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화 직전 거의 완전한 형태로 화석이 된 오비랍토르류(oviraptorosaur)의 알 화석이 발견됐습니다. 이 화석은 본래 2000년경 우연히 채석 과정에서 발견된 후 장시간 연구되지 않고 잉량(Yingliang) 암석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었다가 베이징 중국 지질과학대학의 리다 싱 교수에 의해 연구되어 세상에 빛을 보게 됐습니다.

아기 잉량(Baby Yingliang)이라고 명명된 이 공룡알 화석은 백악기 말인 6600-7200만 년 전의 것으로 알 자체의 길이는 17cm 정도이고 알 속에서 부화를 준비하다가 영원히 깨어나지 못한 새끼는 27cm 정도의 몸길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정확한 종은 확인하기 어렵지만, 알의 형태와 이빨이 없는 긴 주둥이를 고려할 때 이 수각류 공룡은 깃털을 지닌 오비랍토르류 공룡의 알로 생각됩니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바로 자세에 있습니다. 알 속의 새끼 공룡은 현대의 조류와 비슷하게 머리를 배 위에 올리고 등은 구부린 상태였으며 다리는 머리 양 옆으로 놓인 상태였습니다.
이는 새가 알을 깨고 나오기 위해 취하는 자세인 터킹 자세로 비(非)조류 공룡에서는 처음 확인되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새와 수각류 깃털 공룡의 공통점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온 것입니다.

터킹 자세가 모든 수각류 공룡에서 일반적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오비랍토르류가 조류의 조상과 갈라진 것은 한참 전의 일이기 때문에 공통 조상에서 이런 자세가 유래했다면 최소 쥐라기 이전에 특징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쩌면 수억 년 전 공룡 진화 초기에 나타난 특징일지도 모릅니다.
이번 발견이 특별한 이유는 좀처럼 보존되기 어려운 공룡 태아의 자세까지 보존되었다는 것입니다. 알 속에 있는 새끼 화석은 가끔 보고되긴 했으나 뼈가 약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나마도 여기저기 흩어진 경우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 화석은 완전하게 형태를 파악할 수 있게 가지런히 보존되어 과학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만약 오비랍토르 이외에 다른 공룡알 화석에서도 이런 자세가 발견된다면 터킹 자세의 기원이 수억 년 이상이라는 것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원문: 고든의 블로그
참고 자료
- 「Amazing fossilized embryo underscores link between dinosaurs and birds」, New Atlas
- 「Exquisitely preserved embryo found inside fossilized dinosaur egg」, Phys Org
- Waisum Ma et al(2021), 「An exquisitely preserved in-ovo theropod dinosaur embryo sheds light on avian-like prehatching postures」, i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