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때 이야기를 꺼내볼까 한다. 나는 경영대에서 마케팅을 전공하고 미술과 심리학을 부전공했다.
마케팅을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는 단순했다. 어렸을 적부터 좋아하는 것이 많아서 한 가지를 고르기가 너무 힘들었다. 그림 그리는 것도 좋아했고, 사람들 만나는 것도 좋아했고, 노는 것도 좋아했고 무언가를 배우는 것도 좋아했다. 고등학교 때의 나에게 하나의 진로를 정하는 건 정말이지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뭐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게 너무 싫었다. 아직 내가 뭘 하고 싶은지, 내가 뭘 가장 좋아하는지 나도 잘 모르겠는데.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마케팅’이란 걸 알게 됐다. 가장 처음 ‘마케팅’이란 걸 알게 됐을 때 내가 들었던 설명은 꽤 멋졌다. 마케터는 각기 다른 악기로 멋진 화음을 만드는 오케스트라 지휘자와 비슷하다고 했다. 연주자만큼 깊이 알지는 못하더라도 다양한 분야에 대해 조금 조금씩 알고 있어야 하며 그들을 조율해 하모니라는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
마케팅이 뭔지 완벽히 이해한 건 아니었지만, 내가 많은 것들을 좋아하는 게 장점이 될 수 있는 일 같았다. 하나를 선택하고 다른 것들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 일 같았다. 그때는 그거면 됐다 싶었다. 부전공은 그냥 재미있을 것 같고 배워보고 싶은 과목으로 선택했다. 그래서 경영대 학생으로선 흔하지 않은 조합이었지만 마케팅 전공에 미술과 심리학을 부전공하게 되었다.
지금부터 할 얘기는 예상과는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다. 지금 돌이켜보면 난 ‘마케팅’에 대해 경영대 밖에서 배운 게 더 많은 것 같다는 것이다. 그래서 회사들이 인문학 인문학 하나 싶은 생각도 했다.
독특한 친구들에게서 배운 ‘자기 PR’
경영대의 수업들도 물론 좋았다. 대학 시절을 통틀어 가장 좋았던 수업을 꼽으라면 제일 재미없을 줄 알았던 기업윤리다. 기업윤리라기보단 철학 수업에 가까웠다. 교수님이 매일같이 던지는 어려운 질문에 대해 서로의 답변을 놓고 반박하고 공감하고 토론하면서, 내가 믿는 것에 있어선 타협하면 안 되겠단 생각도 강해지고, ‘나’란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는 사람인지, 어떤 가치관으로 살고 싶은지를 조금씩 깨닫게 됐다.
마케팅 관련 수업들도 학교를 졸업하고 일할 때 물론 도움이 되었다. 4P, STP, 잘된 마케팅 사례와 같은 기본기를 다지고, 팀원들과 아이디어를 내고 각종 제안서를 만들고 발표하며 뭐가 뭔지 알게 되었다. 팀워크와 리더십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다. 하지만 기본기 이상의 그 어떤 것은 채워지지 않았다.
3학년 때쯤인가. 미술 부전공의 일환으로 ‘디지털 포토그래피’ 수업을 들었다. 그 수업에는 정말 다양한 학생들이 모여 있었다. 경영대 학생은 나 하나였다. 나머지는 패션 에디팅, 뉴미디어, 히스토리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있었다.
나를 제외한 그 친구들은 모두 전공도 다르고 패션도 개성 넘쳤지만, 공통점이 있었다. 나를 제외한 그들은 모두 개인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 친구들의 홈페이지는 개인 프로젝트로 가득했다. 그게 직접 그린 그림이든, 공연 사진이든, 글이든, 자신이 만든 다양한 것들이 보기 좋게 정리되어 있었다. 그들은 이미 자기 PR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하고 있었다.
나는 그 사진 수업을 통해 사진보다도 많은 것을 얻었다. 재미있는 친구들이 너무 많아서 이 친구들과 수다를 떨면 하루하루가 배움의 연속이었다.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도 쉬운 일이었다. 워낙 이곳저곳에 관심이 많은 친구라 요즘엔 뭐가 대세인지, 페이스북보다 트위터가 더 급속도로 뜨고 있다든지(그땐 그랬다), 데이빗 보위가 곧 공연하러 온다든지 하는 소식들을 들었다. 내 주변 경영대 친구들보다도 이런 소식에서는 훨씬 더 빨랐다.
