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에서 대개 시인이라는 이들은 창백한 낯빛에 뿔테 안경을 쓰고 섬세한 성품에 쉽게 상처받으며, 비쩍 곯아서 맨날 줘 터지지만, 깡다구는 있어서 목소리는 카랑카랑한, 그러다가 더 두들겨 맞는, 그런 캐릭터일 때가 많다.
물론 시인도 사람 따라 개차반부터 성인군자까지 천차만별이겠지마는, 보통의 이미지가 그렇다는 말이다. 그런데 그 이미지를 벗어나는 시인 하나가 있었다. 시인이면서 명사수였고 글쟁이이면서도 폭탄 다루고 침투 훈련까지 받은 사람, 이육사가 그다. 본명 이원록.
그는 진성 이 씨다. 우리나라 유학의 태두이자 일본에서까지 명성을 떨친 퇴계 이황의 후손이다. 그의 형제는 다섯이었는데 육사 말고 그 가운데 문학적으로 뛰어나 이름을 남긴 이가 넷째 원조다. 소설 <태백산맥>에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강조하는 공산주의 문학가로 등장하고, 이육사의 유고집을 냈던 이원조는 명랑하고 재기발랄했던 반면 이원록(육사)는 좀 엄숙하고 우직한 편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원록은 곧잘 이원조의 ‘밥’이었는데 하루는 화가 머리 끝까지 난 이육사가 책을 집어 던졌다. 그러나 이원조가 냉큼 할아버지에게 이르기를
책은 성현의 말씀을 담은 것인데 책을 던지는 것은 성현을 집어던지는 것
이라고 열변을 토해 또 한 번 형을 골탕먹였다는 일화가 있다. 이원조의 재기도 재기지만 이원록(육사)의 ‘한성깔’을 드러낸 일화.
일본과 중국 유학후 1927년에 귀국한 이원록은 조선은행 대구 지점을 날려 버리려던 장진홍 의거에 연루되어 1년 7개월의 첫 옥고를 치른다. 하지만 그가 이 의거에 가담한 것은 아니었다. 눈이 뒤집힌 일본 경찰이 그야말로 저인망으로 훑어서 감방에 처넣은 결과일 뿐, 재판에서도 나온 판결은 “혐의 없음”이었다.
그 뒤 신문기자로 활동하다가 조선일보에 처음 시를 발표하는데 이때만 해도 그는 ‘이활’이라는 필명을 썼다. 그런데 광주학생운동의 후폭풍으로 일어난 대구 격문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어 또 옥살이를 한다 이 투옥 이후에야 그는 스스로를 이육사라 일컫기 시작한다.
264 수인번호에서 그 이름이 나왔다는 말은 정설로 돼 있지만 그 속내는 여러 번 바뀌었다. 처음에는 역사를 도륙낸다는 뜻의 육사를 썼고 다음에는 ‘고기 먹고 설사한다’라는 뜻의 육사를 썼다. 전자가 자신이 겪어야 했던 현실에 대한 분노라면 후자는 ‘그래봐야 별 수 없다’는 냉소가 아니었을지.
그러다가 한 친지가
역사를 도륙낸다는 건 혁명의 뜻을 너무 노골적으로 드러내니 평평한 육지로 만든다는 이름을 써라
고 권유하면서 우리가 아는 그 육사로 스스로를 일컫게 된다. 그리고 그는 ‘역사를 평탄케 하는’ 노력에 몸을 던진다.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나리쟎는 그 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자거려
제비 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이육사 <꽃> 중
그는 툰드라 속에서 제비떼 오기만을 기다리지 않았다. 의열단원 윤세주를 만나 중국 난징으로 가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다녔고 이때 사격술, 변장술 등 무장 투쟁에 필요한 훈련까지 몸에 익혔다.
시와 글이 무기였던 그의 손은 방아쇠와 폭탄 던지기에도 익숙해졌다. 또 자신을 교양시켰던 의열단장 김원봉마저 ‘레닌의 뜻에 어긋난다’고 비판하는 열혈 사회주의 성향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이른바 ‘빵쟁이’였다. 나이 마흔에 열 번 넘게 감옥을 들락거렸고 중국과 조선을 분주히 오가며 살았다. 그의 시 <절정>은 지독히도 추운 날 압록강을 건너며 또는 만주벌판을 헤매며 그가 내지른 비명같은 탄성이 뭉쳐서 나온 시인지도 모른다.
매운 계절(季節)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北方)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 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그는 그의 시 가운데 <청포도>를 좋아했다. ‘내가 어떻게 저런 시를 썼는지 모르겠다.’ 는 자화자찬 비슷한 소리를 할 만큼 말이다. ‘내 고장은 조선이고, 청포도는 우리 민족인데, 청포도가 익어가는 것처럼 우리 민족이 익어간다고. 그러면 곧 일본도 끝장난다고.’. 후세의 평론가가 갖다붙인 것이 아니라 시인이 자신의 입으로 한 자작시의 해석이다
그러나 그는 끝내 해방을 보지 못했다. 죽은 뒤에 발표된 그의 시 <광야>에서처럼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을 목놓아 불렀으나 그는 초인을 만나지 못했고 <청포도>에서처럼 하이얀 모시적삼 식탁에 올려 놓지 못했다. 1943년 조선에서 체포되어 거꾸로 중국으로 압송1944년 1월16일 짧지만 매웠던 생명을 다한다. 고문과 악형으로 가쁜 숨을 몰아쉬면서 그는 그가 쓴 수필의 이 구절을 되뇌지는 않았을까
나에게는 진정코 최후를 맞이할 세계가 머리 한 편에 있는 것입니다. 그것이 타오르는 순간 나는 얼마나 기쁘고 몸이 가벼우리까
원문 : 산하의 오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