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버호벤의 로보캅은 SF 역사에 길이 남을 걸작이다. 그 영화에는 북유럽 특유의 냉정하고 건조하면서도 헐리웃과는 다른 방식으로 무자비한 정서를 통해 드러난 80년대 미국 대중문화의 본성이 담겨있다. 2014 년의 리메이크가 원작을 뛰어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리메이크작 역시 그 자체로 괜찮은 작품이다. 왜냐하면 감독은 이 영화를 단지 이전 걸작의 재현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질문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걸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해보자.
1. 기계가 인간을 필요로 하는 이유
80년대의 로보캅이 머피의 육신(정확히는 그의 뇌)을 필요로 했던 이유는 당시에는 기계가 인간의 뇌를 대신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영화 도입부에 ED209가 저지른 사고를 보자. 그 온전한 로봇은 가상의 용의자가 무기를 버렸음에도 그를 실제로 처형해버린다. 인간이라면 결코 저지르지 않았을 사고다.
당시의 기계는 현실과 가상을 구분하는 능력도, 상황에 맞춰 유연한 판단을 하는 능력도 없다. 그저 프로그램된 대로 무지막지하게 작동할 뿐이다. 이런 식으로는 도저히 길거리의 법집행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머피의 뇌를 집어넣은 것이다. 즉, 당시 로보캅은 처음부터 인간이 아니라 OCP사의 제품으로 대우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기계로는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고등지능을 증명하는 존재였다.
이제 2014년의 로보캅을 보자. 여기서 더 이상 인간은 필요하지 않다. 오히려 기계가 인간보다 판단은 더 빠르고 정확하며, 두려움도 없고, 분노에 휩싸여 일을 그르치지도 않으며, 부패한 시스템에 매수되지도 않는다. 그네들을 이라크 전쟁터에 투입하면 인간 병사들과는 달리 PTSD도 없을 것이고, 불필요하게 포로를 학대하지도 않을 것이며, 쿠란을 불태우거나 오줌을 싸는 멍청한 짓을 하지도 않을 것이다.
법이 사사로운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은 냉정한 집행자를 필요로 한다면 이 영화속 로봇들이야 말로 그에 가장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에 머피를 집어넣은 이유는 명분 때문이다. 머피 탑재 로보캅은 인간이 아닌 기계에 의한 법집행이라는 아이디어가 대중들에게 거부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완화시킬 일종의 마케팅 수단인 것이다. 그래서 이 영화의 로보캅은 애초부터 OCP사의 제품이 아니라 치명적인 산재를 입었던 경찰관 머피의 재활프로그램으로 홍보된다.
하지만 그것은 모두 명분일 뿐이다. 영화는 오로지 뇌와 안면, 그리고 허파와 심장만 남은 머피의 본체를 보여주며 OCP사의 대외적인 홍보, 즉 “머피의 재활”은 허상이며 그의 본질은 기계에 얹혀진 생체학적 장신구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심지어 머피 탑재 로보캅이 순수한 기계 로보캅보다 수행능력이 떨어지자 데넷 박사는 기계가 머피의 뇌를 바이패스 하도록 개조한다. 다시 말해서 여기서 내세우는 인간성은 허울좋은 명분일 뿐이라는 사실은 단지 대외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로보캅 자체 시스템 측면에서도 그러하다.
2. 무엇이 변했나
흥미로운 점은 80년대의 로보캅이나 2014년의 로보캅이나 머피의 본체 자체는 동일하다는 점이다. 87년의 로보캅에서는 표현기술의 제약이나 다른 이유로 그저 이를 보여주지 않았을 뿐, 그 기계속 머피 역시 뇌와 안면, 심장과 허파, 그리고 약간의 내장만이 남아있었을 것이다.
로보캅2 에서는 심지어 오로지 뇌와 척수만을 빼내서 새로운 로보캅을 만들어낸다. 인간은 변하지 않았으나 기계들이 변했다. 80년대의 컴퓨터는 융통성이 부족한 기계였다. 다시 말해서 스마트하지 못했다. 그 당시 인공지능 이론에서는 ‘퍼지’라는 개념이 유행했었는데 이 단어는 어중간한 이라는 뜻이다. 0과 1로 구성된 흑백이 아닌 회색의 지점을 처리하는 능력, 그것이 당시 인공지능 분야의 최대 화두였다. 이 퍼지의 판단은 인간에게는 일상이고 숨을 쉬는 것 만큼이나 간단한 일이다. 당시의 인공지능은 그렇게 간단한 것 조차흉내내지 못하는 아둔한 존재였던 것이다.
그러나 2014년의 로봇들은 인간보다 하등하지 않다. 그네들은 인간을 이미 능가해버렸다. 그들은 이제 신을 흉내내고 있다. 모두 네트워크 때문이다. 머피가 장착된 로봇에는 단지 자체 센서를 통해 들어오는 정보 뿐만 아니라 유무선 정보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는 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되어 있다.