이 수업시간의 에피소드는 많다. ‘자화상 찍기’라는 과제가 주어졌을 때도, 자신의 모습을 담겠다며 길거리에 침대를 설치하고 거기서 사진을 찍는 친구도 있었고. 한마디로 괴짜들이 많았던 것 같다. 하지만 경영대 마케팅 수업 시간에 배우지 못했던 중요한 무언가가 이곳엔 있었다.
개성 넘치는 그 친구들 사이에서 나는 나 자신이 가장 평범해 보였다. ‘내 인생은 내가 설계하고 내가 디자인하는 것이다’라는 생각을 이 친구들을 보면서 더 느꼈던 것 같다. 이 수업이 끝나기 전에 나 역시도 내 개인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내가 찍은 사진들로 나만의 명함을 만들기도 하고. 친구들로부터 어깨너머로 보고 배워서 온라인에 포트폴리오를 쌓아두고, 잘한 것들은 예쁘게 뽑아서 큰 파일에 정리해서 인터뷰마다 들고 다녔다. 학교를 졸업하고 취직을 준비할 때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포트폴리오다.
면접 때 포트폴리오를 보여주면 놀라는 사람이 많았다. 최근까지도 그랬다. 디자이너도 아닌데 포트폴리오를 꺼내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그런지 포트폴리오는 최단시간에 나를 돋보이게 해주는 매우 강력한 무기였다. 경영대 밖에서 친구들로부터 배운 그 무언가가 내가 취직을 할 때도, 마케팅을 할 때도 플러스 요인이 돼주었다.
마케팅으로 일을 시작한 지 5~6년이 되어 간다. 아직도 갈 길이 멀지만, 내가 생각하는 마케팅은 결국 소통이다. 지속적인 소통이 잘 이루어져서 서로 간의 관계가 쌓이면 그게 브랜딩이 되는 거고. 데이터도 결국 소통을 더 효율적으로 하는 데 필요한 것 같다. 내 얘기를 잘 들어줄 사람들을 찾기 위해서.
‘우리다움’은 곧 ‘남들과 다른’ 마케팅이 된다
회사에서 하는 모든 일이 다 마케팅이라고 하지 않나. 영화 ‘인턴’의 앤 해서웨이가 고객센터와 배송 박스의 작은 포장지까지 챙기는 걸 보면 알 수 있듯이, 작은 디테일 하나하나가 차이를 만든다. 요즘 같은 시대엔 특히 그런 것 같다. 모바일과 SNS를 통해 거의 개개인 한 명 한 명이 매체화되고 있는 시점에, 사람들의 공감을 얻은 이야기는 일파만파로 퍼져나간다.
알면 알수록 참 어려운 건 애쓰지 않고 자연스러운 마케팅을 하는 것이다. 힘들이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본질에 집중하는 것. 이게 정말 어려운 것 같다. 과대 포장하는 마케팅은 하고 싶지 않은데 욕심내면 억지스럽게 될 때가 있다.
새로운 스타트업으로 온 지 열흘째, 나는 즐겁게 잘 지내고 있다. 걱정되는 부분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기대감이 더 크다. 아직 서비스도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마케팅을 할까 고민도 되지만 백지상태기 때문에 더 즐겁다.
사진반에서 만났던 반짝이는 친구들을 생각하면, 생각보다 그렇게 어려울 것도 없을지도 모르겠다. 남들 눈치 보지 않고 경쟁사 의식하지 않고 가장 우리다운 방식으로 일하고 소통하는 것. 어렵겠지만 재밌을 것 같다. 가장 ‘우리다움’은 곧 ‘남들과 다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우리 같은 회사엔 그게 결국엔 가장 큰 경쟁력이자 가장 세련된 마케팅 방법일 것이라고 믿는다.
출처: yoonash의 브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