제도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나 자신이 ‘지금 이 순간, 이 자리’에서 하나님의 빛을 발하고 있는지 돌아보고 고치는 것이다. 이것이 일상 한가운데 하나님의 뜻을 구현하는 것이다. 루터는 이것을 ‘반복적 세례의 삶’이라고 부른다.
목회자라면 자신에 대해서는 예민한 양심으로 하나님 앞에 서 있어야 하고, 교회 앞에서는 복음의 말씀을 바르게 선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기 자랑이나 만담을 위한 예화 찾기는 자제하고, 그 시간에 말씀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세상의 눈물과 탄식이 무엇인지 냉철하게 볼 수 있도록 스스로를 도야해야 한다. 특별히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면서 사고의 틀과 언어 사용 문제에 대해 고민해야한다. 왜냐하면 목사와 교회의 존재 이유는 우리끼리만 잘 먹고 잘사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향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교회는 세상 속에 있을 이유가 없다. 그냥 산속에 들어가서 자기들끼리만 소통 가능한 암호체계로 알콩달콩 사는 편이 훨씬 낫다.
제아무리 수천 년간 내려온 은혜로운 용어와 개념이라고 해도 현대인이 알아듣지 못할 만큼 딱딱하게 굳은 말이라면 과감히 버리라.
신학자 Paul Tillich의 말이다. 뒤집어 말하면, 관습화된 용어를 알아듣게 전하는 것이 목회자와 신학자의 제1과제라는 말이기도 하다.
가만히 돌아보면 아무 생각 없이 교회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꽤 많다. 자주 쓰이는 ‘성지순례’도 그렇고, ‘대예배’, ‘부목사’라는 말도 그렇다. 예배에 대예배가 있으면 소예배도 있어야 논리적인데, 예배에 크고 작고가 있을 수 있나? 목사면 다 목사지, ‘부’목사는 또 무슨 말인가? 이런 예는 아주 작은 것이지만 그 외에도 이런 문제는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생각하며 살아야 한다. 예루살렘에서 열린 아이히만의 전범재판을 보고 ‘순전한 무사유’를 악마적인 것으로 정의했던 한나 아렌트의 예리한 눈은 전쟁 범죄자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다. ‘생각없음’의 죄악은 한국교회 목사와 신학자들에게도 적용된다.
간혹 ‘성경만 가지면 된다’고 말하는 분들이 있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이 말을 호두껍데기 까부르듯 해보면, 성경은 세상 한가운데 던져진 하나님의 말씀이란 사실이 자명해진다. 그렇다면 말씀이 던져진 그 세상은 어떤 세상이기에 폭탄처럼, 때로는 설탕처럼 던져졌는지 알아야 할 것 아닌가? 그리고 다시 던져질 말씀의 낙하지점도 제대로 파악해야 할 것 아닌가? 성경 백독 한들, 암송대회 1등 한들 무엇하랴? 제아무리 잘해도 우리 집 고물 카세트에서 흘러나오는 성경통독 테이프만도 못하다.
성경을 제대로 알기 위해 세상도 제대로 알아야 한다. 말씀이 던져졌던 그 때 그 자리, 그리고 던져질 지금 이 자리가 어떤 상황인지 분별하고 던지는 것이 설교자의 임무다. 그래서 고민해야 한다. 항상 정답만 가르치는 목사와 신학자가 아니라 과거의 말씀이 ‘지금 이 자리’에 건네고 있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구하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 생각해야 한다. 교회의 성도들도 마찬가지다. 주일에만 예수 가면을 쓰고 살고 있는지 냉철하게 돌아보아야 한다.
신앙생활은 일주일 한 번 하는 가면무도회가 아니다.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그 개혁은 자신의 일상에 주어진 의미를 생각하며 사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생각하며 사는 작은 일상의 불씨가 큰불이 될 것이다. 그것이 개혁이다.
원문 : 최주훈의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