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의 하라주쿠는 패션의 거리로 유명하다. 귀엽다는 뜻의 “카와이”, 서양의 패션 요소와 전통적인 일본 의상의 요소를 믹스한 “와모노”, 로리타와 고딕이 만난 “로리고스”, 미래지향적인 “사이버펑크”, 핀이나 리본 같은 액세서리를 많이 장식하는 “데코라” 같은 패션은 하라주쿠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이런 하라주쿠의 자유분방하고 창의적인 길거리 패션은 사라지고 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링크한 글에서 주목하는 원인은 경기 침체와 유니클로다.
1998년 이후 소비자들의 소득이 줄어듦과 동시에 유니클로가 크게 성장했다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일본의 소비자들은 전통적으로 다른 나라의 소비자들에 비해 패션에 쓰는 돈이 좀 더 많은 편이었지만 일본의 임금 수준은 지속적으로 하락했고,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일본인들이 패션에 쓰는 돈은 19퍼센트 줄어들었다. 요컨대 개성을 표현하는 데 쓸 수 있는 돈이 적어지면서 요즘의 하라주쿠에선 다양한 개성 대신 단순하고 무난한 스타일의 유니클로를 보게 된 것이다.
물론 이런 분석은 다소 피상적이고 직관적이다. 하라주쿠에서 길거리 패션이 사라져 가는 현상을 두고 인스타그램과 트위터 덕분에 개성을 뽐내기 위해 굳이 하라주쿠까지 갈 필요가 없어졌다는 설명도 가능하다. 심심한 분석이겠지만 그냥 시대의 유행이 변했다는 이유를 댈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 글을 흥미롭게 읽었던 것은 다른 글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글의 제목은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가성비를 따진다”(사족이지만 난 이 글의 제목이 내용을 제대로 함축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였다. 소비의 선택지에 “실패”라는 옵션이 있어야 취향을 시험하고 시야를 넓힐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단순히 개인의 삶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소비가 위축될 때면 동시에 사회의 취향 또한 납작해진다는 얘기는 꼭 하라주쿠의 모습을 말하는 것 같다.
모두가 팍팍해진 사회의 취향은 엄밀히 말하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일뿐 취향이 아니다. 나는 취향이란 어떤 것을 선택하지 않느냐에 관한 것이지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관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선택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선택하지 못하는 사회엔 납작한 취향조차도 없다.
김애란의 소설집 《비행운》에는 이런 내용이 나온다.
어쩌면 오늘 내 모습이 마음에 들어서인지도 몰랐다. 이런저런 곁눈질과 시행착오 끝에 가까스로 얻게 된 한 줌의 취향. 안도할 만한 기준을 얻는 데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들었던지. 상품 사이를 산책할 때 나는 엄격한 동시에 부드러운 사람이 됐다. 내가 원하는 게 뭔지 알고 있다는 데서 오는 여유. 그러나 원하지 않는 것 역시 정확하게 알고 있다는 식의 까다로움. 내가 틀릴 수도 있다는 의심을 버리자 쇼핑에 자신감이 붙었다. 그리고 원하는 게 많아졌다. 변화는 단순했다. 과거, 장식이나 색상 위주로 물건을 골랐다면 이제는 질감이나 선(線)을 보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선, 흔히 ‘잘 빠졌다’고 말하는 상품의 전체적인 맵시를. 좋은 옷을 입는 건 그것의 가격이나 옷감뿐 아니라 좋은 실루엣을 소유하는 것과 같다는 걸 깨달은 지도 얼마 되지 않았다. 명품은 아니어도 상품(上品)을 알아보는 눈이 생겼다 할까. 신호가 바뀌길 기다리며 상점 앞 스테인리스 기둥에 내 모습을 비춰봤다. 호들갑스럽지 않게 자기주장을 하고 있는 정장. 백화점 할인매장에서 산 너무 비싸지도 싸지도 않은 핸드백. 담담한 질감의 소가죽 구두. 4월, 친하지 않은 친구의 결혼식에 가는 길. 책가방에 점수가 잘 나온 성적표를 담아 집으로 뛰어가는 아이처럼 나는 히죽 웃었다.
소비에 실패할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선택할 수 있는 취향도 없다. 현대 사회에서 취향이 그 사람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소비에 실패할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자신을 나타내기가 그만큼 힘들어진다. 우리는 모두 이 사실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아니, 어쩌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태어나기에 ‘본능적으로’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원문: Yoon Ji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