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영화 <신과 함께>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괴왕’ 주호민의 업적이 추가됐다. 물론 이 리뷰를 쓰는 날이 개봉일(12월 20일)이기 때문에 아직 흥행까지 파괴되었을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이건 분명하다. 주호민의 작품 중 처음으로 영화화된 <신과 함께: 죄와 벌>은 김용화 감독의 히트작인 <미녀는 괴로워>나 <국가대표>가 아닌 <미스터 고>에 가까운 작품이다.
김용화 감독은 한국영화 최초로 CG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던 전작에 이어 저승이라는 가상의 세계를 영화의 배경으로 내세운다. 영화는 살인, 나태, 거짓, 불의, 배신, 폭력, 천륜이라는 일곱 가지 지옥에서의 재판을 통과해야 환생할 수 있는 소방관 자홍(차태현)과 이를 돕는 저승차사 강림(하정우), 해원맥(주지훈), 덕춘(김향기)의 이야기가 담긴, 3부로 구성된 원작의 ‘저승편’ 파트를 줄거리로 가져온다.
영화는 원작에서 ‘업무상의 과도한 음주로 인한 암’으로 사망해 저승으로 오게 된 자홍의 직업이 소방관으로 바뀌었고, 그의 가족과 연관된 이야기를 영화의 주요 소재로 끌어온다. 때문에 <신과 함께: 죄와 벌>은 원작이 지닌 시크함과 같은 미덕이 사라지고, 천만 관객을 목표로 일일이 각 시퀀스에 별점을 매겨가며 만든 것과 같은 각본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이 영화는 관객의 멱살을 잡고 왜 울지 않냐며 강요하는 작품이다. 영화를 보는 139분의 시간 동안 내 눈에서 눈물이 나올 때까지 뺨을 얻어맞는 기분이었다. 주호민 작가의 출중한 원작을 흔한 신파로 각색하는 동안 작업실에 저승귀가 나타나지는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이런저런 문제점이 있는 작품이지만, 무엇보다 각본이 영화의 가장 큰 문제다. <신과 함께: 죄와 벌>의 각본은 흔한 신파다. <국제시장>, <해운대>로 대표되는 JK필름의 영화들이나 <7번 방의 선물>과 같은, 어떻게든 관객을 웃기고 울려보겠다고 온갖 스펙터클과 다양한 캐스팅을 동원하면서, 서브플롯은 엉망이고 내러티브의 구심점은 어떻게든 눈물을 뽑아보겠다며 후반부에 몰려있는 각본이다.
차태현, 하정우, 주지훈, 김향기를 비롯해 도경수, 김동욱, 오달수, 임원희, 이정재, 김수안, 이준혁, 장광 등 수많은 배우들이 출연하지만, 이러한 각본 밑에서는 모두가 연기의 역량을 드러내기 어렵다. 대부분의 대사가 어색하고 납작한 캐릭터들의 집합이기에 멀티캐스팅에서 흔히 기대할 수 있는 앙상블 연기 같은 미덕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대신 어색하게 어머니만을 부르짖는 차태현과, 조금 이상한 대사처리를 보여주는 하정우, ‘판관이 뭐 저따구야’라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재미없는 오달수와 임원희의 캐릭터 등 어색하고 지루한 캐릭터만이 영화 속에 가득하다.
여기에 눈물을 짜내기 위한 설정들, 가령 모든 것을 희생하는 것으로 대상화된 어머니, ‘이등병의 편지’를 이상하게 개사해서 부르는 모든 장면(과연 관심병사가 이런 가사를 듣고 좋아하는 게 가능한 일일까?) 등은 당황스럽기 짝이 없다.
촬영 역시 각본만큼이나 암담하다. 비가 내리는 하늘에서 아이를 구조하다 건물에서 추락하는 자홍까지 내려오는 영화의 첫 장면은 가볍다 못해 촌스럽게 느껴진다. CG를 대거 사용한 대부분의 영화가 유사한 비판을 받지만, 이렇게 역동적으로 카메라가 움직이는 장면에서 추락하는 자홍의 무게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 더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신과 함께: 죄와 벌>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액션 시퀀스들이 이와 유사하다. 사실상 액션이라고 부를만한 합이 많지 않기도 하지만, 이를 담는 카메라는 너무나도 가볍다. 가령 최근 MCU의 영화나 J.J. 에이브람스의 영화 등에서 종종 등장하는 풀샷에서 줌인하여 어떤 대상에게 집중하는 방식의 촬영(<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의 탈출 장면이나 <옥자>의 절벽 장면과 같은)이 <신과 함께: 죄와 벌>에서도 등장한다.
문제는 이 장면들이 어떤 세련됨을 지향하고 있지만, 줌인 이후 대상을 화면의 중심에 놓고 따라간다기 보단 이상하게 다른 방향으로 카메라가 움직이면서 마치 더블 줌인과 같은 괴상한 기법이 되어버린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상한 촬영들로 가득한 지옥귀와의 싸움을 포함해 모바일 게임 CF와 같은 강림과 원귀의 추격전, 자연재해처럼 표현되는 지옥의 몇몇 장면 등은 소위 ‘블록버스터 판타지 액션 대작’ 같은 타이틀이 붙기엔 어색하다.
여러모로 단점투성이인 영화이지만, 김용화 감독의 앞선 영화(특히 <미스터 고>)들과 차별화되는 장점은 존재한다. 이제 그린 스크린 앞에서 연기한 한국의 배우들이 CG로 그려진 배경에 어색하지 않게 자리한다. 물론 괴상하게 움직이는 카메라 앞에서 모든 게 이상해지기도 하지만, 좀 더 철저한 각본과 앞으로 쌓일 노하우가 더해진다면 괜찮은 결과물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극 중에서 묘사되는 일곱 지옥의 모습이나 원귀의 얼굴과 같은 부분의 CG는 흔히 말하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와 비교해도 크게 뒤지지 않는다. 앞으로 충무로가 해결해야 될 것은 이를 담아내는 노하우를 쌓는 것이다. 어쨌거나 CG를 비롯한 디지털 특수효과는 영화를 위한 수많은 기법 중 한 가지이다.
누군가는 이를 이용해 실험을 하기도 하고, 고전적인 대서사시를 새롭게 재해석하기도 한다. 결국 영화에 대한 이해가 높은 사람이, 영화를 잘 만드는 감독이 좋은 영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1부와 2부를 합쳐 400억에 가까운 제작비가 투입된 <신과 함께>는 영화를 잘 다루는 사람의 작품이 아니라는 느낌을 준다.
여러모로 천만 관객에게 팔리기를 기대하며 만든 영화 한 편일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이 남는 영화이다.
원문: 동구리의 브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