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고 있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기원
백년전쟁이 발발하자 영국과 가장 가까운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는 영국군의 집중 공격을 받았습니다. 프랑스의 칼레 사람들은 시민군을 조직해 맞서 싸웠지만, 전쟁이 길어지자 식량이 고갈되어, 끝내 항복하고 말았습니다.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파격적인 항복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시민들 중 6명을 뽑아 와라. 칼레 시민 전체를 대신해 처형하겠다.”
칼레의 갑부인 ‘외수타슈 생피에르’ 를 비롯한 고위 관료와 부유층 인사 6명이 자원했습니다. 이들은 목에 밧줄을 걸고 맨발에 자루 옷을 입고 영국 왕의 앞으로 나왔습니다. 사형이 집행되려는 순간, 임신 중이던 영국 왕의 아내가 처형을 만류했습니다. 이들을 죽이면 태아에게 불행한 일이 닥칠지도 모른다는 이유였습니다. 왕은 고심 끝에 이들을 풀어 주었고, 6명의 시민은 칼레의 영웅이 되었습니다.
이것이 가진 자의 의무를 상징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가 탄생된 배경입니다. 단 6명의 지도자가 칼레를 구한 것처럼 세상을 밝히는 등불은 아주 작은 불빛에서 시작됩니다. 희생과 나눔을 의무로 여긴다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더욱 밝아질 것입니다.
원래 노블레스는 ‘닭의 벼슬’ 을 의미하고 오블리주는 ‘달걀의 노른자’ 라는 뜻입니다. 이 두 단어를 합성해 만든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닭의 사명이 자기의 벼슬을 자랑함에 있지 않고 알을 낳는데 있음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사회 지도층의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말로 사회로부터 정당한 대접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리는 명예(노블레스)만큼 의무(오블리주)를 다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역사를 바로잡자: 6명의 시민은 존재하지도 않는다
일단 여기까지가 실제로 일어난 역사 속의 이야기다. 그런데 이 칼레의 시민 이야기. 어딘가 불편하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자체는 좋지만 사실상 감성팔이 수준이다. 몇 년 전 EBS의 지식채널e에서 방송했던 내용과 판박이다.
일단 칼레의 6명의 용감한 시민의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다. 칼레 항복을 기록한 문건은 영국과 플랑드르, 프랑스, 부르고뉴, 신성로마제국, 그리고 교황청의 기록까지 합하여 약 20개 정도가 존재하는데, 당시 기록에는 6명의 용감한 시민의 이야기나 영국 여왕의 간청 따위는 언급되어 있지도 않다. 그저 “1년 정도 공성전을 벌인 후 결국 필리프 6세가 먼저 철수하고, 영국이 칼레를 점령한 후, 시민들을 소거했다”라고 담담하게 서술하고 있을 뿐이다.
다만, 당시 영국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플랑드르 지방의 문헌에서는 에드워드 3세가 좀 더 관대하게(칼레를 떠나는 시민들에게 노잣돈을 나눠줬다라고 나옴) 표현을 하고 있는 반면, 프랑스의 공식 기록들은 어린이들과 부녀자들을 살려달라는 간청을 에드워드 3세가 무시해서 약 500명 정도가 굶어죽었다라는 식으로 악랄한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그 후로, 사실 칼레 공성전이나 시민들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언급이 되지 않다가, 프랑스 혁명을 거쳐 민족주의 사상이 대세를 이루던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다시금 등장하게 된다.
백년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이후 프랑스 본토에서도 “마녀” 혹은 “어리석은 자의 상징”으로 통하던 잔 다르크를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하고(볼테르나 루소의 시대까지만 해도 잔 다르크는 “얼빠진 광신도”를 상징하는 역사적 인물로 통했다), 칼레의 시민들을 “외세의 침략에도 굴하지 않은 애국자”들로 둔갑시킨 건 당대의 정치인들과 그 정치인들을 빨아대던 작가들이었다.
근대에 이르러 갑부로 둔갑한 외수타슈 생피에르(Eustache de Saint Pierre)는 갑부가 아니라 당시 필리프 6세에게 칼레 방어의 명을 받은 칼레의 시장이었다. 그리고 시장이나 마을의 치안을 담당한 자가 자기 목에 밧줄을 메고 항복하는 건 에드워드 3세의 명에 의한 것이 아니라 14세기의 유럽 도시들이 적에게 항복할 때 “관대한 처분”을 요구하는 일종의 퍼포먼스, 혹은 관례 중에 하나였다는 것이 오늘날 역사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의 관점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칼레의 시민 동상을 제작한 오귀스트 로뎅은 이 이야기의 모순을 간파하고 그들을 영웅적으로 보이지 않게끔 조각하였다가 당시 언론에 “뭐 이리 불쌍한 표정들로 만들었음?” 하며 대차게 까이기도 한다.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어원: 닭벼슬도, 노른자도 아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가진 자가 먼저 베풀고 먼저 행동하고 먼저 희생하고. 사회 지도층에 속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도덕적 의무. 명예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희생을 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사실 이건 칼레의 시민 이야기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부터 사회 지도층에 속한 사람들에게 의무지워진 것이기도 하다.
