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의 사소한 주제로 시작한 대화가 삶의 근원적인 것들로 심화해 결국 행복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질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대화 끝에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나는 어느 정도 행복한 걸까?
‘행복’은 인류가 문명사회에 접어든 이래로 가장 오래된 화두이자 삶의 목표입니다. 누구나 행복한 삶을 꿈꾸고, 심지어 행복해 보이는 삶을 사는 이들조차 자신이 행복한지 불행한지 확인하려 애쓰곤 하죠. 다가오는 고난의 시간은 그런 자신을 더욱 흔들리게 만듭니다.
친구나 애인, 가족이 겪는 힘든 일상도 한몫합니다. 심지어 TV를 통해 들려오는 자연재해나 살인, 유괴 사건 등도 내 삶을 우울하게 만드는 복병들입니다. 우리는 행복해 보이는 많은 사람 틈에서, 수많은 장애물을 넘어 오늘도 행복해지기 위해 애씁니다. 그런데 행복에 대한 열망이 실제로 행복을 얻는 데 도움이 될까요? 여기 조금은 다른 이야기가 있습니다.
행알못이 행복하다?
최근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행복해지는 길은 아이러니하게도 ‘행복에 대해 집중하지 않는 것’에 있습니다. ‘행복’은 사회적인 개념을 내포하기 때문이죠. 연구자들은 “행복감이 ‘만족스러운 삶’을 위한 열쇠라는 사회적 규범에 오히려 허점이 있다”라고 말합니다. 행복을 강조하는 맥락은 내가 행복감을 느낄 때는 도움이 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오히려 실패감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사회적으로 행복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도 나는 실제로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에 부합하는 삶에서 배재된 듯한 느낌을 갖게 하며, 내가 느끼는 부정적인 기분에 대해 지나치고 불필요하게 신경 쓰는 계기를 만든다고 합니다.
한편 행복을 향한 이런 열망은 주변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우울하거나 화가 났을 때도 나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가령 친구의 부정적인 이야기를 들으며 그(녀)의 감정을 느끼고 결국 함께 화를 내거나 걱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내 본래의 좋았던 기분을 잃어갑니다.
사건 자체로는 사소한 경우에도 나와 주변이 ‘행복의 기준’으로부터 멀어지는 듯한 상황이 걱정돼 상대방의 부정적 기분에 필요 이상으로 동참합니다. 이처럼 연구자들에 따르면 행복해져야 한다는 압박감만으로도 불행해질 수 있습니다.
이번 주제는 내용 자체가 어려워서 번역 및 정리하는 과정에서 수명을 좀 사용한 것 같아요…(행복하지 않았어!) 그럼에도 ‘행복’이라는 절대 반지 같은 개념에 도전하는 연구라서 흥미롭니다. 이것들이 우리의 정신건강에 이로운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남아있습니다. 최대한 쉽게 적고자 노력했으니 함께 읽어보셨으면 해요! 자, 그러면 관련 연구 두 가지를 살펴볼까요?
1. 행복 기대치 조작 실험
첫 번째 연구에선 ‘행복이 문화적 강박이 되었을 때’ 각 개인이 겪는 문제를 실험했으며, 이를 위해 행복 강조 맥락, 부정적 기분에 대한 반추,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 행복 강조 맥락: 행복한 삶을 강조하는 맥락
- 부정적 기분에 대한 반추: 지난 부정적인 기억을 되새기거나 돌아보는 것
- 주관적 안녕감: 삶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
이를 위해 실험 참가자를 아래의 A, B, C 그룹으로 나눈 후 각각 다른 실험 상황을 세팅했습니다. 각 그룹의 참가자는 아래의 각기 다른 환경에서 퀴즈를 풀도록 요청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퀴즈는 사실상 답을 찾아내기가 힘든 문제였습니다. 참가자들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좌절감을 경험하게 하려는 의도라고 하네요.
