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램덩크로 보는 교육] 슛 2만 번과 한국 교육의 문제에서 이어집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교육방식에 진절머리를 내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 왔다. 그중에 유력한 후보로 떠오른 것이 구성주의 교육이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미국의 구성주의 교육은 실패했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성실하게 반복연습 하는 것을 교육에서 학생의 역할로 보는 전통적인 교육과 달리 구성주의 교육은 학생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한다. 구성주의 교육관에 따르면 학생들은 교사에게 미리 정해진 답을 배우기보다 직접적인 체험 속에서 스스로 자신만의 답을 발견해야 한다. 교사에게도 가르치는 역할보다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상황을 제공하는 역할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구성주의는 80~90년대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며 교육 개혁의 중심 사상으로 부상하였다. 한국과 일본을 포함해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미국에서는 이런 식의 개혁이 이뤄지고 있는데 우리는 여전히 19세기식으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와 같은 비판이 전개되며 구성주의 교육을 열렬히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슬램덩크”에서도 전통적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을 대조시키는 장면이 한 군데 나온다. 안 선생님은 대학 농구팀 감독이던 시절 “흰머리 호랑이”라고 불릴 정도로 엄격한 전통적 교육자였다. 그의 제자 중에 하나였던 조재중은 큰 키와 훌륭한 재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기초가 튼튼하지 못했다. 안 선생님은 그의 재능을 살리기 위해 그에게 더욱 엄격히 기초를 반복 연습시키려고 하지만 조재중은 여기에 불만을 품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다.
전통적 교육에 반기를 들고 학생의 능동적 역할에 초점을 둔 구성주의의 문제의식은 올바른 것이었지만 극단적인 양상으로 흘러 문제가 되었다. 미국 구성주의의 핵심적인 교수법을 문제기반 학습, 질문기반 학습, 순수 발견(pure discovery), 또는 최소지도(minimal guidance)라고 한다. 이런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미국의 구성주의 교육은 교사의 역할 지나치게 축소시켰다. 구성주의자들은 학생들은 직접적인 체험 속에서 자신만의 답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해서 체험학습, 발견학습, 토론학습을 너무 많은 경우에 적용했다.
또 구성주의자들은 “연습은 아이들의 영혼에 대한 살해 행위”라며 학생들에게 반복 연습을 시키지 않고,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만의 답을 알아내야한다며 교사는 심지어 학생들이 내놓는 답에 맞고 틀렸다는 말을 하는 것마저 금기시하였다. 읽기 교육에서는 맞춤법에 맞게 쓰도록연습시키는 대신 자신만의 맞춤법으로 자유롭게 쓰도록 허락되었고 수학 교육에서는 값을 이것저것 대입해보고 찍어서 맞춰보게 한다든지 뭐 이런 방법마저 사용하기도 했다.
다시 “슬램덩크”로 돌아가자. 조재중이 유학을 떠난지 1년 후 미국에서 비디오 테이프 하나가 배달되어 온다. 조재중의 시합이 녹화된 테이프였다. 자유롭게 플레이할 수 있는 미국에서 조재중의 재능은 활짝 만개했을까?
넵. 현실은 시궁창. 실제로 미국에서는 공대생도 아닌 초등학교 고학년이 계산기를 쓰거나 손가락을 꼽지 않으면 덧셈 뺄셈도 못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자기 자식이 거스름돈 계산도 못하는 걸 보고 까무라친 학부모들이 구성주의 교육에 대해 반대하기 시작했고, 여기에 학생은 모름지기 조용히 앉아 선생님 말 잘 듣는 게 본분이라고 생각한 보수주의자들까지 가세하면서 구성주의 교육을 둘러싼 논쟁은 정치색을 띈 전국적 논쟁으로 비화했다. 이 논쟁을 ‘읽기 전쟁(reading wars)’, ‘수학 전쟁(math wars)’라고 한다.
읽기 전쟁은 90년대에 마무리되었고 최근까지 이어오던 수학 전쟁도 구성주의 교육개혁을 주도해온 전미수학교사평의회가 2006년 “기본은 가르쳐야 한다”는 입장으로 선회하여 끝을 맺었다. 물론 어느 정도는 아직까지도 현재진행형이지만 미국 구성주의 교육의 ‘최소 지도’는 제도 이전에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실패한 교육법이다.
