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코미디언 크리스 게써드(Chris Gethard)가 HBO에서 성황리에 방영된 〈커리어 수어사이드(Career Suicide)〉가 방영된 이후 쓴 글 「How Will I Explain My HBO Special to My Son?」을 요약했습니다.
〈커리어 수어사이드〉는 게써드 본인의 우울증, 알코올 중독, 자살 생각을 가감 없이 다룬 코미디로 본인의 정신 질병과 정신과 치료에 관해 가감 없이 밝혀 극찬받은 프로그램입니다.
제게는 칼(Carl)이라는 아들이 있습니다. 태어난 지 100일이 채 안 된 아이지만, 저는 감히 그 아이가 지구상에서 가장 완벽한 존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칼은 귀엽고, 친절하며, 벌써 손으로 물건들을 마구 칠 수도 있어요. 제 생각엔 다른 아이들보다 무척 빠른 것 같아요.
잠에서 깨어날 때면 너무나 졸려 보이다가도, 저나 엄마와 눈이 마주치면, 해맑게 이 없는 잇몸을 보이며 환히 웃습니다. 그 모습을 보면 저는 극도의 행복감을 느끼곤 해요. 아마 세상의 어떤 기분보다 더 중독성이 큰 행복감일 거예요.
칼은 제 삶의 우선순위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어요. 이전의 제 삶엔 중요한 것들이 많았지만, 이제 저에게 중요한 것은 오직 하나뿐이에요: 우리 부부가 칼에게 최선의 삶을 제공하는 것이죠.
저는 이 사실을 처음 칼과 눈 맞춤했을 때부터 깨달았어요. 칼이 태어나자마자요. 그의 피부가 파랗고, 머리는 콘헤드 같이 길쭉하고, 겁에 질려있을 때부터요. 이 아이를 보호하는 역할은 제가 기꺼이, 자랑스럽게 맡을 수 있는 것이라는 걸요. 하지만 동시에 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질문을 스스로 던질 수밖에 없었죠.
예술가로서, 어떻게 하면 내가 만든 작품들로부터 아이를 보호하지?
〈커리어 수어사이드〉라는 작품을 칼에게 어떻게 설명해줘야 할지는 생각만 해도 두려운 일이었어요. 어느 날 칼이 그 작품을 보는 것을 생각하면, 공황 발작을 일으킬 것만 같았죠. 어찌 보면 잘 어울릴지도 모르겠네요. 그 작품은 저 자신의 공황 발작을 유발한 저의 정신적 불안정성을 다룬 내용이니까요.
2014년에 저는 제가 살면서 가장 무서워 한 부분에 가장 솔직해지자고 다짐하며 쇼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저의 정신 질병에 관해서요. 저는 제 우울증에 사죄할 필요 없이, 가능한 한 자세하게 설명하는 쇼를 만들고 싶었어요. 저는 관객들이 공황 발작을 느끼는 것이 어떤지 간접 경험할 수 있게끔 하고 싶었어요.
사람들이 열쇠를 잃어버렸을 때 “어떡해, 나 공황 발작이 올 것 같아.”라고 그냥 하는 말 말고, “나 숨을 못 쉬겠어. 바닥에 넘어지고, 내 온몸은 무감각하고, 다시 일어날 생각만 해도 너무 무서워. 아무것도 못 하겠어.” 하는 그런 공황 발작이요. 저는 모든 사람에게, 저는 정신과 약물을 먹는다고 외치고 싶었어요. 맞아요, 부작용이 있는 약이지만, 그 부작용은 분명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보단 나으니까요.
저는 제 아들이 자기 아버지가 강하다고 느끼면 좋겠어요. 제 자아를 위해서도 아니고, 제 남자다움을 과시하고 싶어서 그런 것도 물론 아니에요. 그저, 칼이 항상 안전하다고 느끼고 평안했으면 해서 그런 것뿐이죠.
저는 칼이 제가 그의 앞을 가로막는 어떤 장애물도 다 무찌를 거라는 사실을 알아줬으면 해요. 만약 누군가가 그를 해치려고 하면, 제가 그를 해치려는 사람과 제 아들 사이에 몸을 던져서 그를 막아줄 것이라는 사실을요. 저는 제 아들이 그 사실을 믿고 의지할 수 있었으면 해요. 하지만 만약 아들이 〈커리어 수어사이드〉라는 작품을 보면, 아빠가 나를 지켜줄 거라고 믿어줄까요?
그래서 저는 제 아들이 커서 설명할 수 있는 때가 오면, 아들에게 세 가지 사실을 알려줄 거예요.
