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에 막 들어간 무렵이었나. 우리 반에 구개구순열로 입술이 심하게 갈라진 아이가 있었다. 몇 번인가 수술을 했지만 이렇다 할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들었다. 입학 초기에는 다들 서먹해서인지 별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놀리는 아이들이 많아졌다. 당시에는 구개구순열이 뭔지도 몰랐다. 하긴 알았다 한들 그저 ‘우리와 다르다’는 이유로 “언청이”라고 부르며 따돌렸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었으리라. 괴롭힘은 일상이었다.
여기까지도 충분히 나빴지만 더 나빴던 건 누군가 그 아이와 어울리면 같이 싸잡아 따돌렸다는 거다.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었을 텐데 “그러다가 너까지 전염된다”는 말도 서슴지 않았다. 조별로 과제를 수행하는 시간이면 어떻게든 같은 조가 되지 않으려 했다. 이렇게 쓰는 나도 마찬가지였다. 손가락질하지 않았을 뿐 따돌리는 집단에 서서 가만히 바라보기만 했다. 며칠 전 중학 시절 우리 반의 풍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영화 〈원더〉를 보며 약간 놀랐다.
아홉 해를 사는 동안 엄마가 선생님이었다. 학교에 갈 수 없었던 건 매년 크고 작은 수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수술 후유증으로 아이스크림을 먹거나 엑스박스를 할 때도 병원과 집을 벗어날 수 없었다. 하지만 자식을 언제까지나 끼고 살 수는 없었을 터,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법을 배우도록 어거스트의 엄마와 아빠는 그를 학교에 보내기로 한다.
열 살이 되던 해에 인근의 학교로 간 어거스트가 맞닥뜨린 현실은 엄마와 아빠가 걱정하던 것보다 더 무참했다. 소년에게는 프레디 크루거, ET, 구토 유발자, 돌연변이 같은 별명이 붙었다. 다행스러웠던 건 ‘우리 학교에서 나가, 이 오크족!’이라며 괴롭히는 무리를 방관하지 않는 아이들과 어거스트를 마땅치 않아 하는 학부모에게 “외모는 바뀌지 않아요, 그러니 우리의 시선을 바꿔야죠”라고 타이르는 선생님이 있었다는 거다.
책 『원더』를 쓴 작가는 어거스트와 비슷한 여자아이를 보고 울음을 터트린 아들의 모습에 당황한 이후, 오랜 시간을 들여 이야기를 구상했다고 한다. 영화에서는 생략된 원작의 말미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친절이란. 참으로 간단한 일. 누군가 필요로 할 때 던져 줄 수 있는 따뜻한 말 한마디. 우정 어린 행동. 지나치며 한 번 웃어 주기.” 단지 외모만 따지며 나도 누군가에게 별생각 없이 상처가 될 말을 한 건 아닌지, 이 말을 다시금 새겨본다.
원문: 북스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