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New York Times의 「Nobel in Economics Is Awarded to Richard Thaler」를 번역한 글입니다.
시카고 대학 부스 경영 대학원의 교수 리처드 H. 탈러(Richard H. Thaler)가 월요일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많은 경제학자들이 인간 행동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많은 국가들이 경제학에 관심을 기울이게 한 공로였다. 탈러 교수는 이 상을 받기 전에도 이미 세간의 명성을 얻은 드문 경제학자다.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 살펴본 베스트셀러 서적 『넛지(Nudge)』의 저자이며, 2015년 영화 〈빅 숏(The Big Short)〉에 출연해 2008년 금융 위기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 위기가 경제사에서 얼마나 주목할 만한 사례인지 분명하게 전달했다.
스톡홀름에서 이 상을 발표한 노벨 위원회는 “사람이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비합리적이기 때문에 항상 경제학 이론을 무시하는 쪽으로 행동한다는 탈러 교수의 선구적 연구 업적에 경의를 표한다”라고 말했다. 사람들은 폭풍우가 치는 동안에도 우산이 비싸면 사려 하지 않을 것이고, 모은 돈으로 싼 휘발유 대신 고급 휘발유를 구입하려 할 것이며, 커피 머그잔을 3달러에 사려 하면서도, 6달러에는 팔지 않으려 할 것이다.
이 위원회는 탈러 교수가 인간 행동을 현실적으로 이해하는 쪽으로 경제학의 지향성을 바꿔놓았고, 여기서 얻은 통찰을 이용해 공공 정책의 개선, 특히 고용자들이 퇴직 연금 프로그램에 자동 등록되게 한 전면적인 변화를 이끌어 냈음을 인정했다. 약 110만 달러의 상금을 어디에 쓸 작정이냐는 질문에 탈러 교수는 “아주 재미있는 질문”이라면서 “가능한 한 비합리적으로 쓰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벨 경제학상은 1968년 스웨덴 중앙은행이 알프레드 노벨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했으며 스웨덴 왕립 과학원이 수여한다. 탈러 교수의 공동 연구자였던 대니얼 카너먼은 2002년 이 상을 수상했다. 또 한 명의 행동 경제학자로 2013년 노벨 경제학상 공동 수상자 로버트 J. 쉴러는 탈러 교수를 “현대 경제학에서 가장 창조적인 영혼 중 하나”라고 축하했다.
주류 경제학은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단순화된 가정 하에 만들어졌다. 경제학자들은 이 가정을 글자 그대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이해하고 있지만, 거의 사실 아니냐고 주장해 왔다. 탈러 교수는 경제학자들이 이런 가정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는 그저 단순하게 인간은 비합리적이라고만 주장하지 않았다. 인간이 비합리적인 것은 맞지만, 이런 주장만으로는 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가 사람들은 한결같이 합리성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하기 때문에 이 행동을 예견할 수 있고 모델링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탈러 교수와 함께 『넛지』를 쓴 하버드 법학 교수 캐스 선스타인은 “탈러는 그 누구보다도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이라는 개념을 고수해 왔다.”라고 말한다. 2008년 출간된 이 책은 정부가 인간의 행동에서 얻은 통찰을 광범위한 공공 서비스 정책의 효율성과 질을 개선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로부터 2년 후 영국 정부는 이 실험을 수행할 부서를 만들었다.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도 뒤를 이었다.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 총리는 이 같은 착상을 “인간의 본성 안에 숨은 아주 단순하고 아주 보수적인 생각”이라고 언급했다.
일부 넛지는 비교적 사소한 쪽에 속한다. 영국 정부에 따르면 자동차 등록비 청구서에 자동차 사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등록비를 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넛지는 지대한 영향을 가져오기도 한다. 탈러 교수는 퇴직 저축 연금이나 학교 급식 프로그램 같은 유익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가 관성적으로 낮다는 점을 발견하고, 정부와 고용주가 이런 프로그램의 참여를 의무화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참여 여부는 자유지만 바람직한 결과 쪽으로 관성이 작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슷한 제안인 “나중을 위해 더 저축하자(Save More Later)”는 사람들에게 내년에 더 많은 돈을 가져갈 수 있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현재 소득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던 경향을 상쇄시킨다.