첫 번째로, 제가 어렸을 당시, 우울한 감정들을 처음 느꼈을 때, 저는 그 감정들을 숨기려고 애썼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싶어요. 저는 그때 누군가가 나를 재단하고, 평가할 것만 같았어요. 저는 저의 우울증이 나약함으로 보일까 봐 두려웠어요. 제 문제가 주변 사람들에게 짐이 될 거라고 확신했었어요.
나중에 알고 보니, 앞서 말한 걱정은 전부 다 사실이 아니었어요. 나중에 깨달은 그 사실을 아들에게 꼭 일러줄 거예요. 제가 도움을 받아야겠다고 마음먹었을 때, 저를 사랑하는 수많은 이가 저를 도와주려고 발 벗고 나섰다는 사실도요. 그들은 저의 가장 낙관적인 기대보다 훨씬 더 큰 도움이 되었고, 덕분에 제 공포심을 가라앉힐 수 있었으며, 제가 기대한 것보다 훨씬 큰 희망을 주었어요.
저는 아들에게 저의 가장 큰 두려움, 무엇보다 컸던 두려움은 제 아들이 이처럼 서서히 퍼지는 질병을 저에게서 물려받는 것이라고 확실하게 말해줄 거예요. 칼이 언젠가 제가 그랬던 것처럼 절망감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아요. 마치 손바닥으로 알루미늄 포일을 짓이기면 찢어지는 것처럼요. 저는 이전부터 사람들이 우울증을 때로는 ‘슬픔’의 동의어로 잘못 생각한다고 말했어요.
저는 우울증을 정의하는 핵심 요소는 슬픔이 아니라, 오히려 외로움, 고독에 가까운 거라고 말하고 싶어요. 절망감에 이르게 하는 심연의 고독이요. 그 절망감이 너무 심각한 나머지 침대에서 나와야 한다는 생각조차 할 수 없게 만드는 그런 느낌이요.
저는 제 아들이 그런 감정들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설명해줄 거예요. 그리고, 절대 그런 일은 없어야겠지만, 만에 하나 칼이 그런 감정을 느낀다면, 그가 제게 언제든지 그 감정에 편하게 말할 수 있다는 점도 분명히 알려줄 거예요. 그렇다고 제가 절대로 아들을 함부로 판단하거나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요. 그런 감정을 느낀다고 약하지 않다는 사실도요.
혹시나 나를 향한 아빠의 기대나 평가가 흔들릴까 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도 꼭 말해줄 거예요. 왜냐면, 절대 그러지 않을 테니까요. 이제 만난 지 석 달이 조금 더 지났을 뿐이지만, 저는 이미 그러지 않을 거라고 확신해요.
칼에게 제 삶 속에서 가장 큰 후회는 고등학교를 졸업했을 때 도움이 필요했지만, 실제로 대학교를 졸업한 뒤까지 주변에 도움을 청하지 않았다는 점이라는 걸 확실하게 말해줄 거예요. 아들에게 당시 제가 아버지가 실망하진 않을까 두려워했다는 점도 말해줄 거예요. 그리고 제 생각이 완전히 잘못됐었다는 사실도요. 저는 제가 어느 정도 제 감정을 다스리고, 조금 더 안정되었을 때 아버지가 제게 이렇게 말했었다고 말해줄 거예요.
나는 아마 너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지 잘 몰랐을 거야… 하지만, 너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찾는 일이라면, 그 어떤 벽이라도 뚫고 나아갔을 거야.
저는 제가 아들을 위해 어떤 벽도 다 뚫을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다는 사실을 알려줄 거예요. 그리고, 도움을 청하는 건 단지 한 문장, 한 통의 전화, 문자 하나면 충분하다고 말해줄 거예요. 그리고 절대로 도움을 청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라고도 이야기해줄 거예요.
두 번째로, 저는 그에게 제 작품은 사람들이 많이 우려하기도 했지만, 결국엔 꽤 많은 사람을 도와주었다는 사실을 말해줄 거예요. 가령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은 말로 표현하기 힘든, 우울증 환자들이 느끼는 감정을 제가 정확히 말해줬다고 해요. 어떤 사람들은 저에게 제 작품을 보고 나서 정신 질병이 있는 지인들을 평가하기보다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 도와주기 시작했다고 말했어요.
그중에서 가장 가슴 아픈 경우는 사랑하는 사람을 자살로 잃은 사람들이었어요. 그들은 제 작품을 통해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의 사고 과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어요. 그리고 제 작품이 (자살과 같이) 비극적으로 세상을 떠난 사람들의 존엄성을 지켜주었다고 말했어요.
