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2억여 원을 받는다는 동창을 만났다. 아이를 외국 기숙학교로 보내고 양가 일가친척들 모시고 매년 해외여행을 가며 서울 강남에 집을 사서 유지하다 보니 살림이 너무 빠듯하다며 울상이다.
평생 독신으로 살며 아주 약간의 생활비만 벌며 달동네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봉사활동을 하던 선생님을 만났다. 수십 년 만에 도시 생활을 정리하고 제주도로 가서 연세 50만 원짜리 방을 얻어 만족스럽고 여유 있게 살게 됐다는 소식을 전한다.
혼란스럽다. 도대체 우리는 얼마나 벌어야 충분한 것일까?
우리는 숨 가쁘게 달려왔다
우선 우리가 얼마나 벌어 왔는지를 살펴보자. 1960년에 한국 1인당 국민소득은 100달러를 밑돌았다. 2015년 1인당 국민소득은 3만 달러에 육박한다. 그야말로 기하급수적 상승이다. 55년 만에 300배 늘어났다. 소득 100달러 시대에 소득 1,000달러는 다다를 수 없는 불가능한 목표처럼 보였다. 소득 3만 달러 시대에 소득 30만 달러를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 그런데 100달러가 3만 달러가 된다. 그 길을 달려왔으니, 숨 가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 시간 동안 이 땅의 가치평가 기준은 단순했다. 1인당 국민소득 하나가 사회와 국가의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모두 인식했다. 소득 증대는 삶의 목적이며 국가의 국정 목표였다. 외길이었다. 미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이고 한국이 3천 달러라면, 미국이 꼭 열 배 만큼 잘 사는 나라라고 여겼다. 1인당 국민소득이 국가의 품격도 보여주고, 한편으로는 개인의 행복도 보여준다고 믿고 그것을 향해 달려가던 시기였다. 많이 벌기만 하면 무조건 좋아진다고 믿던 시대였다.
분명 성과는 있었다. 이 나라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에서 소득을 늘리는 것으로는 가장 성공한 나라 축에 든다. 일본이 여기 비교할 만하고, 중국이 따라오고 있는 정도다. 그래서 지금 다시 질문해볼 때가 됐다. 1960년과 비교하면 우리 삶은 300배 나아졌나? 2015년의 20대는 1960년에 20대이던 할아버지 세대보다 300배 나은 삶을 살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왜일까?
그 이유는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는 게 좋겠다. 첫째는 소득 자체의 문제, 둘째는 소득 외적인 문제다.
소득 자체의 문제
소득 자체의 문제는 ‘1인당 국민소득대로라면 우리 가족 1인당 3천만 원씩은 벌어야 하는데, 왜 그만큼 벌고 있지 못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유는 간명하다. 실제로 소득이 그만큼으로 오르지 않은 사람이 많다.
1인당 국민소득은 전체 국민소득의 평균값이다. 하지만 한 개인의 소득은 전체 국민소득 가운데 기업 및 정부소득을 뺀 가계소득에 해당하는 몫이다. 그중에서도 그 특정 개인이 벌어들인 몫이다.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빠르게 늘고 있다. 그 속도가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보다도 빠르고, 중국과도 비슷하다. 중국은 인구증가율이 높아 경제성장률은 한국보다 훨씬 높지만, 인구수로 나눈 1인당 소득 증가율은 한국과 차이가 크지 않다.
그런데 가계소득과 국민소득의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다. 2014년의 경우 1인당 국민소득(GNI)은 2만8천 달러였다. 이 숫자는 국가 전체에 이 벌어들인 부가가치를 단순하게 국민 숫자로 나눈 것이다. 그중 가계로 돌아온 소득 전체를 국민 숫자로 나눈 수치가 가계총가처분소득(PGDI)이다. 이 수치가 2014년 약 1만6천 달러였다. 가계소득이 국민소득의 60%가 되지 못한다.
한국에서 가계소득은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기업소득과 비슷하게 움직였다. 즉 국민소득 전체가 늘어나면 기업소득과 가계소득은 비슷한 정도로 늘어났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둘 사이 격차는 점점 벌어진다. 특히 가계소득 증가속도는 점점 떨어져서 경제성장률보다 뒤처지는 정도가 점점 심해진다.
1992년에 가계소득과 기업소득 사이 격차가 0이라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면, 그 격차는 점점 넓어져서 2010년대에는 지나면 3.5를 오르내리는 숫자가 된다. 특히 가계소득은 GDP 성장률에 견주어도 크게 뒤처지고 있는데, 이런 현상이 시작된 것은 1990년대 초중반부터다.
국제적으로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가계소득이 GDP보다 뒤지는 정도는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등 유럽 복지국가들뿐 아니라 미국 영국 같은 시장이 강조되는 나라에서도 가계소득 증가율은 최근 경제성장률을 앞서고 있었다. 일본 독일 폴란드 체코 같은 나라들에서 가계소득 증가율이 GDP 성장률에 못 미치지만, 한국만큼 정도가 심한 곳은 없다. 즉 한국은 경제성장의 혜택이 가계소득으로 제대로 순환되지 않는 정도가 세계에서 가장 심하다. ‘부자 국가 가난한 국민’이라는 말이 나올 법도 하다.
그 가장 큰 이유는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다. 과거 한국은 노동소득분배율이 굉장히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기업이 돈을 벌면 어쨌든 상당 부분 임금으로 지출되는 구조였다. 1987년에 민주화와 노동운동 활성화와 3저 호황 등을 동시에 맞으면서 임금소득이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던 것이 1990년대 중반쯤부터 흔들리기 시작해서 1997년 IMF 구제금융 이후부터 노동소득분배율이 본격적으로 낮아진다. 2000년 이후로는 아예 실질임금이 정체 상태에 돌입한다. 임금 상승 속도가 노동생산성 상승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기 시작한 시기도 이 때다.