인간의 뇌는 그 정보를 감당할 수 없음을 머피의 발작을 통해 보여준다. 그걸 감당하는 유일한 방법은 도파민수치를 최저로 낮춰서 인간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여기서 인간성은 기계의 효율적인 수행에 방해가 될 뿐이다.
두 영화 관람 체험의 질을 결정하는 건 그래서 결말이다. 87년의 로보캅은 적어도 결말에서는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다. 처음에 머피는 기계의 부품으로 이식되었다. 하지만 그는 기계 신체를 통제하는 주인이므로 그는 OCP의 제품인 로보캅이 아니라 알렉스 머피인 것이다. 머피의 뇌가 아니었다면 그의 신체는 경직되고 아둔한 ED209와 다르지 않았을 테니 말이다.
하지만 2014년의 로보캅은 앞으로 무엇이라 불러야 할까. 비록 데넷 박사가 설치한 바이패스 회로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머피는 더 높은 차원에서 시스템을 통제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그는 바이패스 시스템을 바이패스 한 셈이다.
하지만 영화 속에서 로보캅이 한 일들은 머피가 한 것일까, 아니면 신경망 시스템이 해낸 것일까에 대해 답하기는 애매하다. 머피가 아니었다면 불가능했던 일이 과연 있을까? 그게 관객들 눈에도 보였을까? 무엇보다 현재의 그는 지극히 시스템 의존적이다. 최소한의 생체만 남긴 탓에 그는 24시간 마다 온갖 항생물질, 신경전달물질이 가미된 새 혈액으로의 교체를 받아야 한다.
만약 이런 그의 약점을 범죄조직이 알게 된다면, 그를 단지 24시간 이상 시스템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그를 무력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과연 그는 무력화될까. 아니면 죽어버린 생체 속에 숨어있던 진정한 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아닐까? 영화는 이런 질문에 답하지 않는다. 그래서 관객들은 2014년의 로보캅을 보고서는 뭔가 답을 얻지 못한 질문이 남겨진 느낌으로 극장을 나선다.
3. 자본과 자본가
2014년의 로보캅에서 흥미로운 또 다른 존재는 OCP의 CEO인 레이몬드 셀라스(마이클 키튼)이다. 87년 로보캅의 회장, 올드맨은 지극히 가부장적인 꼰대였다. 반면에 셀라스는 훨씬 소탈하고 인간적이며, 대화가 통하는 존재다. 오히려 그는 적극적으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려 드는 소통의 화신이다.
그가 데넷 노튼을 움직인 것도 일방적인 명령이 아니라 상호호혜적인 관계에 기반한 합의를 통해서였다. 그는 전혀 무자비하지 않아 보인다. 그는 기민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그 상황에 걸맞는 대안을 찾아내는데 있어서는 매우 유연하며,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미래지향적인 말 그대로 진취적인 자본가로만 보인다. 그런데 그가 내리는 결정의 무자비함은 바로 그 특성들에서 나온다. 그는 새로운 상황에 맞춰 새로운 해석을 내리고 그에 맞는 새로운 결정을 한다. 법적 제약으로 인해 자기네 제품이 미국시장을 뚫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머피에게 새 삶을 주면서 동시에 마케팅을 구현하는 윈윈전략을 선택했던 그는 시장 진출이 가능한 상황으로 바뀌자 다시 유연하게 태도를 바꾼다. “머피를 꼭 살려야 한다”던 그가, “우리 아니었으면 어차피 죽었을 인간 이제 죽일 수도 있지”로 태도를 바꾸는 과정은 지극히 기민하다. 그는 과거에 얽매이지 않기에 그런 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것이다.
개인으로서의 그는 한국의 꼰대 기업가들보다는 여러 모로 더 나은 존재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의 결정이 인간적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더 무자비할 수도 있다. 문제는 그의 판단에는 쉽게 반론을 제기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심정적으로 동의하기까지 하는 관객들도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망량의 상자에 등장하는 카나코와 크게 다르지 않은 머피의 본체를 본 관객들이라면, 망량의 상자와 같은 결말이 오히려 더 인간적이라고 느낄 수도 있지 않겠나. “그래 어차피 그 꼴로 사는 건 사는 것도 아닌데, 기능을 정지시킨다고 해서 더 나쁠 것이 있나?”
게다가 로봇 경찰이 그토록 유능하고 냉정하며 효율적이라면 또 그걸 도입한다고 해서 나쁠 것도 없지 않은가. 이 영화가 제대로 결말을 맺으려 했다면, 순수 로봇 경찰시스템의 치명적인 결함이 명백히 드러나던가 아니면 머피의 우월성이 뚜렷했어야 했다. 만약 인간보다 더 효율적인 법집행자가 구현 가능하다면, 그런 경우에도 인간이 법을 집행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영화가 답해야 하는 질문은 이거였다. 그러나 영화는 이에 답하지 않는다. 그저 머피의 일시적인 승리만을 보여준다. 여전히 24시간 마다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는 그는 온전한 주체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그저 셀라스의 꼭두각시에서 데넷 노튼의 꼭두각시로 바뀌었을 뿐이다.
valentino sandalsPotential Loss for the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