저는 그에게 한때 어떤 사람들은 자살을 “겁쟁이들의 탈출구”라고 말했고, 제 작품이 가장 자랑스러운 점은 바로 그런 잘못된 주장들에 맞서 치열하게 싸웠다는 점이라고 말해줄 거예요. 제가 “한때”라고 쓴 이유는, 제 아들이 이런 대화를 할 수 있을 나이가 되면,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부디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예요.
저는 아들에게 인류의 문명은 구성원들이 서로서로 보살피는 데서 시작하는 인류애를 통해, 서로를 위한 눈에 보이지 않는 안전망 덕분에 살아남는다고 말해줄 거예요.
마지막으로 그에게 말해주고 싶은 부분은 사실 말하기 가장 힘든 부분이기도 해요. 이 말을 할 때 저는 아들의 눈을 똑바로 응시하며 말해줘야 할 거예요. ‘그렇다’고. 한때 제 인생에서 ‘세상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리고 싶다’라고 확신한 적이 있었다고요.
아마 이 말을 아들에게 직접 하기는 정말 어려울 거고, 끔찍이도 싫은 일일 거예요. 하지만 동시에 저는 그에게 제가 얼마나 잘못 생각했던 건지도 꼭 말해주고 싶어요. 그 이후로, 제가 잠시 멈춰 서서 “내가 이걸 살아서 볼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야”라고 말한 적이 얼마나 많았는지를요.
예를 들면 그랜드 캐니언이라든가, 스리랑카의 갈레 요새에 파도가 치는 장면을 볼 때요. 아니면 아이 엄마가 브루클린에서 저와 같이 눈보라를 뚫고 같이 걸어갔을 때, 얼마나 아름다워 보였는지요. 그리고 그때 얼어 죽을 만큼 추웠지만, 차 한 대 없는 브루클린 거리를 우리가 마음껏 활보하며, 그 시간 내내 얼마나 웃었는지도요.
또 저의 가장 어두웠던 나날에 제가 얼마나 모든 사람이 못됐다고 확신했는지, 그리고 그 이후로 수천 번에 걸쳐, 사실은 정반대임을 경험했는지도 꼭 말해줄 거예요. 그가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이유는 제가 수많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선의의 수혜자이기 때문이라는 것을요.
저는 그에게 저의 우울증이 저에게 얼마나 많은 거짓말을 했는지 말해줄 거예요. 우울증은 제가 모든 것을 안다는 잘못된 확신을 심어줬어요. 사실 저는 아무것도 몰랐는데도 말이죠. 저는 저를 감싼 안개가 걷히고 나서 정말 많은 사실을 배웠어요. 우울증은 저를 세상의 혐오스럽고 추한 부분에만 집중하게 했어요. 그런 부분은 실재하지만, 당연히 그게 전부는 아니에요. 아니, 실제로 이 세상에서 아주 작은 부분에 불과했음에도요.
사람들은 아름다워요. 어디에나 예외는 있고, 그런 사람들은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도 하지만, 대부분 사람은 그저 사랑스러운 존재라는 걸요. 세상은 놀랍고, 역동적인 사람들로 가득하다고요.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에게 희망을 주는 것은 우리가 만나는 ‘사람’이라는 걸요.
저의 우울증은 고약한 거짓말쟁이였어요. 저는 제 아들이 그 사실을 똑똑히 알 수 있도록 할 거예요.
어떤 날에는, 아들이 아버지가 삶의 많은 부분을 깊은 슬픔에 빠져 보냈다는 사실, 그리고 그 슬픔을 극복하는 내내 무섭게도 혼자였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할 거예요.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그런 대화를 할 수 있을 때가 오면 아들의 눈을 쳐다보고, 그게 사실임을 인정하는 것뿐이에요. 저는 아들에게 저를 평가하지 말아 달라고 부탁할 거예요. 그리고, 저도 그를 절대로 재단하지 않겠다고 약속할 거예요.
그리고 저는 제가 너무 사랑하는 이 작은 아이가, 저의 질병을 물려받지 않는 대신, 제가 제 질병에 맞서 싸우며 배운 교훈을 물려받길 기도할 거예요. 제 아들이 제가 싸운 전쟁의 전리품은 물려받되 상처들은 물려받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그는 너무나 사랑스러운 아이이고, 저는 그를 위해 온 힘을 다해 맞서 싸울 거예요. 이 대화를 마치고 나면… 성교육 대화는 정말 아무것도 아닐 거예요.
원문: 뉴스페퍼민트
-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 청소년전화 1388
-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 한국생명의전화 1588-9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