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제 직업의 특성상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을 많이 보았고, 그로 인해서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특징들을 많이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 디지털로 나타나는 모습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만약 이 글을 읽는 분이 제가 소개한 모습을 보인다면 자신을 잠시 돌아보고 좀 더 편안해질 방법을 찾기를 바랍니다. 또한 내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 이 모습들을 보인다면 따뜻한 손길과 말을 건네주길 바랍니다.
주의를 드리고 싶은 것은 저의 관찰했다는 결론이 100% 맞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저 개인적으로 ‘이런 모습을 보이는 분들이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여기시면 됩니다. 당연히 제가 언급한 모습을 하고도 정서적으로 건강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본인의 생각과 다르다고 생각하시면서 화가 날 필요는 없습니다.
첫 번째,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과 배경 화면이 기본 상태
저에게 찾아오신 분들의 한 60% 정도는 카카오톡의 배경 화면과 프로필 화면이 기본 상태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런 선택을 하는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텐데, 많은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세상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걸 보여 줄 수도 있고,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벗어나고 싶다는 걸 보여 줄 수도 있습니다.
혹은 그냥 ‘나의 상태가 별로 좋지 않아’를 간접적으로 보여 주는 걸 수도 있죠. 제가 이 상태에 있는 분들에게 “왜 그렇게 하셨나요?”라고 물어봤을 땐 다양한 이유가 나왔기 때문에, 한두 가지 이유로 단언할 수는 없지만 정서적으로 안 좋은 상태일 때 이런 모습을 보이는 경우를 많이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앞서 주의 드렸던 것처럼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저 메신저 자체에 대해 크게 관심을 안 갖는 분일 수도 있죠(실제로 댓글에서 이렇게 답한 분들도 꽤 계셨지요). 그래서 이것 하나만으로 판단할 수는 없고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보이는데 카톡 프로필과 배경 화면이 기본이다 하면 어느 정도 신뢰성이 있다고 볼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 너무 자주 바뀌는 카톡 프로필 및 배경 화면
반대로 프로필 사진이 하루에도 여러 번 바뀌는 분들도 있는데 이분들도 약간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게 아닐까 추측합니다. 이유를 분석해보면, 내가 어떤 생각과 감정을 이해받고 싶고 공감받고 싶은데 그걸 직접적으로 얘기하긴 좀 그래서 카톡이라는 간접적인 수단을 통해서 표현하는 거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보통 정서가 평안한 분은 프로필을 그렇게 자주 바꾸는 것 같지 않아 보였습니다. 혹은 나의 어떤 부정적인 감정이 있다 하더라도 그 부정적인 감정을 주위 사람들에게 잘 표현하고 이해받을 수 있는 분들이라면 굳이 카톡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자기의 생각을 표현할 필요가 없겠죠.
세 번째, 인스타그램 속 책 사진
서점에서 내가 어떤 책을 사고 어떤 책을 읽는지는 나의 심리 상태를 꽤 정확하게 반영하는 편입니다. 어떤 사람은 자기 계발과 관련된 책인 경제 투자 그리고 저축과 관련된 책을 사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자기의 마음을 공감받고 싶고 치유하고 싶은 책들을 주로 삽니다.
저는 보통 저의 이론을 보강하고 강화하기 위해서 심리학책을 사지만, 저처럼 심리 관련 일에 관련된 사람이 아니라면, 자기의 심리 상태가 반영되어 책을 구매한 것이고, 또한 그걸 읽는다는 걸 보여 주고 싶어서 SNS에 올리는 것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책은 치유의 시작이 될 순 있지만 결론이 될 수는 없습니다. 변화는 항상 실행과 전문가의 도움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책만 읽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네 번째, SNS상의 신변 정리 글
누군가 죽음을 생각할 만큼 심각한 정서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는 사람들에게 SNS상에서 뭔가를 암시하곤 합니다. “죽고 싶어” “이렇게 살 바에는 죽는 게 나아” “나 하나 없어지면 모든 게 잘 해결될 거야” 같은 직접적인 표현도 있지만,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나 혼자인 것 같아요” “외로워요.. 죽으면 천국에 갈 수 있을까요?” 같은 간접적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본인이 이런 글을 썼거나, 쓰거나, 주위 사람이 이런 글을 쓴다면 재빨리 그 주위 사람들한테 알리고 전문적인 도움을 받도록 유도하는 게 좋습니다. 정말 심각한 상황이라면 경찰서에 신고해서 이 사람을 살리는 게 선행되어야 합니다.