여기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도 영향을 끼쳤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삼성전자가 돈을 벌면 그 협력업체들도 다 같이 많이 벌었다. 그러면 협력업체들 직원들의 임금도 다 같이 많이 올랐다. 이른바 ‘낙수효과’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역시 1990년대 중반 이후 점점 더 대·중·소 기업 사이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그 효과는 찾아보기 어려워지게 된다.
여기에 개인소득 사이 불평등이 심화하는 경향도 큰 영향을 끼친다. 김낙년 동국대 교수는 『21세기 자본』으로 전 세계에 화제를 몰고 왔던 토마 피케티 교수가 분석했던 방법으로 한국의 소득분포를 연구했다. 한국에서 소득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들 3122만 명의 과세자료를 살펴봤더니, 중위 소득자의 연간소득이 1074만 원이었다. 취업자를 기준으로 다시 살펴봐도, 1594만 원밖에 되지 않는다. 1인당 국민소득인 3천만 원 수준과는 큰 차이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보면, 한국의 불평등도가 상당히 높다는 근거가 곳곳에 등장한다. 예를 들면 연 소득 1억 원 이상인 사람은 56만 명이다. 인구의 1%가 되지 않는 엄청난 고소득자인 셈이다. 6천만 원 이상이 219만 명이다. 전체 인구의 5%가 되지 않는다. 상위 10%가 가져가는 소득은 이 나라 전체 소득의 50%에 육박한다.
여기에 더해 욕구의 문제가 생긴다. 사람들의 욕구는 점점 더 평등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욕구 자체가 많이 달랐다. 30년 전만 하더라도 전체 인구의 25%가량 되던 대학진학률은 이제 75%를 훌쩍 넘어선다. 똑같이 대학을 나온 사람들인데, 상위 10%에 들면 괜찮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나락으로 추락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위 10%에 들어가려는 경쟁은 점점 더 치열해진다.
같이 똑같은 스마트폰을 쓰고, 같은 기술의 혜택을 입는다. 어려서부터 여러 가지 미디어에 비슷하게 노출이 된다. 같은 공교육을 받고, 비슷하게 대학을 가고, 비슷하게 스펙을 쌓고, 해외연수도 갔다 오면서 모두 비슷한 자격을 갖춘다. 이들이 그리고 나서 이 불평등한 사회에 그대로 던져진다면, 그건 맹수를 정글에 던지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소수를 제외하고는 엄청난 갈등과 박탈감에 시달리게 되고 만다.
여기까지는 소득과 직접 연관을 맺고 있는 이야기다.
소득 외적인 문제
하지만 좀 더 근본적인 이야기는 소득 외적인 이야기에 있다. 실제 꽤 높은 소득을 벌어들이는 사람들조차도 삶이 빠듯하기만 하다고 느끼는 이유는 이런 소득 바깥에 있는 요인들 때문이다. ‘이스털린의 역설’로부터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미국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은 30여 개국의 행복도와 소득을 조사 분석한 뒤, 기본 수요가 충족된 이후에는 소득이 높아진다고 반드시 행복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는다. 이 연구 결과를 해석하자면, 소득이 일정한 수준 이상이 된 뒤에 행복도를 높이려면 소득 증대 노력이 아니라 다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사실 이는 경제학적 근거를 댈 필요조차 없는 상식적 이야기일 수도 있다. 우리가 소득을 높이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따져 물으면, 대부분은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라고 답할 것이다. 또 많은 이들은 좀 더 선하게 잘 살기 위해서라거나 수준 높게 살고 싶어서일 수도 있겠다. 여유가 있으면 남한테 베풀고 살 수도 있고, 문화예술도 찾고 깊이 있는 사색도 하면서 살 수 있을 테니 말이다. 하지만 거꾸로 소득이 높아진다고 반드시 수준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다. 소득은 수준 높은 삶을 살 수 있는 필요조건이다.
그럼 소득에 덧붙여 무엇이 필요할까? 일의 주체가 되어 보람이 커지는 것이 중요하다. 노동시간이 줄어들어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 우정과 이웃과 가족 같은 공동체가 강화되어 교류가 늘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소득증대만 과하게 신성시한다. 2014년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대였다는 발표와 함께 나온 해설에는 ‘한국이 국민소득 2만 달러에서 정체되고 있다’는 기조가 주류를 이뤘다. 한국 1인당 소득이 2만 달러를 돌파해야 하는데 못하고 있다는 호들갑을 떨던 시점에서 10년도 지나지 않았다. 그러다 2006년에 2만 달러를 돌파한 것이다. 1만 달러를 돌파를 처음으로 했던 게 IMF 구제금융 직전인 90년대 중반인데, 경제위기로 1만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가 2000년대 초에 다시 만 달러 이상으로 올라갔었다.
더 거슬러 요약하자면, 1960년에 100달러였던 것이 2000년대 초에 1만 달러가 되고 2000년대 중반에 2만 달러가 되고 지금 2010년대 중반에 3만 달러를 바라보게 된 것이다. 이런 속도로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하는데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다면, 평균소득 증가 이외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생각해봐야 하는 게 아닐까?
임금을 올려 가계소득을 늘려야 한다. 격차를 줄여야 한다. 그래도 행복하지 않다면, 일의 가치와 보람을 찾고 여가를 공동체와 함께 보낼 시간을 확보하도록 해줘야 한다. 삶의 다른 잣대를 마련해줘야 한다. 어쩌면 더 버는 것은 해법이 아닐 수도 있다.
우리 모두가 이제, ‘얼마나 벌어야 충분한가’를 스스로 물어봐야 할 시기가 됐다.
원문: 이원재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