탈러 교수는 뉴저지주 이스트 오렌지에서 태어났으며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을 졸업한 후 1974년 로체스터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당시 경제학 분야는 사람들이 합리적 행위자라는 가정에 경도되어 있었다. 그중 한 경제학 추론에서는 정부가 재정 정책을 조정할 때마다 국민은 그 결과를 예견하고 자신의 소비 습관을 조정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탈러 교수는 대학원 시절 “좀 다른 생각”을 갖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당연시하던 문제를 사람들에 제시한 후 실제 답변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에 나온 답변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의 경력은 카너먼 교수와 ‘경제학은 실제 인간 행동을 다뤄야 한다’는 생각을 발전시키고 있던 오랜 공동 연구자 아모스 트버스키의 연구를 살펴보면서 체화돼 갔다. 이윽고 탈러 교수는 이들과 공동 연구를 수행했고 자신의 연구가 경제학의 주류가 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1995년, 탈러 교수는 경제학에 대해 합리주의적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던 시카고 대학의 교수진에 합류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그들과 격론을 벌이게 될 것임을 알고 있었고, 나에게나 그들에게나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자기 기술을 연마할 가장 좋은 방법은 최고들과 싸우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탈러 교수의 학문적 업적은 표준 경제학 이론들이 인간의 실제 행동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오랜 기간 밝혀내 온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모든 돈이 동일하게 창출된 것이라고 여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표준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휘발유 가격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모아둔 돈으로 가장 필요한 무언가를 사는 데 쓰지 휘발유를 더 사들이는 데 쓰지는 않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휘발유를 사는데 많은 돈을 지출한다. 자기 차에 맞지 않아도 가격이 내렸기 때문에 고급 휘발유를 산다. 항상 자기 예산 중 일정 부분을 휘발유를 사는데 책정해 놓는다는 말이다.
그는 또한 사람들은 자신의 소유물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한 유명한 실험에서, 그와 두 명의 공공 연구진은 교실 안의 학생 절반에게 무작위로 커피 머그잔을 나눠준 다음 머그잔 시장을 열었다. 머그잔을 받은 학생들은 받지 못한 학생들보다 자기 머그잔이 두 배나 더 가치 있다고 생각했다. 이 “소유 효과(endowment effect)”는 이후 다양한 상황에서 입증되었다. 이 효과는 실제 시장이 책 속의 이론만큼 작동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탈러 교수의 가장 중요한 연구 업적 중 하나는 공정성의 중요성에 관한 것이다. 그는 사람들이 자기가 얻는 것이 없더라도 불공정한 행위에 처벌을 가할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는 경제학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예를 들어 폭풍우가 치는 동안 우산 가게가 가격을 올리지 않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우산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은 불공정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우산을 사지 않으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업의 역학을 보여준다. 표준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경기 침체기 동안 고용주는 낮아진 상품이나 서비스 수요에 맞는 수준으로 임금을 삭감할 것이기에 경기 침체로 실업이 발생할 이유가 없다고 한다. 하지만 노동자들은 임금 삭감을 불공정한 것이라고 여기고 여기에 반발한다. 따라서 고용주는 계획을 수행하면서도 노동자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임금 삭감보다 노동자 감축을 더 선호한다.
2016년 1월 미국 경제학회 대표 연설에서 탈러 교수는 행동 경제학이 훌륭하게 성공할 것이고, 결국에는 사라질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는 “이제 행동주의 경제학을 일종의 혁명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라면서, 때가 되면 “모든 경제학의 필요한 주제에 따라 행동 경제학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원문: 피우스의 책도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