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New York Times에 Claire Cain Miller가 기고한 「Mounting Evidence of Advantages for Children of Working Mothers」를 번역한 글입니다.
미국인 엄마의 75%가 직장을 가지고 있다. 직장을 가진 엄마들에게 아이를 유아원에 하루 종일 맡기거나 아이의 중요한 학교 행사를 놓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퓨리서치센터의 연구를 보면 미국인의 41%는 직장을 가진 엄마가 늘어나는 것이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대답한 반면 22%만 “워킹맘” 증가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하지만 워킹맘이 자녀들에게 경제적, 교육적, 그리고 사회적 혜택을 준다고 주장하는 연구 결과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 연구 결과들은 아이가 부모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혜택받지 못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아이들은 부모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때 혜택을 누린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부모가 맞벌이하는 자녀들이 부모와 함께 충분한 시간을 보내지 못하는 대신 얻는 혜택이 있다고 설명한다.
25개 나라의 성인 5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엄마가 직업을 가졌던 경우 그 딸들은(인종이나 가족 구성과 같은 여러 요인을 통제한 뒤에도) 더 높은 교육을 받았고, 매니저 역할로 승진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평균 소득도 높았다. 반면 워킹맘은 아들의 커리어에는 큰 차이를 만들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는 별로 놀라운 결과가 아니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대부분 남성이 일을 하기 때문에 엄마가 워킹맘이었는지 여부가 별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워킹맘 아래에서 자란 남자들은 육아와 집안일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특히 워킹맘 효과는 미국에서 더 두드러졌다. 엄마가 워킹맘이었던 경우 미국 여성들은 다른 모든 조건을 통제했을 때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소득이 23% 더 높았다. 남성의 경우는 육아에 쓰는 시간이 일주일에 7.5시간 더 많았으며, 집안일에도 일주일에 25분 더 썼다. 이 연구를 이끈 하버드 경영대학원 캐슬린 맥긴(Kathleen McGinn)은 이렇게 말했다.
“대부분 워킹맘은 ‘내가 아이와 시간을 더 많이 보내면 우리 아이가 더 나은 아이가 될 텐데!’라는 죄책감을 마음 한구석에 갖고 있는데 우리 연구 결과는 엄마가 일하는 것을 보고 자란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오히려 더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한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하지만 다른 연구를 보면 워킹맘 효과에 대해 단정 짓기가 쉽지 않다. 즉, 엄마가 직장을 다녔기 때문에 딸이 직장에 다니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들이 영향일 미친 것인지를 구분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50년간 출판된 연구 69개를 분석한 2010년 논문은 아이가 어렸을 때 엄마가 직장을 다닌다고 해서 아이의 학습이나 행동 혹은 사회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 워킹맘 자녀들 학교 성적이 더 뛰어나고 우울증과 불안증세를 덜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 워킹맘 아래에서 자란 남자들의 경우 부인이 직장을 다니는 비율이 더 높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도 있었다.
출처: 뉴스페퍼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