그룹 A
- 행복 강조 맥락: 행복 관련 서적과 동기부여 포스터가 장식된 방, 의욕 넘치는 동료와 함께 진행
- 과제 후: 실패감을 느끼게 함 (“더 많은 정답을 맞혔어야 했다”고 피드백)
그룹 B
- 중립적인 맥락: 행복 강조 장식이 없는 방
- 과제 후: 피드백 없음
그룹 C
- 중립적인 맥락: 행복 강조 장식이 없는 방
- 과제 후: 실패감을 느끼지 않게 함 (“퀴즈가 사실 풀기 어려운 게 맞다”는 사실을 안내)
다음으로 각 참가자가 얼마나 퀴즈로 인한 실패에 대해 얼마나 자주 반추하는지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행복 강조’ 방에 있던 A그룹의 참가자가 다른 두 그룹에 비해 더 많은 반추를 했습니다.
즉 행복이 사회적 규범으로 규정된 상황에 노출된 후 실패를 경험하면, 상대적으로 그 상황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자신의 실패를 곱씹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이런 반추 경향성은 참가자의 주관적 안녕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 사회적 기대와 부정적 감정 실험
두 번째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이 우울, 슬픔, 불안, 스트레스 네 가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빈도와 강도,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사회적 수용 예상 수준(예: “나는 우울하거나 불안함을 느낄 때 그것이 사회적으로 수용된다고 생각한다.”), 반추 경향성을 측정해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사회적인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행복하게(불행하지 않게)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 그것을 더 많이 곱씹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들은 내가 실제로 슬퍼야 할 상황에 반대로 행복을 느끼려고 하고 그로 인한 혼란을 겪었습니다.
이 결과는 ‘나는 행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에 대한 압력이 ‘나는 불행하거나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보다 더 강력한 장치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정리하면, 행복을 강조하는 문화 속에서는, 내가 행복하지 않을 때 오히려 내면에 대한 반추가 증가하며, 이는 불행감이 증가하는 역효과를 낳습니다.
나만의 만족스러운 삶을 향유하는 방법
연구 결과는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결론은 (더 어렵…) 아래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인 기대나 주변의 불행으로부터 나만의 삶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방법으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첫째, 내 행복의 기준을 사회적인 기대와 비교하지 마세요. 행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는 우리에게 “당신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해야 한다”라는 조건을 제시하곤 합니다. 그런 기대에 부합되지 않는 부분을 괜스레 들추며 스스로를 끌어내릴 필요는 없습니다. 내가 실제로 기분이 좋아지는 요소들, 이를테면 ‘친구와 함께하는 저녁 식사’ ‘기다렸던 드라마의 정주행’만으로도 우리는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에 너무 몰입하지 마세요. 내 삶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내가 겪는, 실제로 사는 귀중한 삶이라는 것을 이해해보세요. 그 안에서 내가 느끼는 감정들을 스스로에게 있는 그대로 허락해주세요. 행복하지 않음으로 인해 걱정을 반복하는 것이 아닌, 나에게 일어나는 다양한 감정들을 균형 있게 받아들일수록 나에게 소중한 것들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셋째, 타인의 부정적인 감정에 너무 몰입하지 마세요. 주변의 타인이 겪는 불행으로부터 감정적으로 물러서면 좀 정이 없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불행을 함께 곱씹는 것보다 상대방의 경험 자체를 정상화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해요. 상대의 생각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겪는 일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보여주세요. 타인의 부정적인 생각에 덜 휩쓸릴수록 오히려 그들에게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다소 어려운 개념들이 있어서 읽기에 수월하셨을지 모르겠습니다. 도움 되는 내용이었길 바라면서… 건강 관리 유념하시고, 덜 행복하더라도 더 기분 좋은 하루하루 보내시길 소망합니다!
원문: 왕고래의 브런치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참고 문헌
- 「How to Be Happy When the People Around You Are Not」, Psychology Today
- McGuirk, L., Kuppens, P., Kingston, R., & Bastian, B. (2018), 「Does a culture of happiness increase rumination over failure?」, Emotion, 18(5), 755–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