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조 원’.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가짜뉴스가 한국 사회에 끼친 경제적 손실 금액이다. 한국의 연간 GDP가 400조 원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여간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최근 치러진 장미대선은 국민이 가짜뉴스를 피부로 느끼는 계기가 됐다. ‘문재인 치매설’ 등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나돌았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진위를 확인하지 않고 여기에 경도돼 피해가 확산됐다. 가짜뉴스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이유다. 원인을 진단하고 처방을 내려야 한다.
가짜뉴스의 ‘주 생성원’은 정치인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헤게모니를 거머쥔다는 마키아벨리즘을 따른다. 가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후보 시절, ‘대안적 사실’을 내세워 독특하게 선거에 임했다. 그는 최근 미국의 안보가 불안해진 데에는 이민자의 증가가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엄밀히 팩트체킹하면 전혀 근거가 없다. 하지만 기존 정치에 신물이 난 사람들은 그의 말 한마디에 열광했고 그를 오벌 오피스에 입성시켰다. 트럼프 외에도 많은 정치인이 가짜뉴스를 권력 유지에 이용한다.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 진영은 ‘노무현이 NLL을 포기했다’는 확인되지 않는 정보를 유포해 문재인 후보에 큰 타격을 줬다.
가짜뉴스의 폐해는 심각하다. 시중에 나도는 과정에서 진영 갈등이 불거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트럼프의 이민자 책임론은 소수에 불과한 이민자를 타깃으로 했다. 모든 이민자가 테러리스트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도매금으로 싸잡아 비난했다.
트럼프가 지목한 소수 계층을 향한 비난 세례가 쏟아졌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만만치 않다. ‘나’와 다른 사람을 존중해야 한다는 헌법적 가치는 땅에 떨어졌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정치인들은 ‘수꼴’ ‘종북’ 같은 단어를 양산해 내 국민을 좌우로 양분했다. 지역감정까지 이념전에 투입되면서 나와 다른 진영에 대한 불신의 타래는 복잡하기만 하다. 광장이 촛불과 태극기로 양분된 게 그 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짜뉴스의 배포를 법으로 강하게 제재하자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이해는 간다. 냉혹한 처벌을 하면 시도조차 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다. 그러나 ‘처벌 만능론’은 자칫하면 볼륨의 축소를 야기한다. 다른 의견을 틀린 의견으로 보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
근본을 꿰뚫어야 한다. 가짜뉴스가 횡행하는 이유는 이를 수용하는 국민의 비판적 사고가 결여돼있기 때문이다. 핀란드는 초등학교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제한다. 이때 길러진 비판적 사고는 가짜뉴스의 범람을 예방한다. 정부에 대한 핀란드 국민의 신뢰도가 1위라는 통계가 이를 뒷받침한다.
프랑스의 저명한 소설가 앙드레 지드는
“가장 혐오스러운 거짓말은 가장 진실에 가까운 허언”
이라고 했다. 겉은 진실로 도금돼 있어 수용자를 현혹하지만, 이로 인한 피해는 다른 거짓말보다 더 크다는 뜻이다.
그의 명언처럼 오늘날 가짜뉴스는 진실로 위장한 채 민중을 오도하고 있다. 사회적 피해는 막심하다. 모든 정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때 가짜뉴스는 힘을 잃을 것이다. 똑똑한 국민을 상대로 양분질을 시도해 이득을 보려는 의중 자체가 효용성을 잃기 때문이다.
원문: 강기훈기자의 블로그