다섯 번째, 도 넘은 악플
그날 뭐 일진이 안 좋아서 화풀이로 악플을 몇 글자 쓰는 것은 창작자로서 비일비재하므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도가 넘을 정도로 끔찍한 내용의 악플을 지나치게 길게 쓴다면 그 사람은 정서적으로 매우 문제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제가 받았던 가장 끔찍한 댓글은 작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이브 달렸던 댓글입니다. 길이가 무려 A4 용지의 3분의 2 정도를 채우는 악플이었습니다. 그 내용이 조악한 걸 떠나서, 저의 영상을 비난하는 것에서 끝난 게 아니고 저의 영상을 보고 마음을 회복하려는 사람들까지 싸잡아서 욕을 하는 그런 내용이었습니다.
크리스마스이브에 너무 외로워서 여러 이유로 화가 났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런 것들이 해결되지 않고 반격하기 어려운 그냥 유튜버한테 분풀이하는 것으로 화를 푼 거 같은데 전 그 사람이 ‘매우 불쌍하면서도 위험한 상태에 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 공격성이 지금처럼 밖을 향하다가 정말 다른 사람한테 해를 줄 수도 있고 혹은 자기를 향하면 자기를 공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만약에 본인이 이렇게 심각한 악플을 너무 자주 단다면 지금 많이 힘든 상태구나, 그러니까 내가 좀 쉬거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시는 것이 좋습니다. 악플을 단다고 절대로 행복해지거나 회복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좀 더 생산적인 방향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쓰시길 바랍니다.
여섯 번째, 게임이 자기 맘대로 돌아가지 않으면 트롤링!
팀으로 이루어진 게임들을 하다 보면 화도 나고 탓을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저도 가끔 그렇습니다). 게임을 하다 여러 부류의 사람을 만날 수가 있는데 그중에 정말 정서가 약해 보이는 사람이 이런 사람들입니다.
딱 한 번 누군가가 실수를 했거나 자기 맘대로 게임이 돌아가지 않았을 때, 갑자기 자기는 게임을 하지 않겠다, 다 때려치운다면서 트롤링을 하는 겁니다. 다른 사람들의 게임을 방해하고 한 20–30분 게임이 남았는데 사람들에게 고의적으로 괴롭힘을 저지르는 것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욕을 먹는데, 그렇게 비난하면 자긴 잘못 없다고 너희가 문제라면서 회피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확실히 심리적인 어려움이 나타나, 지금 게임에서도 이와 같은 모습이 나타나는 거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일곱 번째, 주작러
가끔 커뮤니티에는 공감이나 공분을 일으키는 사건들을 소개하는 이야기들이 올라옵니다. 그런데 그 내용이 나중에 가서 조작으로 밝혀진 그런 글들이 있죠.
이런 글들을 쓰는 사람들의 심리는 이렇게 추측합니다. 현실 세계에서는 주체적인 느낌을 얻기 어려워서 자기가 사람들의 반응을 확실하게 끌어낼 수 있는 뭔가를 조작해서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요. 댓글도 많이 달리고 화제가 되면 ‘내가 그 모든 걸 만들어 냈다’면서 권력 감각이라든가 주체적인 느낌이 생깁니다. 이러한 느낌을 현실에서 받지 못했기 때문에 가상으로라도 얻고 싶은 겁니다.
그러나 이런 걸 만들어 낼 때는 정말 에너지가 많이 듭니다. 악플 쓰는 데도 많은 에너지가 많이 들지만 이렇게 조작 글을 쓰려면 다양한 증거도 만들어 내고, 소설도 써야 하고 더 여러 가지를 해야 하죠. 그렇게 해서라도 주체적인 감정을 갖고 싶다는 욕구에 의해서 이런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