사람들의 작업 기억(working memory)는 매우 작아서 한 번에 3~5가지 대상을 머리 속에서 다룰 수 있을 뿐이다. 이런 대상의 수는 이미 가진 개념에 의존적이다. 예를 들면 체스의 고수는 체스판을 한 번 스윽 보기만 해도 말들의 위치를 다 기억할 수 있는데 그건 기억력이 뛰어나기 때문이 아니라 말들의 배치를 적절한 패턴으로 묶어서 기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들을 아무렇게나 체스판 위에 늘어놓으면 고수도 초보자들이나 다름 없게 된다. 적절한 개념을 가지지 못한 초보자에게 복잡한 문제 상황을 제시하면 작업 기억의 용량을 초과해버리기가 십상이다. 강백호의 경우를 보자.
풋내기인 강백호는 동영상으로 촬영한 자신의 슛 모습을 보고 이상하다는 것은 느껴지만 어디가 이상하다고 집어내지를 못한다. 워낙 농구에 초보자이기 때문에 문제를 적절히 개념화해서 다루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초보자들에게 스스로 답을 찾아낼 것을 요구하면 운이 좋아 답을 찾아낼 수도 있겠지만 해괴한 생각을 해내기가 더 쉽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제한된 인지적 자원(주의, 기억 등)을 올바른 답을 발견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아래 그림에서 안 선생님은 강백호가 이미 가진 개념(골밑슛)을 확장시켜 2점슛을 적절히 개념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왼쪽), 하반신의 사용에 주의를 돌리게 한다(오른쪽).
구성주의자들은 교사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은 학생들이 당장은 문제를 잘 풀지 모르지만 학생들이 스스로 답을 발견해야 나중에 새로운 문제에 부딪혀도 더 잘 풀 수 있다고 주장했으나 실험에 따르면 반대로 직접적인 지도를 받은 학생들이 오히려 새로운 문제도 더 잘 풀었다. 스스로 답을 발견한 학생들은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특정한 문제에만 해당되는 해결 전략을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서 오히려 새로운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했다.
UC 산타바바라의 리처드 메이어는 2004년 논문에서 60년대, 70년대, 80년대에 이뤄진 구성주의 교육법에 대한 실험 연구들을 정리한다. 현재 구성주의 교육에 대해 가장 많이 인용되는 이 논문에서 메이어는 이 세 시기의 연구 모두에서 구성주의 교육 특히 최소 지도는 실험적으로 지지되지 않았다고 하면서 구성주의 교육에 ‘삼진 아웃’이라는 평가를 내린다.
그렇다면 구성주의 교육은 아주 쓸모가 없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학생의 실력이 어느 정도 쌓이면 교사가 직접적으로 지도하기보다는 질문을 던지고 학생 스스로 답을 찾게하는 편이 더 효과적이다.서태웅이야 목표를 제시하고(“먼저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선수가 되게.”) 동기부여만 하더라도 알아서 잘 하겠지만, 풋내기 강백호한테 그랬다가는 맨날 다른 팀 선수 머리에 슬램덩크나 찍어대다가 만화 연재가 끝났을 것이다. 요약하자면 미국의 구성주의는 특정한 교수법을 지나치게 교조적으로 따랐던 것이 실패의 원인었다.
글을 마치기 전에 한국의 경우를 잠깐 살펴보자. 한국에서 1997년에 시작되어 현재 시행 중인 7차 교육과정은 미국의 구성주의 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아 체험 중심, 활동 중심을 표방하고 있다. 그런데, 교육과정의 연구와 계획을 담당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004년 발행한 보고서 “제7차 교육과정의 쟁점 분석 연구”를 보면 미국 구성주의 교육에서 나타났던 것과 똑같은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 보고서가 나온 2004년 이후로 지금까지 7차 교육과정은 4차례에 걸쳐 부분 개정이 되었는데 이러한 평가를 내렸으니 이제는 문제점이 많이 개선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정 내용까지 찾아보면 좋겠지만 귀찮기도 하고 글도 길어질테니 잘 하고 있으리라 믿고 여기서 정리하자.
네 줄 요약:
학생의 능동적 역할에 초점을 맞춘 미국 구성주의 교육의 발상은 옳았다.
하지만 최소 지도를 남용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학생들에게 개념을 챙겨주는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한국은 뭐가 문제인지는 알고 있다. 잘하고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