멀리 가자면 호메로스의 일리야드에서 참된 왕가의 인물이라면 병사들 앞에 나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하는 트로이의 왕자가 등장하며, 나라를 다스리는 집정관을 선출할 시에는 군단 경험은 물론, 호민관이나 법무관 등의 중간 관리직도 풍부하게 경험한 사람들을 선호한 로마 공화정과 제정의 역사가 있고, 우리에게는 의병대를 조직해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우거나 혹은 독립운동에 가세했던 양반들과 지식인들이 있다. 지붕이 시퍼런색으로 도색되어 있는 저택에서 수첩이나 뒤적거리시는 어떤 분과 참 대조되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Noblesse가 닭의 벼슬에서 비롯된 단어라고 하는 시점에서 이미 오류의 극치를 달리고 있다. Noblesse는 중세 프랑스어 단어인 Noblece가 근대를 거치면서 변화한 것이고, 그 어원은 라틴어에서 “고귀함”, 혹은 “집정관을 배출한 적이 있는 고귀한 혈통을 지닌 가문”을 뜻하는 Nobilis(복수: Nobiles. 고귀한 혈통을 지닌 자는 Nobilitas)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 Oblige는 중세 영어인 obligen(혹은 중세 프랑스어 단어 obligier)에서 비롯된 것이다. 역시 그 어원은 라틴어에서 “속박”, 혹은 “의무”를 나타내는 Obligare에서 비롯되었다. 닭벼슬은 도대체 어디서 갑툭튀한 건지.
그리고 Noblesse Oblige라는 표현 자체가 등장하게 된 건 19세기 중엽, 프랑스 사실주의를 상징하는 극작가, 오노레 드 발자크의 희곡, “골짜기의 백합(Le Lys dans la Vallée)”에서 처음 등장한다. 미안하지만 그 이전에는 이런 표현 자체가 없었다.
정당한 대접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리는 명예(노블레스)만큼, 의무(오블리주)를 다 해야 한다는 점에는 3,800% 정도 찬성하지만, 출처도 불분명하고 자기 감정에 앞서 배경 설명을 얼렁뚱땅 한다거나, 혹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면서까지 강조하는 것은 그닥 좋지 않은 것 같다. 내가 꼰대라서 이런 걸 따지는 건지도 모르겠으나 여하튼 그런 이야기.
참고: 실제 칼레 공성전의 전말
백년 전쟁 초기에 벌어진 전투 중에 하나인 제 1차 칼레 공성전(1346)은 크레시 전투에서 괴멸에 가까운 피해를 본 필리프 6세(Philippe VI de Valois)는 노르망디 지방에서 프랑스 본토로 진군하는 에드워드 3세와 영국군을 저지해야 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영국군의 보급로를 차단할 필요가 있었다.
영국 역시 필리프 6세를 굴복시키기 위해서는 전략적 요충지인 칼레를 확보하여 프랑스군의 보급로를 완벽 차단하고 본국으로부터의 보급로를 확충할 필요가 있었다. 그에 따라 1346년 9월 4일부터 공성전이 시작된다. 칼레 공성전은 1347년 8월 3일까지 이어지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달리 수 차례에 걸쳐 필리프 6세에 의한 파상적인 공격이 계속 이루어진다.
단, 필리프 6세는 크레 시에서 약 3만여 명의 병력을 잃은 상태였기 때문에, 영국군에 대한 공격은 주로 영국의 보급 저지를 위주로 이루어졌다. 물론 단 한 번도 성공을 하지 못하지만(반대로 영국군 역시 필리프 6세의 군대를 괴멸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칼레 공성전에 임해야 했다).
당시 칼레에는 약 7,000-8,000명 정도의 시민이 있었는데, 필리프 6세에 의한 지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시민들에 의한 저항이 시작되었다. 칼레는 당시 요새화되었기에 쉽사리 점령할 수 없었고, 에드워드 3세는 주변을 약탈하고 프랑스 군의 보급을 막는 작전으로 칼레를 고립시키는 전술을 택하였다. 실질적으론 공성전이 펼쳐진지 6개월 만인 1347년 2월에 이르러 칼레를 완전 포위한다.
1347년 8월 1일, 1년 남짓한 저항에 지친 칼레시민들은 에드워드 3세에게 항복의사를 타전한다. 8월 3일에 에드워드 3세와 그의 군대가 칼레에 입성하게 되고, 머지 않아 칼레 시민들은 모두 영국-플랑드르 연합군 병사들에 의하여 강제 소거 당한다. 이후 1558년 프랑스군에 의하여 탈환되기까지, 칼레는 약 200여 년간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canada goose outletThe Horrifying Worlds of Hart Fi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