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끝나고, 주문이 풀리면, 영화는 마치 입안의 솜사탕처럼 녹아 사라진다.”
뉴요커의 《미녀와 야수》 리뷰 ‘“BEAUTY AND THE BEAST” AND “T2 TRAINSPOTTING”’에 나오는 말이다. 2017년 디즈니의 《미녀와 야수》는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영화지만, 영화가 끝나고 나면 어쩐지 기억에 남는 건 많지 않다. 2017년 작품의 원작이었던 91년의 애니메이션은 어땠을까? 아마 이 스토리의 가장 널리 알려진 교훈이라면, ‘외면의 아름다움보다는 내면의 아름다움을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정도일 것이다. 야수가 가진 내면의 아름다움을 외면의 아름다움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현명한 미녀 벨은 결국 잘생긴 왕자와 그가 가진 부를 모두 얻게 된다(왜 벨이 야수의 생김새까지도 사랑했을 거라는 가정은 없는지 모르겠지만).
하지만 정말 이 오래된 이야기의 교훈이 그걸로 끝일까? 91년 애니메이션의 원작이 되었던 작품은 1740년 프랑스의 소설가, 가브리엘-쉬잔 바르보 드 빌레느브가 쓴 이야기다. 애초의 야수는 코끼리와 물고기를 섞어 놓은 모습이었다고 한다. 상상만으로도 끔찍한 혼종이 떠오른다. 그래서인지 1756년 이를 아이들이 읽기 좋게 동화로 각색한 장 마리 르프랭스 보몽의 작품이 좀 더 유명하다. 보몽의 작품에서 야수의 생김새는 상상에 맡겨지고, 정확히 묘사되지 않는다. 그 후 이 이야기는 현대의 신화가 됐다.
그렇다면 1700년대에도 이야기의 교훈은 ’내면의 아름다움에 대한 중요성’이었을까? 미네소타 대학의 교수, 잭 자이프는 1983년 자신의 책에서 “사회의 남성 일원이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과 동화에 내재된 의미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동화는 신화가 되지 않는다.”고 썼다.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못생긴 남자가 아름다운 여자를 얻기 위해 이 이야기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그건 다소 피상적인 분석일뿐, 많은 이들이 알다시피 《미녀와 야수》 이야기는 결혼이라는 제도의 미덕을 (남성 중심적인 시각으로 여성에게) 홍보한다고 보는 것이 좀 더 적절하다. 동물 신랑(혹은 신부)과 사람 신부(혹은 신랑)가 나오는 설화에 대한 책을 쓴 마리아 타타르는 표면적으로 아버지 대신 자신이 갇히기로 한 미녀의 희생정신이 강조되지만 이것이 실제로는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고, 야수의 의지에 순종하는 관계”를 뜻한다고 말한다.
실제로 《미녀와 야수》 이야기 속에 담긴 문화적 함의들은 꽤 결혼의 그것과 비슷하다. 타인에 대한 두려움, 집을 떠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새로운 관계를 만들면서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에 대한 두려움 같은 것들 말이다. 미녀가 이 모든 두려움을 극복했을 때 부와 잘생긴 남편을 얻는다는 것을 떠올리면 훌륭한 결혼 장려 설화라고 봐도 좋을 정도다.
《미녀와 야수》 같은 이야기는 또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큐피드와 프시케 이야기 속에서 프시케는 결코 남편의 얼굴을 봐서는 안 된다는 경고와 함께 괴물과 결혼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는다. 경고를 무시하고 남편의 얼굴을 몰래 확인한 프시케는 남편이 가장 아름답고 매력적인 신 큐피드라는 걸 알게 되지만, 경고를 무시한 대가로 남편을 잃고 남편의 어머니인 비너스에게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갖은 고난을 겪는다. 옛날이야기뿐이 아니다. 《킹콩》에서 여주인공이 킹콩과 사랑에 빠지는 것이 기억나는가? 남자 주인공이 암컷 킹콩과 사랑에 빠지는 영화였다면 흥행이 얼마나 됐을지 조금 궁금해진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 여자가 야수고 남자가 사람인 경우다. 《백조 아가씨》 설화에서 사냥꾼은 젊은 여성들이 깃털로 만들어진 옷을 벗고 호수에서 목욕하는 모습을 발견한다. 사냥꾼은 그중 옷 한 벌을 숨긴다. 다른 이들이 깃털옷을 입고 백조가 되어 날아가는 동안 옷을 빼앗긴 여성은 사람의 형태로 남아 사냥꾼과 결혼하게 된다. 그들은 두 아이를 낳고 행복하게 살지만 숨겨둔 깃털옷을 여자가 발견했을 때 여자는 옷을 입고 백조가 되어 사라진다.
남여가 뒤바뀐 반대의 이야기니 이번엔 ‘사회의 여성 일원이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내용’이 들어가 있을까? 아쉽게도 그렇지 않다. 이 이야기는 남성 독자들에게 잠재적으로 여성은 다르다고, 여자들은 야생에 더 가깝고 길들여지지 않는다고 경고한다. 타타르는 이런 이야기가 “비밀스럽게 결혼의 억압적인 특성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여성에게 결혼은 집안일을 하고 아이를 키우는 의무를 지되, 깃털옷으로 상징되는 자유를 대가로 하는 제도인 셈이다.
‘선녀와 나무꾼’이 당연히 떠오를 것이다. 흥미로운 건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의 다양한 변주 중 나무꾼이 행복하게 사는 해피엔딩은 없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가 남성 독자들에게 경고를 한다는 의미가 꽤 설득력 있게 들리는 이유기도 하다.
평소 페미니스트로 유명한 엠마 왓슨은 《미녀와 야수》에서 주체적인 벨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한다. 그 노력에는 야수와 천천히 사랑에 빠지는 모습이라든가, 스톡홀름 신드롬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야수와 날을 세우며 싸우는 모습 같은 것들이 있을 것이다. 그 모든 노력에도 《미녀와 야수》 이야기가 기저에 깔고 있는 함의는 분명 페미니즘과는 거리가 멀다. 페미니스트에게 결혼은 자유와 욕망을 포기하는 대가로 부와 남자를 얻는 것이 아니니까.
원문: Yoon Ji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