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인스타그램 아이디는 okdom으로 시작한다. 오케이, 돔이 아니라 옥돔이다. 생선 옥돔에서 따온 것으로, 예로부터 제주에서는 가게에 가 “생선 있어요?” 물으면 옥돔을 꺼내주었다고 한다. 그만큼 옥돔이 그쪽 업계에서는 대장 취급을 받는다는 뜻이다. 제주 사람들이 제사상을 차릴 때 옥돔구이는 필수고 생일이면 미역국에 옥돔 살을 발라 넣는다니 특별한 날마다 꼭 함께 하는 고급생선인 것이다.
옥돔이 생선 계에서 특급 대우를 받듯 나 또한 출판계에서 한 자리 차지하자는 뜻에서 아이디를 그렇게 지었다, 는 뻥이고 옥돔에 얽힌 이야기를 하려면 10년 전 겨울로 거슬러가야 한다.
2.
2010년 겨울에 회사 워크샵으로 처음 제주도에 가봤다. 2박 3일의 일정 동안 성산일출봉, 오설록 티하우스, 섭지코지 등 주요 명소에 갔고 멜젓에 찍어먹는 삼겹살과 전복돌솥밥 등 관광객이라면 으레 먹을 법한 메뉴도 섭렵했다. 갈치조림을 먹으러 들어간 식당에서 직장 상사가 제주에 왔으니 먹어보라며 옥돔구이를 추가 주문했다. 바다를 끼지 않은 동네에서 나고 자라 그런지 옥돔이라는 이름 자체가 생소했다.
메뉴판에 적힌 옥돔구이의 가격은 2만 5천 원이었는데 나는 그 가격이 구이정식이 아니라 단품 기준이라는 것에 1차 충격을 받았고, 두 마리가 아니라 딸랑 한 마리 나오는데 2차 충격을 받았다.
고등어나 갈치구이의 비주얼과 달리 뽀얀 살에 분홍색 껍질이 있는 옥돔구이에서는 고소한 참기름 냄새가 풍겼다. 한 입 뜯어 먹으니 부드럽고 촉촉한데 쫀득하기도 하면서 으레 생선구이에서 날 법한 비린내가 1밀리그램도 느껴지지 않아서 어안이 벙벙했다. 세상에 이렇게 맛있는 음식이 있는 걸 모르고 살아왔네. 다른 사람들과 나눠 먹어야 하는 메뉴라 마음껏 덤벼들지 못하고 넋 나간 채 감탄사만 연발하고 있으니 상사가 그렇게 맛있으면 혼자 다 먹으라고 내 앞으로 한 마리를 더 시켜주었다.
처음 만나 반하게 된 생선의 살을 음미하며 새삼스레 돈을 열심히 벌어야겠다고 다짐했다. 이걸 모르고 살았던 이유는 이 음식이 비싸기 때문인데, 비싼 것이어도 먹고 싶을 때 참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도 생각했다.
그날 이후 제주도는 내게 옥돔구이 먹으러 가는 곳이 되었는데, 이때의 충격은 그동안 미식에 대해 생각하던 기준을 바꾸어 놓았다. 여기에 대해 갖고 있던 죄책감을 마주하는 계기도 되었다. 나는 그동안 먹는 데에 돈을 많이 쓰는 건 탐욕이고 현명하지 못한 행동이라 여겼었다.
어린 시절 배운 소비의 기준은 ‘꼭 필요한 것과 안 사도 큰 지장 없는 것’으로 나뉘었다. 방송인 유병재가 어릴 때 부모님께 무언가 사달라고 하면 “그거 안 하면 죽냐?”는 말이 돌아왔다며 그 기준에 맞춰 살 수 있는 건 쌀밖에 없지 않냐고 항변해 웃프게 공감했던 적이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자라난 아이들은 경험보다 소유를 중시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옷이나 신발, 사무용품이나 참고서 같이 반드시 필요한 것만 사기만도 빠듯하니 쓰고 나면 없어지는 것에는 가성비와 대체품을 따져 돈을 최대한 아끼게 된다.
경험을 소비하는 것의 대표적인 예가 미식과 여행이다. 비싼 음식을 먹거나 어딘가로 여행을 떠나는 것은 당장은 좋아도 남는 게 없으며 ‘그 돈이면 차라리 ~를 할 수 있다’는 계산부터 하는 게 주변의 상식이었다. 당연한 수순으로 돈이 없을 땐 식대부터 줄였다. 대학에 다닐 때는 한 끼 당 3천 원 이하로 먹는 게 스스로 정한 식대 기준이었고, 생애 최초로 영국 여행을 갔을 땐 매일 아침과 점심을 스콘 하나로 때웠다.
그때 또 자주 들었던 말 중 하나가 ‘입에 들어가면 결국 다 똑같다’는 것이었다. 비슷한 음식을 오천 원이면 먹을 수 있는데 만원에 먹는 건 바보고 미식가도 아니면서 비싼 음식을 먹는 건 허세라고 생각했다.
문제는 그런 멍청이나 허세꾼이 되지 않으려고 애쓰다 보니 항상 비슷한 맛, 아는 맛만 먹게 되는 거였다.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맛은 대부분 학교 급식에서 먹은 게 기준이었는데, 그 경험만으로 나는 어떤 음식을 좋아하거나 싫어한다고 결론 내렸다. 급식실에 앉아 생선구이를 먹으며 이걸 좋아하게 된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나 또한 그랬기에 오랫동안 생선구이를 싫어해 왔다. 생선요리는 원래 다 비린 줄 알았으니까.
옥돔구이를 만난 후 나는 무엇에 관해서든 ‘결국 다 똑같다’ ‘그게 그거다’ 같은 말을 하지 않게 됐다. 예를 들어서 같은 고등어구이라도 식당마다 맛이 천차만별이고 음식은 맛만으로 먹는 것이 아니라 분위기도 함께 소비하는 것인데 일괄적인 기준을 적용해 가성비만 따질 수 없다.
3.
해봤자 별 게 없을 거라 믿어버리면 막연히 알다가 영원히 모르게 되고, 이로써 아직 경험할 여지가 있는 세상의 많은 부분이 사라지고 만다. 잘 모르면서 경험해보지도 않고 싫어한다고 말하는 것. 시도해보지도 않고 해봤자 별거 없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 “그걸 먹을 돈이면 국밥을 몇 그릇 더 사 먹지” 같은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게 되면 자신처럼 ‘합리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사람들이 답답해 보이기까지 하지만, 세상에는 12색 크레파스만으로는 칠하기 버거운 풍경이 있는 법이다.
카레와 커리의 맛이 다르듯 세상은 자세히 알고 나서는 절대 똑같다고 말할 수 없는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기의 시작은 다른 사람들이 모르는 것도 알아차릴 정도로 안목이 생기는 것이고, 취향이란 그런 특기 있는 분야를 통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를 알아가면서 자신됨에 더 가까워지는 일이기도 하다. 결국 전문가란 더 많이 경험한 사람이고, 그 덕에 남들보다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남들이 못 보는 것을 짚어주는 사람이 아닌가.
직접 체험한 것이 아니면 섬세한 차이를 영원히 알 수 없고, 차이에 무감해지기 시작하면 인생이 단조로워진다. 우선순위를 정해 최소한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에 있어서는 형편이 되는 한 적극 체험해볼 필요가 있다.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만의 실감만으로 판단하는 경험이 쌓여갈 때 우리는 자신을 더 잘 알게 되고 스스로를 잘 다루는 법도 알아간다.
경험해보지도 않고 좋아한다거나 싫어한다고 하지 않는 것. 의견과 편견을 구분하는 것. 다른 사람들의 경험이 이해되지 않더라도 나쁜 짓만 아니라면 꼬아보지 않고 다만 궁금히 여기는 것. 이런 노력을 통해 제대로 좋아하고 분명하게 싫어하고 싶다. 깊어지고 넓어지며 자주 감탄하기 위해서.
원문: 정문정의 브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